이번 글에서는 소크의 말과 스위스의 화학 물질에 대한 특허 거부의 논거 등과 관련해서 살펴볼 예정인데, 지난 글(과학, 알고싶다(254))에서 스위스는 ‘1907년 이전까지만 해도 화학 발명품에(more…)

Category: Let’s Do Science!
과학, 알고싶다(258) —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6/n)
이전 글들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과학 분야에서는 ‘최초’의 발견자가 되는 것에 최고의 가치를 두려는 사고방식이 지배적이었고 현재도 그렇다. 즉, 과학 분야에서는 새로운 발견을 가치(more…)
과학, 알고싶다(257) —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 합성화학과 아스피린(5/n)
아스피린(aspirin) 또는 아세틸 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ASA)은 최초로 합성된 해열∙소염 진통제이자 혈전예방약인 살리실산염 의약품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의 일종이다. 즉, 오늘날 통증과 열을 완화시켜(more…)
과학, 알고싶다(256) —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 아스피린 합성 이전의 약들, 에테르와 아편(4/n)
이번 글부터는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의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 살펴볼 예정인데, 그 사례가 워낙 많기 때문에,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거나 ‘돈 또는 자본주의’와(more…)
과학, 알고싶다(255) —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3/n)
이번 글에서는 특허와 최근의 노벨상에 대해서, 한국연구재단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간력하게 살펴본다.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은 그의 유언장에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이나 발명을 하거나,(more…)
과학, 알고싶다(254) —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2/n)
지난 글(과학, 알고싶다(253))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특허와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은 ‘독점’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자본주의의 발전 내지는 심화와 사실상 그 궤를 같이 한다고 할(more…)
과학, 알고싶다(253) —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1/n)
화학과 관련된 발견과 특허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특허 또는 지적재산권과 관련해서 짧게 살펴본다. 화학을 포함한 과학 분야에서는, 근대 과학의 탄생 초기부터, ‘우선권’을(more…)
과학, 알고싶다(304) — 리차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둘러싼 논쟁
1976년에 리처드 도킨스(Dawkins, 1941~ )가 <이기적 유전자>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도킨스는, 다윈(Darwin, 1809~1882)의 진화론만으로 설명하기 힘든 ‘이타주의(altruism)’ 등을 설명하기 위해, 생물 개체는 유전자를 자손에게(more…)
과학, 알고싶다(153) — 유해 화학물질 이야기 – 마약: 아편
아편(opium, 일반적으로 12% 정도의 모르핀(morphine)을 함유하고 있다.)은 양귀비에서 추출한 물질에 붙여진 이름으로, 양귀비의 덜 익은 꼬투리에서 유액을 말려 채취한 마약의 일종으로 특이한 냄새가 나며(more…)
과학, 알고싶다(103) — 생활 속 과학 이야기 – 초콜릿
초콜릿은, 한마디로 얘기해서, 입안에서 액체로 변하도록 설계된, 수백 년에 걸친 요리와 공학적 노력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초콜릿 한 조각을 입에 넣은 후 깨물지(more…)
과학, 알고싶다(252) — 화학자 이야기 – 앙리 무아상과 로버트 브리지만
연금술은 고대로부터 교양있는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아 놓아주지 않았다. 연금술의 역사적 의미 등에 대한 평가로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긴 하지만, 근세가 되고서도 보일(Boyle, 1627~1691)이나 뉴턴(Newton, 1642~1726)같은(more…)
과학, 알고싶다(251) — 화학자 이야기 – 험프리 데이비
1815년의 일이라고 한다. 당시 영국 뉴캐슬 광산에서 몇 차례 큰 폭발 사고가 나서 수천 명의 광부가 목숨을 잃었고, 영국 전역이 애도를 표했다. 그리고 험프리(more…)
과학, 알고싶다(152) — 유해 화학물질 이야기 – 독약: 청산가리
청산가리(KCN, potassium cyanide, 청산은 사이안화물을 뜻하며, 가리는 (일본식으로 カリウム) 칼륨을 뜻한다. 치사량은 0.20 g이어서 극소량을 섭취해도 사망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독극물이다.)는 애초에 ‘어두운(more…)
과학, 알고싶다(151) — 유해 화학물질 이야기 – 독약: 비소
‘비소(arsenic, As, 순수한 금속 비소와 유기 비소는 독성이 적으나 무기 비소 특히 삼산화비소(As303)는 독성이 매우 크며, 미국독성학회에서 비소를 ‘King of Posion’으로 명명할 정도로 맹독성을(more…)
과학, 알고싶다(102) — 생활 속의 과학 – 종이
오늘날 종이를 너무나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종이가 대부분의 역사 동안 매우 귀하고 비쌌다는 사실을 곧잘 잊게 된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이토록(more…)
과학, 알고싶다(052) — 생화학(또는 생물학)과 정보과학
벤터(Ventor)나 처치(Church)를 비롯한 많은 과학자들이 유전체 서열을 분석하면서 하는 일들은 사실상 정보과학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등의 분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more…)
과학, 알고싶다(213) — 열역학 제2법칙과 섀논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은 1948년에 정보이론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more…)
과학, 알고싶다(212) — 열역학과 아인슈타인
열역학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접근 방식은, 잘 알려져 있고 정확하게 측정된 가스의 열용량(heat capacity)을 설명하는 것 등에 있어서 고전적인 열역학 모델이 실패하는 경우에 대해 걱정이(more…)
과학, 알고싶다(051) — 동위원소와 연대 측정
(참조 원문) 생명이 지구 위에서 작동해온 시간의 규모는 수천 년이 아니라 수억 년으로 측정된다고 한다. 어떻게 암석의 연대를 알아내고, 예를 들어 그(more…)
과학, 알고싶다(211) — 열역학과 플랑크
역학에 초점을 맞춘 깁스와 다음 글(과학, 알고싶다(212))에서 설명할 (분자의 열역학에 초점을 맞춘) 아인슈타인과 달리, 플랑크는 전자기 복사의 열역학 문제를 다룬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more…)
과학, 알고싶다(210) — 파티션 함수 및 앙상블
지금까지 살펴봤던 바와 같이, 볼츠만과 깁스는 상당히 다른 관점과 다른 목표를 염두에 두고 통계 역학을 연구했다. 볼츠만은 기계적 모델이 실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정확한(more…)
과학, 알고싶다(501) — 파이썬으로 알아본 1) 서울시 구별 인구수 대비 CCTV 설치 현황, 그리고 2) 서울시 구별 5대 범죄 현황
1) 서울시 구별 인구수 대비 CCTV 설치 현황 i) 2022년까지 2) 서울시 구별 5대 범죄 현황 i) 2000년부터2021년까지 서울경찰청 관할 경찰서별 살인, 강도, 강간및추행,(more…)
과학, 알고싶다(209) — 열역학 관련: 깁스의 열역학 3/3
[깁스 엔트로피] 깁스는 1902년에 출판한 저서 [통계역학의 기본 원리(Elementary Principles in Statistical Mechanics)]의 14장 “열역학적 유추(Thermodynamic Analogies)”에서 상호 작용하는 입자의 기계 시스템의(more…)
과학, 알고싶다(208) — 열역학 관련: 깁스의 열역학 2/3
[리우빌(Liouville) 정리] 리우빌 정리: 복소해석학에서 사용하는 정리 중 하나로, ‘복소평면상 영역 D의 내부에서 유계인 전해석 복소함수는 상수함수 밖에 없다’라는 정리이다. 지난(more…)
과학, 알고싶다(303)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HGP)와 관련된 이야기
1992년, 인간 유전체의 염기 서열 분석(sequencing, 시퀸싱)을 향한 도전이 시작될 때, 유전학자 월터 길버트(Walter Gilbert)는 한 심포지움에서 주머니의 CD를 꺼내 청중에게 “’여기 사람이 있습니다.(more…)
과학, 알고싶다(302) — 수명연장에 관하여(2/2)
지난 글(과학, 알고싶다(301) — 수명연장에 관하여(1/2))에 이어서 수명연장과 관련해서 조금더 살펴본다. 열역학 제2법칙은 비가역적으로 진행되는 모든 자연 현상은 결국 무질서의 증가로 이어진다고(more…)
과학, 걱정이다(101) — 오늘날의 우생학
‘전체주의적 우생학’에서 ‘자본주의적 우생학’으로 (우생학(네이버 사전): 유전 법칙을 응용해서 인간 종족의 개선을 연구하는 학문. 유전학의 한 분야로, 1883년 영국의 유전학자 골턴이 제창하였다. 인류의(more…)
과학, 알고싶다(207) — 열역학 관련: 깁스의 열역학(1/3)
통계열역학 또는 평형 통계역학은 미시적 입자의 역학적 성질을 확률적으로 다루어 압력, 열용량, 에너지, 엔트로피와 같은 거시적인 계의 열역학적 성질을 구하는 통계역학의 한 분야인데,(more…)
과학, 알고싶다(206) — 열역학 관련: 엔트로피와 확률의 관계와 H-정리(H-theorem)
[엔트로피와 확률의 관계]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질이 가지는 특정 성질의 평균값은 각 가능한 값에 확률을 곱한 후 그 값들을 합해서 구할 수 있다.(more…)
과학, 알고싶다(205) — 열역학 관련: 맥스웰과 볼츠만
클라우지우스는 1865년에 열역학과 관련된 이전의 결론을 재구성했을 뿐이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엔트로피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그의 첫 번째 목표는 에너지의 보존 개념과 변환 과정의(more…)
과학, 알고싶다(204) —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하여: 자유 에너지, 그리고 맥스웰의 관계
[깁스 프리 에너지 G] 일정량의 특정 물질은 동일한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항상 동일한 엔트로피를 가지므로(즉, ΔS는 상태 함수이므로), 정의된 시스템으로서 서로 다른(more…)
과학, 알고싶다(203) —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하여: 카르노와 클라우지우스
열역학에 대한 초기 관심의 대부분은 더 나은 증기 엔진(열기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고려에서 비롯되었다. 열 에너지가 엔진을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more…)
과학, 알고싶다(202) — 열역학의 일반적인 의미와 열역학 제1법칙에 관하여
지난 글(과학, 알고싶다(201))에서 엔트로피의 의미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는데, 이번 글에서는 열역학의 일반적인 의미와 열역학 제1법칙에 관해서 간단하게 살펴본다. 시대를 초월하여 화학은(more…)
과학, 알고싶다(004) — 과학에서의 인식론: 철학적 관점 (1)
과학에 있어서의 진리 탐구는 자연 현상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우리가 인식하면서 살아가고, 살아가면서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나무의 녹색과 향기를 인식한다. 나무가 저 앞에서(more…)
과학, 알고싶다(301) — 수명연장에 관하여(1/2)
이번 글에서는 수명연장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본다. 노화에 대해 이야기하면 누구나 관심을 가지면서도 긴장하는 듯하다. 일반적으로 죽음을 생각하지 않고 일상 생활을 하지만, 그 순간에도(more…)
과학, 알고싶다(201) — 엔트로피(entropy)의 의미
엔트로피가 의미하는 바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주의 — 표준국어사전에 따르면 엔트로피는, 1. 열의 이동과 더불어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의 감소 정도나 무효 에너지의(more…)
과학, 알고싶다(003) — 화학에서 법칙(Laws)이란?
“화학 법칙”에 관해서 논하기 전에, 실험실이나 물질 세계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과정과 그러한 과정에 대한 설명을 엄격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언급해야 한다. 이는 화학(more…)
과학, 알고싶다(002) — 주기율표에 관하여
원소 주기율표는 화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근본적인 분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원소 주기율표는 아마도 전체 과학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분류(more…)
과학, 알고싶다(101) — 생활 속의 과학 – 주방에서의 과학: 인덕션과 전자레인지
인덕션 인생의 가장 큰 즐거움 중 하나는 요리이며, 주방 기기의 팬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부엌 찬장과 서랍에는 많은 종류의 기구와 장치가 가득할 것인데,(more…)
과학, 알고싶다(001) — 과학을 위한 철학적 기초
철학은 모든 것에 대한 연구로 간주될 수 있으며, 과학을 포함하여 다른 모든 앎 방식의 어머니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철학은 이런저런 이유로 악명이(more…)
과학, 희망이다(001) — 왜 개인 맞춤 의학(personalized medicine)인가?
“약물 부작용(adverse drug reactions)”은 일반적이다. 미국의 경우, 매년 2백만 명 이상이 처방약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해 입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약물이 어떤 사람에게는 효과가 있고(more…)
생명이란… & 과학난제, 생명이란 무엇인가? & 세계 최초 ‘세포 지도’ 완성…장기와 세포 상호작용 확인 &&
끓는 물과 같다! 그래서, 불안정할 수 밖에 없고, 또한 그래서 불완전할 수 밖에 없다! (이 설명은 생기론, 물질론, 창발론에 대한 나의 절충적 대안이다!) Life(more…)
‘천연두 전쟁’ 승리, 하지만 기쁨은 잠시였다…바이러스 인류 잔혹사 &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세계적 보건 위협 종식된 건 아냐” &&
역사적으로 인류는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이러스 수는 대략 5000여 개 정도다. 역사 속 대표적 바이러스 질환을 꼽으라면 ‘천연두’일 것이다.(more…)
연약한 지구 피부에 생기를 불어 넣는 흙 속 ‘질소고정’ 세균
ㆍ흙진주 새해를 맞아 몸만들기를 다짐하는 사람들이 많다. 단지 옷태가 아니라 건강이 살아나는 몸을 위해서 말이다. 이런 각오가 현실이 되려면 올바른 식단(more…)
항암제 안 먹고 ‘유전자 편집 세포’로 암치료 한다?
美연구팀, 암치료용 ‘면역세포’ 첫 임상시험 성공 면역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 미국국립보건원 제공 암 치료에 사용하는 면역항암제는 화학항암제와 표적항암제에 이어(more…)
우리 심장, 얼마나 많은 일을 할까?
심장은 하루에 7200L의 혈액을 전신으로 공급하는 고된 일을 수행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심장은 우리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쉬지 않고 뛴다. 실제 심장은 어떤 일을(more…)
생물과 무생물 간격 메우는 바이러스 발견
73만여 염기쌍에 박테리아 유전자로 다른 바이러스 방해 생물 세포는 스스로 복제되는데 비해 바이러스는 스스로 복제되지 못하고 박테리아 같은 숙주 속에 들어간 뒤(more…)
Translating preclinical models to humans
Generalizing results from animal models to human patients is a critical biomedical challenge. This problem is a key cause of the large proportion(more…)
In ‘living materials,’ microbes are makers
Engineered microbes tailormade this biofilm (green), shown on a glass bead. PHOTO: NEEL JOSHI The bricks in Wil Srubar’s lab at(more…)
How plant cells sense the outside world through hydrogen peroxide
The discovery of a sensor that detects hydrogen peroxide at the surface of a cell provides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by which plant(more…)
Toward a universal flu vaccine
Influenza virus infections pose a major public health threat, accounting for 3.5 million severe infections and more than 400,000 deaths globally each year(more…)
Powerful antibiotics discovered using AI
Machine learning spots molecules that work even against ‘untreatable’ strains of bacteria. Escherichia coli bacteria, coloured green, in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Credit: Stephanie(more…)
Coronavirus epidemic snarls science worldwide
Like most universities in China, the campus of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Wuhan is deserted. PHOTO: STRINGER/GETTY IMAGES (more…)
When will the coronavirus outbreak peak?
Officials want to know but predictions vary wildly, from now to after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are infected. Officials want(more…)
Scientists question China’s decision not to report symptom-free coronavirus cases
Researchers say that excluding these people could conceal the epidemic’s true extent, but others say the practice makes sense. Researchers want(more…)
Four ways researchers are responding to the COVID-19 outbreak & 코로나 백신은 왜 부작용이 강한가 & mRNA, 이제 코로나 넘어 암정복 꿈꾼다…국내 바이오텍 ‘이곳’ 주목 &&
How did researchers react so quickly to the SARS-CoV-2 epidemic? Nature Medicine has asked some key experts. “The reason we were able(more…)
자궁없는 美 여성, 사망자 자궁 이식받아 출산 성공…세계 3번째
사망자 자궁을 이식받아 지난해 11월 출산한 제니퍼 고브레히트(왼쪽)와 남편 드류 고브레히트가 펜실베이니아주 리들리 파크 자택에서 아들 벤자민을 안고 있다./사진=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료원 미국에서(more…)
점치듯이 미래를 알려준다고? 생활속에 침투하는 유전자검사 & 범인류 유전자지도 완성…변이 판독률 2배 높였다 &&
‘우리 아이 재능 미리 엿본다’ / 해외서 DNA 검사 부모 늘어 / 인간 유전자 편집기술도 속도 / 인명경시 풍조 등 부작용 우려 /(more…)
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 &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 알고 보니 수만년 전 ‘가출’했던 지구 암석 & 화성서 유기분자 발견한 ‘퍼시비어런스’…동력비행에 산소생성까지 &&
생명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3가지 가설 과학자들은 38억 년 전 원시 지구에 처음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말한다. 그런데 당시 지구는 지금과 전혀 다른 세상이었다.(more…)
인간 세포 가진 쥐 ‘휴마이스’의 탄생 & 영화 ‘겟 아웃’이 현실로? 인간 뇌 쥐에 이식 성공
▲ 2017년 미국에서 개발된 인간의 줄기세포가 주입된 4주짜리 돼지 배아. photo 뉴시스 인간의 장기를 대체할 장기를 다른 동물의 몸속에서 배양하는 연구가 현실화되고 있다. 일본(more…)
세계 최초 ‘살아있는 로봇’ 탄생…상처 셀프치료, 세포도 갖춰
미국 연구팀, 개구리 세포로 살아 있는 로봇 제작 성공 원본보기 미국 버몬트대학이 13일(현지시간) 유튜브 계정에 올린 ‘제노봇’의 모습. [사진 유튜브 캡쳐] (more…)
혈액응고 비타민에 K가 붙은 사연
100세 시대를 맞아 장년층과 노년층의 필수 영양소로 떠오르고 있는 비타민이 있다. 잘 알려진 비타민 A, B, C, D가 아니다. 지난해 초 미국의 유통체인(more…)
나방 50만 마리에서 찾아낸 물질
어느 날 파브르는 자신의 서재 책상 위에서 갓 부화한 산누에나방 암컷에다 철망을 덮고 외출했다. 그날 밤에 다시 돌아온 파브르는 서재에 불을 밝힌 후(more…)
Mapping words reveals emotional diversity
ILLUSTRATION: ADAPTED FROM DENISGORELKIN/ISTOCK.COM After seeing an elephant mother standing over her dead infant’s body, prodding the baby as if to(more…)
Biotechnologies nibbling at the legal “human”
The law has always viewed living human beings—and the tissues, organs, and other body parts derived from them—as special and different from the(more…)
Peptidic catalysts for macrocycle synthesis
Many structurally simplified catalysts have been synthesized that mimic the reactivity and efficiency of enzymes. In this context, the numerous transformations catalyzed by(more…)
Targeted drugs ramp up cancer mutability
Mutagenesis can drive carcinogenesis and continue during cancer progression, generating genetic intratumor heterogeneity that enables cancer adaptation through Darwinian evolution (1). Analyses, such(more…)
Bypassing the blood-brain barrier & “최악의 뇌암 교모세포종 화학항암제 뇌안으로 전달 성공”
Brain function requires tight regulation of the cerebral microenvironment, an outcome achieved through specialized brain barriers. The presence of these barriers and the(more…)
Mitochondrial DNA promotes autoimmunity
The immune system provides essential protection from microbial infection but can damage tissue when its functions are excessive, sustained, or insufficiently regulated. In(more…)
Gene expression regulated by RNA stability
One of the first discoveries of gene expression mediated by controlling messenger RNA (mRNA) stability is autoregulation of tubulin synthesis. In this regulatory(more…)
Infrared spectroscopy finally sees the light
The reliance of infrared spectroscopy on light transmission limits the sensitivity of many analytical applications. An approach that depends on the emission of(more…)
The physics of ice skating
The slipperiness of ice is poorly understood at a microscopic level. Experiments that probe how the surface of ice melts and flows in(more…)
Hunting for New Drugs with AI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in a drug-discovery slump. How much can AI help? Illustration by Harry Campbell There are many(more…)
장하석 교수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12강 (유튜브)
1강 : 과학이란 무엇인가 2강 : 지식의 한계 3강 : 자연의 수량화 4강 : 과학혁명 (more…)
한 우물인데 브랜드는 26種.. 성분 같은데 2배 넘게 가격 차이도
한 우물·다른 상표.. 생수 시장의 진실 청주 공장 한편에 있는 취수정. “마시는 물 때문에 괴롭다”고 회사원 백종길(28)씨는 말했다. 1인(more…)
돼지-원숭이 합친 ‘키메라 돼지’, 세계 최초 中서 탄생
배아 단계에서 원숭이의 줄기세포가 주입된 ‘키메라 돼지’ (중국 줄기세포 및 생식생물학연구소 제공) 중국에서 세계 최초로 돼지와 원숭이의 DNA를 혼합한 ‘키메라 돼지’가 태어났다고(more…)
단순하지 않은 단세포 생물…복잡한 의사결정 확인
나팔벌레 속(屬) 로에셀리 110년 전 연구 결과 빛 봐 나팔벌레속(屬) 단세포 생물 S.로에셀리의 다양한 자극 반응 [Dexter et al. & Current Biology 제공] 하나의 세포로만 이뤄진 단세포 생물이 전혀(more…)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동아일보DB 평소 건강보조식품에 관심이 많은 필자는 특정 성분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나오면 즐겨 읽곤 한다. 학술지 ‘네이처’ 11월 28일자에는 ‘코엔자임Q10’에(more…)
인체의 지배자, 뇌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과정
뇌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곳인 만큼 태아기부터 분만 전(발생 4주~9개월경)까지 매우 오랫동안 정성들여 만들어지는 기관이다. 뇌와 척수를 포함한 중추신경계통은 발생 4주 무렵 형성되는 신경관에서(more…)
맥주 양조장 박차고 나와 노벨상 수상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 이론에서 제시한 E=mc2이라는 공식은 물질이 에너지로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발표 당시만 해도 그 전환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는 아무도 알지(more…)
구원자인가 악마인가…사람을 살리고 죽인 노벨상 후보자의 두 얼굴 & 과학자는 애국심과 과학윤리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나?
전범자로 몰린 유태계 독일 과학자 질소 비료 개발해 식량 위기 탈출 독가스도 개발로 친척까지 희생돼 프리츠 하버는 인류를 기아에서 구하는 방법을 발명했지만(more…)
바셀린 성분, 암 유발?…이렇게 쓰면 OK!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Doubts persist for claimed Alzheimer’s drug
Last week, with trading in the company’s stock halted for the widely anticipated event, Biogen gave its first scientific presentation in defense of(more…)
Surprising regulation of cell cycle entry
The activities of cyclin-dependent kinases (CDKs), regulated primarily by the periodic expression of their cyclin binding partners, temporally order sequential cell cycle transitions(more…)
Heat transferred in a previously unknown way
Experiments show that quantum fluctuations can allow heat to be transported between two objects separated by a vacuum gap. This effect could be(more…)
Interfacing electronic and genetic circuits
Synthetic genetic circuits leverage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of biological machinery to tackle complex sensing tasks, yet they lack many of the advantages(more…)
장거리 무선통신의 비밀을 밝히다
이탈리아의 아마추어 발명가였던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1901년 12월 12일, 영국 콘월 주의 폴듀에서 3570㎞ 떨어진 캐나다 뉴펀들랜드 주의 세인트존스까지 무선통신에 성공했다. 그가 보낸 첫(more…)
우주에 저사양 CPU 밖에 못 가져가는 이유는?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에 탑재된 CPU 스펙은 200MHz에 불과하다. 우주에서 스마트폰보다 훨씬 떨어지는 저스펙 CPU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미국 기술정보 매체 ‘아스테크니카’(Arstechnica)’가(more…)
우주로 간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밝혀낸 비밀 & ‘우주 아기’ 탄생 가능할까
▲ 스탠퍼드대 의대 심혈관연구소 연구팀은 최근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켜 국제우주정거장(ISS·사진)으로 가져가 심근세포의 변화를 관찰했다. ISS는 지상에서 354㎞ 떨어져 있어 중력의 영향이 거의 없다. photo(more…)
1965년 ‘라이프’ 표지 속 태아사진, 어떻게 촬영한걸까?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레나트 닐슨 제공) 1960년대 잡지표지를 장식한 이 사진은 수정 후 약 18주가 된 태아를 찍은 작품으로, 마치 인간 체내에서(more…)
Got mutation? ‘Base editors’ fix genomes one nucleotide at a time
A new class of CRISPR-based tools efficiently corrects point mutations in cell lines, animal models and perhaps the clinic. Credit: Getty(more…)
Trispecific antibodies offer a third way forward for anticancer immunotherapy & 약 하나로 두 가지 치료효과…제약社 ‘이중항체’에 꽂혔다
Immunotherapy approaches seek to boost immune responses against cancer. A single antibody engineered to recognize three targets shows promise, when tested in animals,(more…)
Modeling the early development of a primate embryo
Because mammalian embryos develop inside the uterus after implantation, they are practically inaccessible for direct observation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more…)
CRISPR tool modifies genes precisely by copying RNA into the genome & CRISPR: the movie
The ultimate goal of genome editing is to be able to make any specific change to the blueprint of life. A ‘search-and-replace’ method(more…)
Small molecule combats cancer-causing KRAS protein at last
A molecule has now been characterized that acts to inhibit a cancer-causing form of KRAS protein and stimulate the immune system. The inhibitor(more…)
Next-generation artificial vision comes into view
A grid of photodiodes as wide as a sesame seed rests in the eye of a person with macular degeneration. PHOTO: PIXIUM VISION(more…)
Explaining the puzzle of human diversity
One of the biggest puzzles facing the social sciences is understanding our immense cultural variation. Over the past several thousand years, humanity has(more…)
Beyond the genome: RNA control of stem cells
Tissue-resident stem cells are important for maintaining proper organ and tissue function throughout the lifetime of mammals. Although some types of stem cells(more…)
대장암 세포 스스로 죽게 하는 유전자 발견
독일 JMU 연구진, 저널 ‘네이처 화학 생물학’에 논문 암세포 성장 유도하는 토르 유전자 이미지[앤아버 미시간대 제공] 대장암 종양의 90%는 공통으로 APC 유전자 돌연변이를(more…)
우주배경복사에서 찾은 ‘태초’의 흔적
. . 미세한 밀도 차이가 급팽창 거치면서 은하 탄생 ‘씨앗’으로 작용 카페에서, 길거리에서 우연히 처음 듣는 노래가 맘에 들면 스마트폰을 꺼내 음악이 흘러나오는(more…)
쉐어라이트, 20달러로 아프리카 식수 문제 해결
쉐어라이트가 개발한 퓨리썬. <사진=쉐어라이트> 쉐어라이트가 태양광과 자외선C 발광다이오드(UVC LED) 기술로 아프리카 식수 사각지대 문제 개선에 나선다. 아프리카 전 영역에 제품을 공급할 수(more…)
생각만으로 사물을 움직인다고? & 뇌과학 시대, 사지마비 환자가 벌떡 일어난다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여 음료수를 마시는데 성공한 이후 기뻐하며 웃는 모습.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책을 읽다가 갑자기 졸리면 전등을 끄기 위해 일어나기가(more…)
합성생물학이 초래할 인류의 종말(TED)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Smart cancer nanomedicine
Abstract Nanomedicines are extensively employed in cancer therapy. We here propose four strategic directions to improve nanomedicine translation and exploitation. (1) Patient stratification(more…)
Parents weigh promise and risks of germline editing
A CRISPR edit of their embryos could correct a mutation that causes hearing loss, but is the risk worth it? Yevgenievna and her(more…)
Mapping footprints of past genetic exchange
Controversies in evolutionary biology can linger for centuries. This is not because evolutionary biologists are unusually contentious, but rather because evolution is a(more…)
The immune system mimics a pathogen
Microbes evolve diverse chemical strategies to survive in restrictive environments.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nfection is a notable example of microbial persistence in a harsh milieu. Mtb causes(more…)
Toward synthetic cells
An aspirational goal in cell biology is de novo synthesis of whole cells, with the expectation that this will reveal principles of spatiotemporal(more…)
What does it mean to be alive?
A small bundle of human nerve cells are being cultured in a petri dish. The cells divide. They differentiate into cell(more…)
After decades, progress against an ‘undruggable’ cancer target
Cancer researchers are making progress toward a goal that has eluded them for more than 30 years: shrinking tumors by shutting off a(more…)
Measles erases immune ‘memory’ for other diseases & How measles causes the body to ‘forget’ past infections
Results from tests of unvaccinated children and monkeys come as measles cases spike around the world. Children with measles receive care in(more…)
Primate embryos grown in the lab for longer than ever before
The 20-day-old monkey embryos could reopen the debate about how long the human variety should be allowed to grow in a dish. (more…)
과학저널 `네이처` 창간 150주년…인류史 바꾼 과학 연구들 & Nature at 150: evidence in pursuit of truth
1869년 11월 4일 1호 발간 7일 150주년 기념 생방송 1986년 11월 4일 발간된 과학저널 `네이처` 1호의 표지. [사진 제공 = 네이처] (more…)
노벨과학상의 산실 벨 연구소
이제는 적지 않은 민간기업 연구소들이 과학 분야 노벨상을 배출하는 대열에 합류하였지만, 그중에서도 단연 독보적인 곳은 바로 벨 연구소(Bell Labs.)이다. 벨 연구소 출신으로서 노벨과학상을(more…)
“중국서 ‘일주일에 1캐럿’ 인조 다이아몬드 생성 성공”
“경도·순도, 자연산과 비슷..가격은 6분의 1에 불과” 실험실에서 만든 인조 다이아몬드 [출처 중국중앙(CC)TV. 차이나데일리 캡처] 중국 과학자들이 일주일에 1캐럿 정도 되는(more…)
우주의 기원 ‘빅뱅’ 메커니즘을 우연히 발견하다
원본보기, 초신성. 게티이미지 제공 미국의 한 연구진이 초음속 제트 추진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빅뱅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미국주립대 센트럴플로리다대학교(UCF) 기계항공우주공학부 카림 아흐메드(more…)
Senescent cells feed on their neighbours
Chemotherapy-treated cancer cells that enter a non-dividing state called senescence can nevertheless boost cancer growth. The finding that these cells eat neighbouring cells reveals(more…)
Controversial ‘gay gene’ app provokes fears of a genetic Wild West
Debate highlights broader concerns about tools that use the results of direct-to-consumer genetic testing. Millions of people have had their DNA analysed(more…)
How Australopithecus provided insight into human evolution
In 1925, a Nature paper reported an African fossil of a previously unknown genus called Australopithecus. This finding revolutionized ideas about early human evolution after human(more…)
“세계 최초 ‘인간-원숭이’ 세포 결합한 융합배아 실험 진행”
세계 최초로 인간과 원숭이의 세포를 결합해 배아를 만드는 실험이 극비리에 중국서 진행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에스파냐 최대 언론인 엘 파이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more…)
하와이 마우나케아, 원주민 성지인가 천문학 성지인가
천문대 가득 찬 마우나케아 산에 대형 망원경 추가 건설 계획에 원주민들 반발 며칠 전 하와이 빅 아일랜드 정상에 설치된 천문대에서 근무하던 전(more…)
인간과 바이러스의 끝없는 전쟁
바이러스의 복제와 변이, 그리고 백신과 치료약 요즘 아프리카 돼지열병 때문에 수많은 돼지들이 살처분되고 있다. 감염이 의심되는 돼지들을 죽이는 방법 외에 다른(more…)
고고학자들도 속아 넘어간 희대의 사기극
아마추어 고고학자 ‘후지무라 신이치’는 구석기 유물을 발견하면서 유명해졌다. 하지만 훗날 날조 사건이 들통나 일본 전역에서 160곳 이상 이상의 유적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일러스트(more…)
원유를 가열하면 남는 것은? & 금속을 대체하는 고성능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걸프만에 위치한 카타르 영해 ‘발랄유전’의 채굴 플랫폼 모습. 유전에서 채굴한 원유는 정유공장에서 나프타로 분리됩니다. [사진=AFP/연합뉴스]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건은 ‘원유’로 만들어진(more…)
‘베크렐’, ‘시버트’가 뭐지? 원자력 단위의 비밀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쌓여 있는 방사능 오염수 탱크의 모습[사진=연합뉴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소속 원자력 전문가가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 쌓여있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more…)
죽은 약혼자를 위해 신약을 개발한 화학자, 노벨생리의학상을 받다
거트루드 B. 엘리언 Gertrude B. Elion 화학자, 약리학자 1996년, 노스캐롤라이나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에서 거트루드 엘리언과 막달레나 허기타이 (사진: 이스트반 허기타이) (more…)
말의 발가락이 하나밖에 없는 이유
진화를 거쳐 하나만 남은 말의 발가락. [그림=유튜브 화면캡처] 말의 발가락은 하나입니다. 이 하나인 말의 발가락에 붙어 있는 발톱을 ‘발굽’이라고 합니다. 말발굽은(more…)
불안한 지구의 미래, 인류의 대비는? & “생수에 나노플라스틱 가득…mL당 1억개” 충격 연구 결과 & LG화학 포스코도 뛰어든 ‘썩는 플라스틱’ &&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Svalbard Global Seed Vault)’의 모습.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해수면 상승과 농지의 사막화, 극심한 대기오염, 예측하기 힘든 기상이변, 언제 지구를 습격할지 모르는 운석 등 지구의 미래는(more…)
현미경으로 본 생명 세계의 예술
‘니콘 스몰월드 사진 2019’ 수상작 20점 발표 1위는 수백개 이미지로 완성한 거북이 배아 2019 니콘 스몰월드 사진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받은 거북이(more…)
태양과 물에서 연료를 합성하는 ‘인공 잎’ 등장
英캠브리지대,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저비용으로 합성가스 생산하는 ‘인공 잎’ 개발 태양과 물에서 연료로 사용이 가능한 가스를 합성하는 ‘인공 잎 (artificial leaf)’이 개발돼(more…)
이것이 최신 ‘투명망토’ 기술이다 & 투명 망토·신의 방패…상상을 현실로, ‘메타시대’ 온다 &&
빛을 굴절 시켜 배경만 보이게 하는 투명 망토 기술이 개발됐다 (source:Hyperstealth Biotechnology) ‘투명 망토’ 기술이 개발됐다. 투명 망토가 처음은 아니지만, 그동안 진화해온(more…)
3분이면 정리되는 헬리콥터의 탄생과 현재
비행기는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요? 누구든 이 질문을 받으면 반사적으로 ‘라이트 형제!’라는 말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라이트 형제는 인류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more…)
빛이 입자임을 증명한 콤프턴 효과
빛은 파동이자 입자이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빛을 금속 표면에 쪼였을 때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며 빛이 입자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물리학자는 그의(more…)
빛과 색에 관한 몇몇 이야기 & 데카르트 광학 – Rene Descartes Dioptrics(Optics)
빛과 색에 관한 몇몇 이야기 뉴턴(Isaac Newton, 1642-1727)은 혈기가 왕성했던 1660년대 중반에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의 프리즘 실험을 직접 재현해 보고자 했다.
The treacheries of adaptation
One of Darwin’s great insights was that he took the widespread observation that organisms are exceptionally well-suited to their environment and turned it(more…)
Predict science to improve science
Many fields of research, such as economics, psychology, political science, and medicine, have seen growing interest in new research designs to improve the(more…)
CRISPR-edited babies arrived, and regulators are still racing to catch up
One year after the world learned of He Jiankui’s editing of twins, gaps in rules remain. Last November, a Chinese scientist provoked(more…)
Light trapping gets a boost
The ability of structures called optical resonators to trap light is often limited by scattering of light off fabrication defects. A physical mechanism(more…)
Histone lactylation links metabolism and gene regulation
Cells regulate gene expression in part through the chemical labelling of histone proteins. Discovery of a label derived from lactate molecules reveals a(more…)
도대체 에너지란 무엇일까? & 인간이 고안한 ‘칼로리’, 인간을 지배하다
대관절 에너지란 무엇일까? 과학백과를 찾으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나온다. 그렇다면 ‘일’은 또 무엇일까? 역시 찾아보니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힘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 즉 ‘힘×거리’라고 나온다. 그렇다면 또 힘은 무엇일까? ‘힘은 자연계에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 4가지가 있는데(more…)
현실과 소통하는 가상세계, 디지털 트윈이 뜬다!
‘디지털 트윈’이 뜨고 있다. 최근 디지털 트윈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과 함께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지닌 미래 기술 분야로 선정됐다. 디지털 트윈이란 물리적 세계와(more…)
석탄으로 석유를 만든 화학자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직전인 1938년 독일의 석유 소비량은 4400만 배럴이었다. 당시 미국이 약 10억 배럴을 사용하고 있었으니 엄청나게 적은 양이었다. 전쟁이 개시되자 최대(more…)
꿀벌이 농약 쳐준다고? 美 EPA가 승인한 기술 살펴보니…
꿀벌이 농약 쳐준다고? 美 EPA가 승인한 기술 살펴보니… 캐나다 온타리오주(州) 마컴에서 유기농 딸기·사과 농장을 운영하는 농부 데이브 파사피우메는 몇 년 전 한(more…)
바이러스 벡터, 유전자치료 시대 새 章을 열다
유전자전달 효율성 기반 다양한 질환 타깃 시험 렌티바이러스 용이하게 SIN 디자인 도입 가능 세계 의약품 시장 2025년까지 매년 20개 승인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결실 맺는 시기(more…)
Quantum computing takes flight & A precarious milestone for quantum computing & Hello quantum world! Google publishes landmark quantum supremacy claim
논란의 구글 양자컴퓨터 칩 드디어 공개…”양자우월성 달성했다” 구글 ‘네이처’ 논문 발표…난수 증명 특정 과제에서 슈퍼컴 능가 확인 구글이 양자컴퓨터로 기존(more…)
The promise and peril of the new science of social genomics
Researchers are finding links between people’s genes and complex attribute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time spent in school. The worry is that(more…)
Super-precise new CRISPR tool could tackle a plethora of genetic diseases & 4세대 유전자기술 `프라임 에디터`…유전병 90% 치료 길 열어 &&
The system allows researchers more control over DNA changes, potentially opening up conditions that have challenged gene-editors. A new gene-editing tool called(more…)
‘손씻기’를 주장하다가 미친 사람 취급받은 19세기 의사
세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병원이 “죽음의 집”이던 시절, 이그나스 제멜바이스는 기초 위생이 생명을 구하는 열쇠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엄청난 대가를 치러야 했다.(more…)
인류 첫 블랙홀 발견의 일등공신 EHT 그리고 중력파 & 사건의 지평선, 그리고 블랙홀
2019년 4월 인류 역사상 최초 블랙홀 발견으로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 이론 입증 지구 만한 크기의 전파망원경 통해 5500만 광년 거리 초대질량 블랙홀 관측 성공(more…)
인터스텔라처럼 사람이 블랙홀에 들어간다면?
인터스텔라 주인공 쿠퍼는 블랙홀 빠져서도 생존 실제는 거대한 중력에 따른 차등중력 못 버텨 지난달 인류 역사상 최초로 관측·공개된 초대질량 블랙홀 M87의(more…)
간질은 멈췄는데 기억이 사라졌다?
대뇌 변연계 편도체, 공포와 불안 감정 처리 기능 편도체와 연결된 해마, 기억과 공간 지각 담당 런던 택시 운전사, 일반인보다 큰 해마 가져 (more…)
‘일하는 단백질’ 효소의 신비한 세계
우리 몸 속엔 수많은 모양과 기능을 하는 효소 존재 효소 없거나 이상 생길 경우 유전병 발생하기도 효소다이어트제 큰 효과 기대는 무리…치료용은 혈액에 주입해야(more…)
佛 전신마비 환자, ‘뇌파+로봇 슈트’로 걷기 성공 & 생각하는 대로 움직이는 로봇 개발 눈앞에
뇌신경과 로봇 기계장치를 결합해 걷기에 성공한 전신마비 환자 ‘티보’ [AFP=연합뉴스] 사고로 전신이 마비된 한 프랑스 청년이 뇌파를 감지해 움직이는 일종의 로봇(more…)
AI가 그린 그림…미술계 재앙일까, 축복일까
`주사위 그림` 유명한 작가 두민 AI 화가와 협업한 `독도` 첫 공개 AI 오비어스가 그린 초상화는 크리스티경매서 5억에 팔려 “영혼 없는 AI는 작가 대체 못해” “새로운 미술시장(more…)
어두운 데서 책 보면 시력 떨어진다.. 사실일까?
현대인의 근시는 대부분 나쁜 생활습관이 원인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눈에 대한 잘못된 상식들이 많다. 특히 ‘시력은 유전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극소수만 유전으로(more…)
The search for secrets of the human brain
Large-scale national research projects hope to reveal how it learns, how it controls behaviour and how it goes wrong. Staff members(more…)
Pharma’s roller-coaster relationship with RNA therapies
After a groundswell of hype and a sceptical backlash,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learning how to leverage RNA interference in the clinic. (more…)
RNA therapies explained
Treatments that target RNA or deliver it to cells fa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with hybrid approaches also emerging. Illustration of messenger(more…)
Cell identity reprogrammed
The discovery that cell differentiation can be reversed challenged theories of how cell identity is determined, laying the foundations for modern methods of(more…)
Genetic light bulbs illuminate the brain
Genetically encoded voltage indicators change colour in real time when neurons transmit electrical information, offering unprecedented insight into neural activity. Fluorescent proteins(more…)
Edison and the shadow side of artificial light
David E. Nye examines two volumes on the complex history of lighting technologies. American Lucifers: The Dark History of Artificial Light,(more…)
The structure of DNA
In the early 1950s, the identity of genetic material was still a matter of debate. The discovery of the helical structure of double-stranded(more…)
The first drug designed for a single patient – Scientists Designed a Drug for Just One Patient. Her Name Is Mila
An achievement in ultra-personalized medicine also raises questions about fairness and regulation. Julia Vitarello with her daughter, Mila, 8, who has(more…)
Biologists who decoded how cells sense oxygen win 2019 medicine Nobel &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William Kaelin, Peter Ratcliffe and Gregg Semenza share award for uncovering how genes react when oxygen is low. William Kaelin, Peter(more…)
DNA pushes back the microbiome frontier
Over the past 15 years, researchers have come to appreciate how profoundly the diverse zoo of microbes in the human gut, skin, and(more…)
The physicist and the dawn of the double helix
Three quarters of a century ago, Nobel laureate Erwin Schrödinger published What Is Life?, which described the forays of a “naïve physicist” into biology and(more…)
Remodeling the genome with DNA twists
In complex organisms such as humans, a single genetic blueprint can give rise to a multitude of different cell types, from nerve to(more…)
Double-click enables synthesis of chemical libraries for drug discovery
Operationally simple chemical reactions, termed click reactions, are widely used in many scientific fields. A streamlined synthesis of compounds called azides looks set(more…)
Highlight negative results to improve science
Publishers, reviewers and other members of the scientific community must fight science’s preference for positive results — for the benefit of all, says(more…)
Lab-made primordial soup yields RNA bases & RNA nucleosides built in one prebiotic pot
The chemical feat strengthens theory that the first life on Earth was based on RNA. RNA has been synthesized in conditions(more…)
꿈의 신소재 ‘그래핀’ 무한 변신…쌓거나 접으면 단단함↑
‘그래핀(Graphene)’은 어떻게 구조를 만들어 주냐에 따라 구리보다 100배 높은 전기 전도도와 강철보다 200배 강한 강도,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열전도성을 띠는 꿈의 신소재다. 전세계(more…)
그래핀을 초전도체로 만드는 마법의 각 1.1도,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더
알리 야즈다니 프린스턴대 물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에서 발생하는 초전도 현상이 전자 간의 얽힘 현상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프린스턴대 연구팀 제공 (more…)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침 속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큰 사람들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순간부터 급격하게 녹말이 분해된다. 이는 음식이 더 맛있게 느껴지고 많이 먹는데(more…)
전기뱀장어 신종 첫 발견…역대 최강 860볼트 지지직
사진=E. volai 악어도 기절시키는 힘을 가진 전기뱀장어의 신종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최근 미국 스미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은 신종 전기뱀장어 2종을 새롭게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more…)
전기 저장하는 ‘소금’의 비밀
미국 네바다주 토노파에 건설된 ‘크레센트듄스 용융염 태양열발전소’를 공중에서 바라본 모습. [사진=솔라리저브] 인류의 역사를 바꾼 물질 중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소금(Salt)’입니다. 소금의(more…)
번개는 지구의 전기회로? 천둥번개 이야기
소나기와 호우가 잦았던 올해 7월, 번쩍하며 하늘을 가르는 번개를 보거나 공기를 울리는 무시무시한 천둥 소리를 들은 적이 많았을 거예요. 화려하면서도 두려움을 일으키는 광경이지요.(more…)
5G 전자파 괴담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 & 주파수로 알아보는 5G – 혁신의 시작은 지금부터
‘5G시대, 세상이 바뀐다’는 말은 사실이었다. 이정식씨(중소기업 운영·가명)의 삶은 5G 상용화 이후 완전히 달라졌다. 변화는 이씨 아파트에 5G 기지국이 설치되면서 시작됐다. 아파트 내 기지국(more…)
경고판이 빨간색인 이유
빨간색으로 표시된 여러 도로표지판. 도로표지판 가운데 정지표지판의 색깔은 선명한 빨간색입니다. 다른 경고표지판의 경우도 빨간색 테두리에 검정 글씨나 그림을 그리지요. 왜 경고를(more…)
빛보다 빠른 입자? 과학자들의 어이없는 실수
60나노초 빠른 ‘뉴트리노’ 검출에 환호…알고보니 출발지와 도착지 연구소 시계에 오류 운전면허를 따고 얼마 지나지 않아 처음 고속도로를 달렸을 때, 익숙해지기 어려웠던 것이(more…)
Google claims quantum computing milestone
The age of quantum computing may have begun not with a flashy press conference, but with an internet leak. According to a paper(more…)
Discovery is always political
David Kaiser traces the roots of government support for science, in the first of a series of essays on how the past 150(more…)
The potent effects of Japan’s stem-cell policies
A five-year regulatory free-for-all in regenerative medicine has given the industry a boost. But patients might be paying the price. Illustration(more…)
The emerging world of digital therapeutics
The treatment of many physical and mental-health conditions is going digital. A still from the virtual reality system gameChange — developed(more…)
Novelist Cormac McCarthy’s tips on how to write a great science paper
The Pulitzer prizewinner shares his advice for pleasing readers, editors and yourself. Actor Josh Brolin as Llewelyn Moss in the 2007(more…)
탄소나노튜브, 반도체 패러다임을 바꾼다
미국 MIT 맥스 슐레이커 교수팀이 개발한 ‘RV16x나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16비트 프로세서다.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는 실리콘 반도체를 사용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어설픈 장비’라고 회상할지 모른다. 꿈의(more…)
매운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는 이유
매콤한 음식이 흥미를 자극하는 기분을 모르는 사람은 없어요. 단순히 입속에 불이 타오르는 느낌을 느끼려고 매운 음식을 먹기도 하지요. 어떤 사람은 매운맛을 아주 좋아하지만,(more…)
훔볼트를 기리며 종다양성 선입견을 깨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맑고 파란 물이 흐르는 산의 모습을 이번주 표지로 실었다.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3일(한국시간) 맑고 파란 물이 흐르는 산의(more…)
희귀 유전질환과 유전자 치료의 ‘꿈’
피부 대부분 벗겨지는 ‘연접부 수포성 표피 박리증’ 앓던 9세 소년, 유전자 치료로 완치 ‘기적’ 전 세계 70억 인구 중 10%는 크고 작은 유전질환(more…)
암이 보내는 의문의 택배 ‘엑소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 ‘암’…조기발견만 되면 생존률 급격히 상승 신체 내부 조기경보장치 ‘엑소좀’…모든 세포가 분비하는 세상서 가장 작은 ‘택배’ 엑소좀 활용 조기 진단(more…)
보이지 않는 미생물의 놀라운 세계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부정적 이미지의 미생물 인류에 유익한 점 많아 잘 이용하면 큰 혜택 누릴 수도 방사능 물질, 폐플라스틱 분해 등 환경(more…)
손씻기는 몸을 지키는 가장 쉽고 빠른 멸균법 손씻기와 소독의 역사
제멜바이스를 향한 의심의 주원인은 의사들의 무지였어요. 의사들은 자신이 무엇과 싸우고 있는지도 몰랐어요. 이런 상황은 1870~1880년대에 로베르트 코흐와 루이 파스퇴르가 빗방울에도 생명체가 바글거린다는 점을(more…)
With CRISPR and machine learning, startups fast-track crops to consume less, produce more
Small players take on big seed conglomerates with next-generation non-GMO crops. Agbiotech newcomer Inari has raised $89 million to pursue an(more…)
Countering opioid side effects
The toll from opioid overdose in the United States now exceeds 45,000 deaths per year. Shockingly, more Americans die from opioid overdose than(more…)
GM mosquito study draws fire
Genetically modified mosquitoes, such as these being released in Brazil, could combat infectious diseases. PHOTO: PAULO FRIEDMAN For 10 years, the(more…)
CRISPR-mediated live imaging of genome editing and transcription
Tracking nucleic acids in living cells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is a powerful molecular technique for detecting nucleic acids in cells. However,(more…)
C-section babies are missing key microbes
UK study provides the best evidence yet that the way infants are born can alter their microbiomes — but the health effects are(more…)
Glowing DNA label illuminates a cell’s fine details
Fluorescent tag can be affixed to proteins or genetic structures of interest. DNA tags could help scientists to study ion channels(more…)
여기 구멍이 왜 있지? ‘구멍’의 과학
도넛에 구멍이 뚫려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진=크리스피크림 도넛] 우리가 먹는 음식과 사용하는 물건들에는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예를 들면 도넛이나 비스킷에도 구멍이 뚫려있고,(more…)
“‘도약 유전자’ 트랜스포존, 잠금장치 풀리는 이유 규명”
미 애리조나대 연구진, 헤테로크로마틴 ‘허점’ 확인 DNA 구조[게티 이미지뱅크 제공] 트랜스포존(transposon)은 염색체상의 위치를 쉽게 바꿔 ‘도약 유전자(jumping genes)’라는 별칭을 얻었다. 트랜스포존은, 옥수수 연구로(more…)
정전기 발생 원리 최초 규명 – 나노 크기 표면 돌기가 구부러지면서 발생
대부분의 사람들은 머리에 풍선을 비벼대면 머리털이 돋고, 양말을 신고 카펫을 걸으면 작은 불꽃이 튀는 경험을 해 본 적이 있다. 스웨터를 벗을 때도 번쩍하는(more…)
‘별이 반짝이는 이유’를 최초로 알아낸 남자
사진 왼쪽은 한스 베테(1906~2005). 독일 출신이지만, 어머니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나치의 박해를 받자 미국으로 망명했고 1935년 코넬 대 교수가 됐다. 리처드 파인만, 칼 세이건(more…)
인니 산불 지역 ‘붉은 하늘’ 현상에 술렁..과학적 설명
인니 기상청 “빛의 파장 크기 미세먼지 입자에 의한 미산란 현상” 인도네시아 산불 발생 지역에서 하늘이 붉게 물드는 현상으로 민심이 술렁이자 정부가 과학적(more…)
New middle chapter in the story of human evolution
By comparing genetic information from extant humans worldwide, researchers have painted a broadstrokes picture of human prehistory. However, these data reveal only the(more…)
Humboldt for the Anthropocene
Julius Schrader’s portrait (1859), “Baron Alexander von Humboldt,” shows Chimborazo and Cotopaxi in the background. IMAGE: JULIUS SCHRADER/METROPOLITAN MUSEUM OF ART, GIFT OF(more…)
Making perfectly controlled arrays of molecules at rest
Since their invention in the early 1970s, optical tweezers have evolved from enabling simple manipulation to applying calibrated forces on—and measuring nanometer-level displacements(more…)
Emerging uses of DNA mechanical devices
Modern machines, which are composed of force-generating motors, force sensors, and load-bearing structures, enabled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are foundational to human civilization.(more…)
Embryo-like structures created from human stem cells
New method makes it easier to create structures to model early human development, but raises ethical issues. An early human embryo.(more…)
Many cancer drugs aim at the wrong molecular targets & CRISPR reveals some cancer drugs hit unexpected targets
Many cancer drugs aim at the wrong molecular targets Analysis using CRISPR gene-editing technology suggests that drugs’ mechanism of action are misunderstood. (more…)
Scientists use gene-edited stem cells to treat HIV — with mixed success
Modified cells survived 19 months after transplant into an HIV-positive man in China, but the dose was not enough to reduce his viral(more…)
Stability makes a difference
Single-molecule devices with low variability can be made by decoupling electronic transport and chemical attachment to the electrode. In the past four(more…)
전기차는 과연 친환경적인가 – ‘탈석탄발전 가속화해야 전기차도 친환경’
● 휘발유차 대비 온실가스 53%, 미세먼지 92.7% 배출 ●“공해 발생 장소를 발전소에서 전기차로 옮겨놓은 것뿐” ● 국내 전기차 1년 만에 두배 성장 7만2814대(6월(more…)
유전자 가위 기술 파충류에 첫 적용 흰 도마뱀 만들어
크리스퍼 기술 난생 동물로 확장…백색증 시력결함 해결 모델 만들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로 만들어낸 알비노 도마뱀[더그 멘케 제공] 미국 연구진이 유전자(more…)
생명이란 무엇인가 – 삶과 죽음, 그 경계에 대하여 & 죽은 돼지에 약물 넣자, 심장이 뛰고 뇌가 살아났다
[shutterstock] 삶과 죽음, 그 경계선은 얼마나 뚜렷합니까. 갈색 곱슬머리의 아일랜드 과학자가 숨죽인 강연장에서 첫 마디를 열었다. 삶과 죽음에 대한 것이라니. 노년의(more…)
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심해의 열수분출공 주변은 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열과 영양분을 공급한다. 최근 일본 연구자들이 수심 2533미터 해저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에 존재하는 아스가드 고세균을 실험실에서(more…)
희망 잃은 삶 구할 한줄기 빛 같은 과학 연구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어둠 속 복잡하고 험난한 길을 헤쳐 나오는 한 사람을 표지에 실었다. 그가 길을 헤쳐 나올 수 있도록 연구자들이 빛을(more…)
뇌는 어떻게 장기 기억을 보존하나? & “기억은 어디에 저장되는가” 110년 된 ‘엔그램’ 수수께끼
장기 기억 유지하는 분자 메커니즘 밝혀 뇌는 감미로운 첫 키스로부터 아기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소중한 기억들을 안전하게 보존한다. 이러한 신기한 재주는 어떻게(more…)
‘나치의 해부학’ 딜레마…악에서 나와 선하게 쓰인다면?
페른코프, 홀로코스트 희생자 주검으로 해부학 도감…정교한 묘사, 선명한 채색 윤리적 딜레마…의사 70% “거리낌 없어” 랍비 “생명 살릴 수 있다면 활용 가능” “악의 결실(more…)
암종 가리지 않는 ‘만능항암제’ 로슈의 로즐리트렉 FDA 품목허가
특정 종양이 아닌 특정 유전자에 목표..다양한 종양에 적용가능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에도 승인..국내에서도 희귀의약품 지정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암종에 상관없이 특정 유전자를 목표로 한(more…)
마음 속 목소리를 들려줘: 뇌파 언어 해독기
(사진: UCSF) 뇌에 전극을 붙여,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소리로 낸다? 영화에서나 볼 법한 장면이죠. 하지만 이것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곳이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의 신경과학자들이 놀라운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했습니다. 이(more…)
톱니모양 병뚜껑에 숨은 과학
왕관병뚜껑 생산 모습.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평소 병 속에 든 술이나 음료를 마실 때 병뚜껑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여름이다 보니 병(more…)
심 정지…뇌사…죽음이란 무엇입니까?
죽음에 관한 몇 가지 사례들 구스타프 클림트 ‘죽음과 삶’ (1908-1915) 벵상 랑베르, 자히 맥매스. 42세 프랑스인 간호사와 13세 미국인 소녀는(more…)
와이파이 발명자가 할리우드 여배우? & 1회용 밴드 개발 비결, ‘사랑 vs 지원?’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아래는 2019년 7월 3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1회용 밴드 개발 비결, ‘사랑 vs 지원?’(more…)
동물실험 대체할까…깜빡임까지 재현한 ‘눈 모사칩’ 개발
美 펜실베이니아대 허동은 교수,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 생명현상을 연구하고 신약 후보물질을 실험할 수 있는 ‘장기칩'(human organ-on-a-chip)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장기칩은 플라스틱 위에 세포를(more…)
“‘뇌-컴퓨터 연결’로 AI 위협 넘자” 머스크 꿈 구체화 & 머스크의 뉴럴링크 “인간 뇌에 칩 이식 임상시험 FDA 승인” &&
뉴럴링크, 새 기술 성과 공개 쥐 뇌에 칩 심어 컴퓨터 연결성공 머스크 “내년 인체 실험 신청계획” 설치뒤 문제 생기면 ‘치명적 위험’ (more…)
‘날 먹지마’ 애원하는 암 세포 단백질 또 발견
게티이미지뱅크 면역세포는 암세포를 감지하면 완전히 에워싸 집어삼킨다. 암세포에게도 살아날 방법은 있다. 암세포 표면의 일부 단백질들이 면역세포에게 ‘날 먹지마’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more…)
식물에도 ‘기생식물’ 있다…숙주의 유전자를 훔쳐쓰다
숙주 식물에 기생하는 새삼. 출처=Joel McNeal, Kennesaw State University 기생(parasitism)은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의 영양분을 빼앗으면서 함께 살아가는 관계를 의미한다. 기생이라고 하면 우리가 떠올리는 일반적인(more…)
자살하는 동물과 인간의 차이점은?
엄마를 잃은 후 우울증을 앓던 아들 침팬지가 한 달 뒤 숨졌습니다. 아들 침팬지는 자살한 것이 아닐까요?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유명인의 자살이 이어지면서 우리(more…)
시간이 왜 변할까? & 상대성 이론 이야기 Q&A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A dynamic view of chemotherapy effectiveness
Chemotherapy can halt cancer by causing cells to enter a non-dividing state called senescence, but sometimes it causes tumour cells to proliferate. It(more…)
Bringing machine learning to the masses
A machine learning tool called Northstar lets users play with data visually. PHOTO: MELANIE GONICK Yang-Hui He, a mathematical physicist at(more…)
A FRESH SLATE for 3D bio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more commonly called three-dimensional or 3D printing) of biomateria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faces many technical hurdles. For example, complex multiluminal structures,(more…)
China’s CRISPR revolution
Editing of plant, animal, and human genomes has never been easier, as this country’s scientists are rapidly demonstrating. FOR MANY PEOPLE, CRISPR(more…)
The long shadow of a CRISPR scandal
He Jiankui’s controversial gene-editing experiment brought intense scrutiny to CRISPR scientists in China, and they’re outraged. As He Jiankui strode to the podium(more…)
The CRISPR animal kingdom
China has used the genome editor more aggressively, on more species, than any other country. After using CRISPR to edit a gene(more…)
Enriching stem cells for gene editing
Gene editing using CRISPR-Cas9 may allow targeted treatment for a variety of genetic diseases. These include inherited abnormalities of β hemoglobin, which can(more…)
Spectroscopy of graphene with a magic twist
When two graphene sheets are stacked so that there is a specific angle between them, fascinating properties reminiscent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emerge. Spectroscopy now(more…)
아프리카서 호주까지, 초기 인류는 어떻게 이동했을까?
▲ 초기 인류는 빙하기의 얕은 개펄을 건너 호주와 파푸아뉴기니에 도착하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섬과 섬 사이를 대규모로 이동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전통 의상을(more…)
동물자궁 빌려 인간장기 만든다…日, 인간·동물세포 융합 배아 실험
도쿄대, 인간세포 쥐 배아 넣어 쥐 자궁 이식 뒤 분만까지 추진 인간 췌장세포 분리뒤 장기이식 `세포혼합` 윤리적 문제 지적도 인간과 동물(more…)
‘유전자가위’ 몸속에 넣어 난치병 치료 첫 발 & 유전자가위로 선천성 망막질환 치료 가능성 입증 &&
美FDA, 바이오 기업 임상승인 3세대 크리스퍼 상용화 길 열려 선천성 실명 환자 18명 시험 3세대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를 몸속에 넣어 선천성 안질환을 고치는 치료제(more…)
세로토닌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요약]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뇌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이 수면을 촉진시키는 영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가 세로토닌 분비와 관련이 있는 치료제에서 발견되는 부작용을(more…)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글자 입력 가능해진다 & 컴퓨터의 탄생 & 왜 키보드는 ‘QWERTY’로 시작할까
페이스북, 비삽입형 웨어러블 개발 실시간으로 뇌파 분석해 감정 해독 아직 정확도 낮지만 잠재력 무궁무진 페이스북이 생각만 하면 곧장 컴퓨터에 글자가(more…)
DNA스토리지로 데이터 쓰고, 읽고, 계산한다
EU FET이니셔티브 지원 프로젝트 ‘올리고아카이브’ (지디넷코리아=임민철 기자)전자부품이 아니라 유기화합물인 디옥시리보핵산(DNA)을 데이터 저장매체로 사용할 수 있을까. 수년전만해도 연구자들 사이에서 실용성에 의문이 제기된 이 아이디어가 어느샌가(more…)
과학자는 왜 연구를 하는가 – 과학과 자본주의 (1)
한국에서 과학자의 삶을 선택하고 과학자로 살아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기 위해, 연구비를 받기 위해, 받은 연구비를 올바르게 쓰기 위해, 쓴(more…)
The computational protein designers
A new breed of protein engineers is finding that the best way to create a molecule is to build it from scratch. (more…)
The forgotten part of memory
Long thought to be a glitch of memory, researchers are coming to realize that the ability to forget is crucial to how the(more…)
The ethics of brain–computer interfaces
As technologies that integrate the brain with computers become more complex, so too do the ethical issues that surround their use. (more…)
How to map the brain
As efforts to chart the brain’s neurons gather pace, researchers must find a way to make the accumulating masses of data useful. (more…)
Flower power as human cancer cells compete with normal cells
Cells compete for survival during development. It emerges that mammalian cells on a path to form a tumour express specific versions of the(more…)
Cancer-cell death ironed out
Ferroptosis is a form of cell death. The finding that cells that have certain mutations in the Hippo signalling pathway are susceptible to(more…)
AI protein-folding algorithms solve structures faster than ever
Deep learning makes its mark on protein-structure prediction. Predicting protein structures from their sequences would aid drug design.Credit: Edward Kinsman/Science Photo(more…)
타이어 펑크 때문에 다 녹아버려… 실수로 만들어진 아이스크림
내가 어릴 때 긴 나무 막대기에 공만 있으면 언제든 게임은 시작됐다. 덩치 큰 동네 형들과 주로 놀았던 나는 공이 안 갈 것 같은(more…)
화성에서 식물 키우기… 영화 ‘마션’ 현실이 된다 & 사라진 ‘화성 메탄’, 깊어진 외계생명체 미스터리 & 화성에서 생명체 흔적 쫓는 퍼서비어런스
美 하버드대 연구진 발표 공기로 채워진 ‘에어로겔’로 화성 표면 덮으면 온도 상승… 화성에서 농산물 재배도 가능 공기만큼 가벼운 반(半)투명 물질로 화성을 식물이 자랄(more…)
DNA 편집 ‘유전자 가위’의 진화 “더 정교하고 안전하게” &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
#신경 퇴행과 운동 능력 실조 증상을 불러오는 루게릭병 환자 A(60)씨는 최근 개인 유전자 검사에서 ‘TDP-43’의 발현이 일반 사람들보다 많다는 사실을 들었다. 유전자 가위를(more…)
인간 피부세포로 ‘미니 뇌’ 개발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진은 매우 희귀한 퇴행성 뇌질환인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을 연구하기 위한 ‘뇌 오가노이드’를 개발했다.(2019. 6) 현미경으로 본 오가노이드의 모습. 출처 : NIH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진이(more…)
식물에게는 의식이 없다?
식물학계, 셀 지에 공격적 논문 게재 지난 2017년 미국의 신경생리학자인 그레그 게이지(Greg Gage) 박사는 TED 강연에서 식물도 사람처럼 생각하고 숫자를 셀 수(more…)
동물실험 통해 에이즈 ‘완치’
T세포 주입 후 유전자가위로 DNA 제거 1980년대 초 미국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던 특이한 환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5명의 남자였는데 동성애자들이었고 원인불명의 폐렴을 앓고(more…)
노벨상 최다 수상은 ‘초파리’?
노벨상으로 수여되는 메달의 앞뒷면. 노벨상은 1901년에 제정됐습니다. 무려 120년 가까이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오점도 있었지만 인류는 노벨상을 세계 최고 권위의 상으로 인정하는데(more…)
Scandal-weary Swedish government takes over research-fraud investigations
The Research Misconduct Board is one of the first national agencies tasked with investigating serious research misconduct. Trachea surgeon Paolo Macchiarini(more…)
CRISPR patent fight revived
A surprise ruling last week reignited the high-profile patent fight over who invented a key application of the genome editor CRISPR. The 3-year-old(more…)
Epigenetics comes to RNA
An enzyme (pink) places a chemical mark (gold) on messenger RNA (blue), in an artist’s concept. IMAGE: STORM THERAPEUTICS The idea(more…)
Inserting DNA with CRISPR
Most prokaryotes rely on the CRISPR-Cas system for adaptive immunity against viruses and mobile elements (1, 2). Small RNAs produced from CRISPR direct Cas(more…)
Financial temptation increases civic honesty
A lost wallet returned to its owner serves as a new proxy for the finder’s civic honesty. PHOTO: R. ASHRAFOV/SHUTTERSTOCK Does(more…)
Was our species in Europe 210,000 years ago?
In the late 1970s, anthropologists exploring a cave on the rugged coast of southern Greece found two mysterious hominin skull fossils. Time had(more…)
A panoramic view of photodissociation
As light pulses get shorter in time, they correspondingly get broader in frequency. Kobayashi et al.take advantage of both properties of attosecond pulses to(more…)
Boosting engineered T cells
After decades of work, researchers have finally begun to see broadly reproducible success of engineered T cells in the treatment of cancer. Chimeric(more…)
Caging cells in functional shells
Unprotected cell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including temperature, pH, and osmotic pressure. Zhu et al. have developed a facile route to encapsulating(more…)
Getting the most out of muscles
Materials that convert electrical, chemical, or thermal energy into a shape change can be used to form artificial muscles. Such materials include bimetallic(more…)
No limit: AI poker bot is first to beat professionals at multiplayer game
Triumph over five human opponents at Texas hold’em brings bots closer to solving complicated real-world problems. Multiplayer poker has falled to(more…)
Machine-learning-assisted selection of antibiotic prescription
Machine learning can use patient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previous clinical history to help physicians select the antibiotics most likely to successfully treat urinary(more…)
When there’s more than one way to target a cancer
Designing oncology drugs to hit more than one biochemical target could lead to more effective drugs, but it’s a battle getting there. (more…)
Tiny robot bee powered by light takes flight
Machine carries ultra-lightweight solar cells — and weighs less than a paper clip.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Read the paper: Untethered flight(more…)
Move over, DNA: ancient proteins are starting to reveal humanity’s history
Proteins dating back more than one million years have been extracted from some fossils, and could help to answer some difficult questions about(more…)
Flight of the RoboBee
Tiny flying vehicles require intricate design trade-offs and have previously relied on an external power supply. The sustained flight of an untethered, insect-sized(more…)
로봇에게 폭력을 휘둘러도 될까? 로봇 학대 논쟁
6월 17일, IT 매체 더 버지는 움짤 하나를 게재했다. 사람이 의자로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를 내려치는 장면이었다. 아마 대부분 불쾌감을 느꼈을 거다.(more…)
물범은 사람 노래도 흉내…발성 메커니즘 같은 유일종 판명
. 물범이 사람의 발성과 노래를 흉내 낼 수 있다는 놀라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 연구진이 회색물범을 대상으로 한 실험(more…)
뇌심부 자극해 뇌질환 치료
[요약]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ETH) 연구자들은 뇌자극을 통해 스트레스 결과를 조사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과학자들의 연구가 성공한다면 문자 그대로 따로 약을 복용하지(more…)
美서 첫 사망자 공식 확인한 ‘대변이식술’은 어떤 치료인가 & “그냥 똥이 아닙니다”…못 하는 게 없는 ‘만능 치료제’
대변에서 이로운 균만 정제해 환자 장 속에 이식 미국 대변은행 ‘오픈바이옴’에서 저장 중인 대변이식술 용 대변 샘플들. 오픈바이옴 제공 대변이식술은(more…)
세상에서 가장 단순한 동물에 공생하는 세균
[요약] 세상에서 가장 단순한 동물인 털납작벌레에 공생하는 두 종류의 세균이 밝혀졌다. 한 종은 지금까지 한 번도 사진으로 포착하지 못했던 것이며, 다른 한 종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이지만(more…)
모기 불임시켜 박멸하는 ‘유전자 가위’…생태계 교란 ‘바이오 무기’ 우려도 & World’s most invasive mosquito nearly eradicated from two islands in China & 불임 수컷’ 퍼뜨린 후 2년… 모기는 씨가 말랐다 &&
英서 ‘유전자가위’ 실험 성공 유전자 편집기술로 불임 유도 야생모기와 교미 시킬 경우 몇 세대 걸치면 종 완전 박멸 모기는 사람 피를 빨아먹고(more…)
텔로미어, 남은 수명을 알려준다?
텔로미어는 노화 방지를 밝혀낼 수 있는 열쇠입니다. [그림=이진경 디자이너] 인간의 몸은 노화합니다. 늙어간다는 것이지요. 이 말은 우리 몸 안의 세포들이 더 이상(more…)
인체 면역반응 온·오프 하는 ‘단백질 스위치’ 발견
독일 뮌헨 공대 연구진 보고서 길 안내 받듯 따라가는 면역세포들 [사이언스 제공] 인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최고 경계 수위의 면역체계를 작동해 다양한 종류의(more…)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美 코넬대, 소프트 로봇 개발 주목 미국 코넬대와 펜실베이니아대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물고기가 수조 속을 헤엄치고 있다(왼쪽 사진). 미국 코넬대와 펜실베이니아대 연구팀이(more…)
물을 튕겨내는 화학기술, ‘워터프루프’
날씨가 더워지면서 물놀이와 땀, 비 등 ‘물’과 관련된 활동들이 점점 많아지는 요즘입니다. 그래서 여름엔 워터프루프 제품을 많이 찾기도 하죠. 땀과 물에 잘 지워지지(more…)
태평양 상공서도 ‘빵빵’ 터지는 비행기 와이파이 비밀은 & 누리호 위성, 충돌 위험 크다…비좁은 550㎞ 지구궤도
비행기는 와이파이 제공을 위해 지상기지국과 인공위성을 활용한다. 지상기지국과 인공위성을 각각 활용하거나 둘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이용한다. 델타항공 미국 국내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가 가능함을(more…)
쌀알보다 작은 컴퓨터가 있다?
<Science. Applied to Life.> 과학이 생활을 만날 때! 3M은 과학과 생활의 접점에서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3M의 브랜드 DNA에 과학이 새겨져(more…)
Microbes make metabolic mischief by targeting drugs
Tests of whether a range of gut bacteria can metabolize a diverse group of drugs has revealed that all the microbes metabolized some(more…)
Selective killing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from within
Some bacteria naturally transfer pieces of their DNA within and between species. Such a piece of DNA has been engineered to act as(more…)
Radiocarbon revolution: the story of an isotope
Chris Turney applauds a book on carbon-14 and its key applications in archaeology, climatology and oceanography. A human femur, thought to(more…)
The secret social lives of viruses
Scientists are listening in on the ways viruses communicate and cooperate. Decoding what the microbes are saying could be a boon to human(more…)
What universities can learn from one of science’s biggest frauds
Detailed analysis of misconduct investigations into huge research fraud suggests institutional probes aren’t rigorous enough. Bone-health research was hit by a(more…)
The changing phase of data storage
The combination of ferroelectrics and phase-change materials provides a route towards phase-change data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ithout heating. The current(more…)
현대판 연금술, 상온 핵융합의 진실은?
1989년 3월 23일, 핵융합 연구계가 발칵 뒤집혔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상온에서 핵융합 반응이 발생했다는 소식이 들려왔기 때문이죠. 미국의 유타대학교의 스탠리 폰즈와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의(more…)
신비로운 힘, 전기
정전기─유리나 호박을 문지르면 작은 실이나 종잇조각을 끌어당기거나 밀쳐내는 힘이 발생하는 것─는 고대로부터 알려진 현상이었다. 18세기 초에 기계를 이용해서 물체에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면서(more…)
항산화 물질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원본보기 [사진=Terez Tarasova/gettyimagesbank] 산소는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생명의 원천이기도 하면서 반대로 너무 과하면 조직 세포를 죽이는(more…)
음주측정기, 후! 불면 어떻게 아는걸까?
“후 하고 불어주세요!”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음주측정기. 어떤 원리로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까? 최초의 음주측정기 최초의 음주측정은 1939년 미국(more…)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150주년…’화학’이 가져온 세상의 변화
2019년은 주기율표가 만들어진 지 150년이 되는 해이다. 원소들을 원자번호 순서대로 열거하면서 반복되는 주기적 화학 성질에 따라 배열한 주기율표는 러시아 화학자 드미트리(more…)
식품 보관 기간 늘리는 획기적인 기술
과일이나 채소는 신선식품이다. 신선함이 생명인 만큼 빠르게 섭취해야 좋다. 보관을 잘못하거나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버리면 금세 먹지 못하는 음식물 쓰레기로 전락한다. 하지만 앞으로는(more…)
동물실험서 ‘회춘’ 성공…’사람나이 환산 50대→20대 회춘’ & 나이는 숫자에 불과?… 생체시계 거꾸로 돌려 중년의 생쥐 회춘시켜 &&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혈액속 단백질의 일종인 효소를 젊은 쥐에게서 추출해 늙은 쥐에게 주사하면 신체활동이 활발해져 수명이 연장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람도 나이가 들면(more…)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희망 ‘비타민B6’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3일 분자구조가 세세히 드러난 단백질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파란 단백질이 노란 단백질을 감싼 모습의 이 단백질 복합체는(more…)
A형 혈액을 O형으로 바꾸는 기술 나왔다
캐나다 연구진, 효소 이용해 개발.. 수혈용 혈액부족 문제 해결 기대 효소를 이용해 A형 혈액을 모두에게 수혈 가능한 O형 혈액으로 바꾸는 기술이 개발됐다.(more…)
Hijack of CRISPR defences by selfish genes holds clinical promise & DNA 자르지 않고 유전자 교정하는 기술 개발
Parasitic genetic elements called transposons carry CRISPR machinery that is normally used against them by bacterial cells. This paradox has now been explained,(more…)
The digitization of organic synthesis
Abstract Organic chemistry has largely been conducted in an ad hoc manner by academic laboratories that are funded by grants directed towards the(more…)
Gut microbes metabolize Parkinson’s disease drug
The trillions of microorganisms that form the gut microbiota contain a treasure trove of enzymes. These directly modify and metabolize dietary components, drugs,(more…)
Science fiction: Fictitious experiments in patents
Although it may surprise scientists, one can receive a patent in many jurisdictions without implementing an invention in practice and demonstrating that it(more…)
원숭이 뇌에 인간 유전자 이식…中 연구팀, 생명윤리 논란 & 인간 뇌세포가 쥐의 뇌에서도 완벽히 작동했다
원숭이 뇌에 인간 유전자 이식…中 연구팀, 생명윤리 논란중국 연구팀이 원숭이 두뇌에 인간 유전자를 이식한 실험으로 생명윤리 논란에 또 다시 붙을 붙였다. 중국은(more…)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풀 속에 숨어있는 초록색 도마뱀의 모습을 6일 표지로 실었다. 초록 아놀리라고 불리는 이 도마뱀은 몸길이 12~18cm에 주로(more…)
방사선 피폭도 문제없다?…방사선 내성 물질 발견
방사선에 노출된 장 세포 비록 우리는 인지하지 못하지만, 세상은 각종 방사선으로 가득 차 있다. 천연 방사능 물질 및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방사선(more…)
체내 미생물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 만성질환·난치병 고치는 의로운 세균들 ‘마이크로바이옴’
국제학술지 ‘네이처’ 30일자 표지에 실린 마이크로바이옴. 네이처 제공 알록달록한 해초와 말미잘들이 바다 가득 메우고 있는 듯한 이 그림은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을 표현한(more…)
사랑을 음식으로 증명?…먹이로 구애하는 이집트 과일박쥐
사진=123rf 동물의 세계에서는 수컷이 암컷을 두고 경쟁을 벌이는 일이 흔하다. 큰 덩치와 뿔을 이용해서 힘으로 경쟁하거나 화려한 깃털을 이용해서 외모로 승부를(more…)
거미독 곰팡이, 모기 99% 박멸…획기적 퇴치제 나오나
‘거미독 곰팡이’가 모기 99%를 퇴치하는 효과를 보였다/사진=메릴랜드대학교 살충제에 내성이 생긴 모기를 박멸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연구팀은 서아프리카(more…)
DNA 교정의 이면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한 중국 과학자로 인해 세계가 충격에 빠졌다. 중국 선전 남방과기대의 허젠쿠이 박사가 유튜브 영상을 통해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 면역력을 갖도록 유전자를(more…)
국민 약의 배신? 민낯 드러났나…우루사, 아로나민, 이가탄, 인사돌 줄줄이 논란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일반 의약품 베스트셀러 제품들이 올해 들어 줄줄이 논란에 휩싸였다. 가장 기본적인 효능과 관련된 것이어서 체면을 제대로 구겼다.(more…)
며느리도 모르는 신약 개발 비법?…”수십만 화합물 합성이 원천” & ‘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 인공지능이 개발한 신약, 사상 첫 임상시험 &&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신약을 만드는 일은 수십만개 이상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치료 효과를 찾는 확률 게임이다. 종가(宗家)에서 장 담그는 비법을 집안 며느리에게도 함부로 전수하지(more…)
페트병의 아름다운 변신
적정기술로 페트병 전구가 탄생했습니다. 빛이 없는 곳에 빛을 선물한 것이지요. [사진=wikimedia commons] 페트병이 변신하고 있습니다. 가난한 나라를 중심으로 페트병을 활용한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 활성화(more…)
액체 수소 연료전지 비행기, 친환경 항공기의 미래될까? & 수소는 산소와 이렇게 만나야…전류가 흐른다
CHEETA 시스템의 개념도 수소 연료 전지는 21세기 청정에너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화석 연료와 달리 산소와 반응시키면 순수한 물 이외에 다른 부산물이 없어 친환경적일(more…)
인터스텔라처럼 사람이 블랙홀에 들어간다면?
인터스텔라 주인공 쿠퍼는 블랙홀 빠져서도 생존 실제는 거대한 중력에 따른 차등중력 못 버텨 [편집자주]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 기초과학의 중요성은(more…)
별의 탄생과 소멸의 경이로움 & 우주는 120억년 전 어떻게 ‘물’을 만들었을까? & 원소들의 족보…우리 몸의 원소들은 어디서 왔을까?
거대 질량 별, 소멸 시 ‘초신성 폭발’ 일으키며 각종 원소 대방출 가스·먼지 구름 ‘성운’ 뭉쳐 형태 갖춘 후 핵융합으로 별 재탄생 초신성(more…)
‘할아버지 패러독스’? – 시간여행은 정말 가능한가? & 시간이 거꾸로 흐를 수 있을까? &&
사진=123rf 우주 전문 사이트 스페이스닷컴 5일자(현지시간)에 그레그 우에노의 시간 여행에 관한 흥미로운 칼럼이 발표되어 아래에 소개한다. 우에노는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많은(more…)
온난화 한 눈에 보여주는 7만5천일의 기온 관측 기록 & ‘차니 리포트’를 기억하라!
18C말 옥스포드대 천문학 교수 기상관측 1813년 11월14일부터 기온 기록 지속돼 연평균기온 띠로 나타내면 온난화 뚜렷 1850년대 9.5~10도보다 현재 1도 높아 1813년부터 기록된 영국(more…)
DNA barcodes jump-start search for new species
For centuries biologists have identified new species at a painstakingly slow pace, describing specimens’ physical features and other defining traits, and often trying(more…)
Cell fate decisions during development
The shape of our nose, the color of our skin, the movement of our gut, all depend on an extraordinary cell type called(more…)
Organoids-on-a-chip & Cancer modeling meets human organoid technology & 항암·맞춤치료 혁명 가져올 ‘오가노이드’
Abstract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an array of stem cell–derived, self-organizing miniature organs, termed organoids, that replicate the key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more…)
The human body is a mosaic of different genomes & Somatic mosaicism in normal tissues
Survey finds that ‘normal’ human tissues are riddled with mutations. Skin has a high level of mosaicism compared to other tissues in(more…)
How to bring preprints to the charged field of medicine
MedRxiv launches with beefed up screening processes to allay concerns about risks of publishing unvetted clinical research. The founders of the popular(more…)
A sticky solution could speed up drug discovery
Researchers screening potentially valuable enzymes ditch a time-consuming step. Machinery in a lab that aims to identify new drugs. A nifty(more…)
Antisense therapies pose a regulatory conundrum
A wave of customized medicines is coming, but are drug agencies ready? Congressman Steve King meets Jaci Hermstad. Lori Hermstad This(more…)
초고층건물 철거, 중력 이용한 발파해체
발파해체는 굉장히 복잡하고 정교한 작업입니다. 폭약의 힘보다 중력을 이용한 과학적 작업입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수십층 높이의 초고층 건물을 철거할 때 ‘파쇄공법’과 ‘절단공법’이 있습니다.(more…)
지구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한번쯤은 지구를 관통해 여행하는 상상을 해보셨을 거예요. 만약 진짜 관통한다면 시간은 얼마나 걸리고, 무슨 일이 생길까요? 하지만 이 글을 읽기 전에 미리 짚고 넘어가야 할(more…)
기후 변화로 암울한 물의 미래
[요약]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세계에서 가장 물이 부족한 국가 중 하나인 요르단에서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을 예측하는 사례 연구를 수행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크게(more…)
지구온난화, 백신, 달착륙…. 음모론이 판치는 이유
지구온난화를 ‘음모론’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올해 여름, 전 세계를 강타한 이상고온 현상은 지구온난화가 음모론이 아닌 위험한 현실이라는 사실을 확실히 증명했지요. 얼마 전,(more…)
과학, 고통이 아닌 즐거움이 되려면
과학자와 과학 정책가들이 과학을 경제를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한, 과학을 배우는 학생들도 과학을 진학과 취직을 위한 수단으로 여길 수밖에 없다. 배움이 고통이 아니라(more…)
하늘 위의 달, 지평선 위의 달 ‘크기’가 다른 이유는 & 50년 만에 봉인 풀린 달의 비밀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아래는 2019년 7월 10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50년 만에(more…)
유전자 조작 슈퍼돼지 <옥자> 유전자가 운명을 결정하는 세상 <가타카>
유전자 조작 슈퍼돼지 <옥자>, 유전자가 운명을 결정하는 세상 <가타카>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 지난 몇 년 동안 《네이처》 저널의 표지를 크리스퍼CRISPR와 관련된(more…)
미궁에 빠진 사건, 곤충이 해결?
한동안 국내에서도 인기리에 방영됐던 미국드라마 ‘과학수사(CSI)’에는 ‘길 그리썸(Gil Grissom)’이라는 멋진 수사관이 등장한다. 수사대의 반장이기도 한 그리썸은 전공인 ‘법곤충학(forensic entomology)’을 바탕으로 범인들을 빠짐없이 체포해(more…)
왜 어떤 사람은 살이 안찔까.. 알고보니 <연구>
[사진=픽사베이] 같은 음식을 먹어도 유독 살이 안찌는 사람이 있다. 반면 ‘물만 마셔도 살이 찐다’는 이들도 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길까.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more…)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1차 방어막 몸속 경찰 특공대
2015년 우리나라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중동호흡기 증후군’, 즉 ‘메르스’가 또 한번 ‘핫이슈’가 되었습니다. 중동 국가에 다녀온 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의 용태와 그가(more…)
소리 흡수하는 나방의 스텔스 기술… ‘층간소음’ 해결책 될까
캐비지 트리 황제 나방 Cabbage Tree Emperor moth (Bunaea alcinoe) Credit: Thomas Neil 고요한 밤하늘도 생존 경쟁은 예외가 아니다. 인간이 들을 수 없는 초음파 영역에서 나방을 찾으려는 박쥐와(more…)
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홍역은 역사상 다른 어떤 질병보다도 많은 아이를 죽였다. – 율라 비스, ‘면역에 관하여’에서 우리가 별 생각없이 쓰는 관용어를 들여다보면 과거 우리 조상들의 삶을(more…)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김형석 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연합뉴스 제공 2019년 새해 벽두부터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화제다. 주중 5일간 방영되는 한 아침 TV프로그램에 주인공으로 등장했는가 하면 2016년(more…)
껌은 왜 은색 종이포일에 싸여있을까?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평소에 졸리거나 입냄새를 없애고자 자주 씹는 껌. 그런데 왜 껌은 은색 종이포일에 싸여있는 것일까. 껌종이를 살펴보면 안쪽은 종이,(more…)
화학 – 과학의 중간계, 다양성의 제왕!
화학을 한자로는 어떻게 쓸까? 꽃 화? 花學? 이런 학문이 하나쯤 있어도 좋겠지만 답은 NO! 그림 화? 畵學? 화학 교과서에는 그림이 많다. 바로 이런 그림들. 그렇다고 화학이 그림의 학문일 리는 없다. 불 화? 火學? 이건 제법 그럴 듯하다.(more…)
과학은 세계의 비밀을 어디까지 밝혀낼 수 있을까?
[순도 100% 문과형 인간 모리 다쓰야] 영화감독이자 작가. 메이지대학 정보커뮤니케이션학부 특임교수로 강연 활동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방송국 PD로 근무하던 1998년, 옴진리교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more…)
화성에서 진짜로 감자를 키워먹을 수 있을까?
똥이 핫하다! 최근 과학계는 똥에 대한 연구가 핫합니다. 똥이라면? 네 바로 그 똥이죠~ 에잇! 더러워!! 하고 넘어갈 일이 아닙니다. 잘 만든(?) 똥 하나가(more…)
비행기는 어떻게 조종할까?
비행기 조종실을 실제로 본 적이 있나요? 비행기를 탈 때, 탑승교(보딩 브리지)를 지나며 얼핏 본 기억이 있을 겁니다. 보통 비행기 조종실이라고 하면(more…)
빛과 중력파, ‘보고 느끼는 천문학’의 시작 「다중신호 천문학」
불교의 경전 ‘열반경’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고대 인도의 한 임금이 진리에 관해 논하다가 신하에게 코끼리 한 마리를 몰고 오라 명령하였다. 그는(more…)
인류, 토성에 더 다가서다
사이언스 제공 ‘사이언스’는 토성과 토성의 고리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토성 고리가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모습은 마치 우리가 그(more…)
태풍은 왜 태어났고,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남녘을 휩쓴 태풍 콩레이가 한반도를 지나갔다. 아마도 2018년 마지막 태풍일 거라는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6일 오전 10시경 태풍 콩레이가 통영 앞바다에 상륙하고(more…)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 소행성에서 ‘RNA’ 일부 물질 발견…‘생명체 외계기원설’ 탄력 &&
생물체가 이용하는 모든 생체분자는 생물체에 의해 합성된다. – 로베르 파스칼, 막스무스롱생체분자연구소 최근 불교학자인 일본 하나조노대 사사키 시즈카 교수가 쓴 ‘붓다와 아인슈타인’이라는 책을(more…)
현대 의학, 죽은 뇌세포를 살리다!
이제 ‘죽음의 기준’조차 바뀌나 육류 가공 공장에서 나온 돼지 머리는 이미 부패가 시작된 상태였다. 사후 4시간이 지난 그 머리에서, 의료진이 뇌를 꺼내 되살려냈다.(more…)
수명 연장의 꿈부터 사유의 수평선까지
히피 문화에 근원을 둔 자유롭고 파격적인 큰 그림, 빅 아이디어는 21세기 초연결 시대를 맞아 어떤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을까? 구 산업에 매몰된 이들이 하루하루(more…)
하반신 마비환자 위한 획기적 치료법
[요약]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EPFL)와 브라질 알베르토 산토스 뒤몽 협회(AASDAP)는 공동연구를 통해 기능적전기자극, 체중지지시스템, 뇌–기계인터페이스(BMI) 기술을 결합해 하반신 마비환자를 위한 비침습적 치료법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접근법은 부분적 신경회복과 운동능력이(more…)
면역세포의 배신?…뇌종양 성장 돕는 면역세포 발견
미 워싱턴대 연구진, NF1 종양에 작용하는 T세포 확인 길 안내 받듯 따라가는 면역세포들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 제공] 피부와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기는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의 여러(more…)
美 연구진, ‘자폐증 유발’ 돌연변이 찾았다…최초 입증
생물 유전체(게놈)의 DNA 내에서 유전정보가 없는 부분을 ‘정크 DNA’ 또는 ‘불용 DNA’라고 한다. 인간 유전체에는 약 32조 개의 염기쌍(chemical pairs)이 있는데 이중 대략 98%가 정크 DNA로 추정된다. 고등생물일수록 정크 DNA가(more…)
“DNA 복제 효소, 뉴클레오솜 구조 변화 유도”
미 존스 홉킨스 연구진, ‘패러다임 전환’ 자평 DnaC(오렌지색)와 헬리카제 고리(청색) 상상도. 붉은색은 DNA의 한쪽 가닥. [제임스 버거 교수 제공] 뉴클레오솜은 염색체(Chromosome) 구성의(more…)
“근육 세포 정상 분화 제어하는 유전자 조합 발견”
캐나다 요크대 연구진 보고서 T세포 공격 받는 암세포[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근육 세포의 분화와 성장, 손상 복구 등을 제어하는 유전자 조합을 캐나다 과학자들이 발견했다.(more…)
“화이자, 알츠하이머 치료제 단서 잡고도 정보공개 안 해” & 알츠하이머 연구 흐름 이끈 미 논문 조작 논란…16년간 세계 과학계 오도했나
WP 보도..”비용 등 이유로 임상시험 포기, 개발기회 놓쳐” 이미지 크게 보기치매환자(사진은 기사와 무방함)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17.11.23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화이자가 알츠하이머병(more…)
美 연구진, ‘젊은 피’ 속 뇌 노화 되돌리는 두 가지 성분 발견 & 노화의 역전… 생쥐 회춘시킨 재프로그래밍 &&
美 연구진, ‘젊은 피’ 속 뇌 노화 되돌리는 두 가지 성분 발견(사진=123rf) 미국의 과학자들이 새로운 연구를 통해 젊은 쥐의 혈액 속에서(more…)
FDA ‘유전자 변형 연어’ 상업화 승인…美 첫 GMO 동물식품
아쿠아바운티, 인디애나주에서 양식 시작…내년 말 시판 예정 성장기간이 같은 유전자 변형 연어(왼쪽)와 일반 연어 [아쿠아바운티] 유전자 조작으로 품종을 개량한 식용 연어가 미국(more…)
겨자·고추냉이 매운맛 전혀 못 느끼는 동물 발견
하이펠트 두더지쥐 겨자나 고추냉이를 많이 먹어도 고통을 전혀 느끼지 않는 동물이 처음 확인됐다. 미국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서식하는 하이펠트(more…)
요리란 음식의 온도를 바꾼다는 뜻이다 & 과학이 요리를 만나면?…분자 요리
조심스레 자르고 썰고 껍질 벗긴 음식을 요리하려면 적절한 열을 가해야 하는데, 이것도 칼 고르는 일만큼이나 복잡하고 헷갈리는 일이다. 음식에 열을 가하는 데 쓰는 주방(more…)
지워지지 않는 ‘문신(타투)’의 비밀
문신(타투)은 새기기는 쉽지만 지우기는 어렵습니다. 새기기 전에 신중하게 고민한 후 행동해야 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언제부터인지 ‘문신(文身, Tattoo)’이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문신은 ‘입묵(入墨)’이나(more…)
영상으로 살펴보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작동원리! & “죽은 사람 살릴수 있다”는 믿음서 시작…대세가 된 이차전지 첫 모습은
영상으로 살펴보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작동원리! 우리가 일상 속에서 편리하게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을 통해 정보를 얻고, 전동공구를 통해 작업을 하고, 전기자전거나 전기자동차 등을 통해 원하는 곳으로(more…)
원자력발전의 주 원료, 우라늄이란?
예전에는 미처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던 수많은 여성 과학자와 예술가들이 주목 받고 끊임없이 재발굴되고 있습니다. 개중에는 역사를 움직인 발견을 한 여성들도 있는데요, 우리에게(more…)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초고체 실험의 핵심 부품인 ‘비틀림 진동자’. 그 뒤로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의 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제공 2000년대 들어 격년으로 노벨 과학상을 받다시피 하다 보니(more…)
상온 초전도를 향한 진전 & 100년의 난제, 상온 초전도 시대 열리나?
[요약] 독일 연구진이 수소가 풍부한 물질을 인공적으로 만든 뒤 높은 압력을 가했을 때 영하 23도에서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의 금속성 초전도체가 영하 100도 이하에서 초전도(more…)
금수저에 인성까지 바르던 전자기학의 아버지 & 전자기파를 증명해 우리에게 라디오를 선사한 하인리히 헤르츠
아래는 2022년 4월 7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금수저에 인성까지 바르던 전자기학의 아버지 패러데이가 그린 용에 눈동자 그려넣은 맥스웰 [GettyImages] 가난한 대장장이 아들로(more…)
원자핵의 분열을 알아낸 현대의 연금술사 리제 마이트너
현대의 연금술사 리제 마이트너 (1878~1968) 리제 마이트너 과학은 인간에게 사실을 인정하는 법과 놀라고 경탄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자연적 사건의 법칙성이 참된 과학자에게 안겨주는(more…)
Reproducibility trial publishes two conclusions for one paper
Th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s unusual experiment is designed to broaden replicability efforts beyond just methods and results. Anaesthesia has been linked to(more…)
Principles of and strategies for germline gene therapy
Abstract Monogenic disorders occur at a high frequency in human populations and are commonly inherited through the germline. Unfortunately, once the mutation has(more…)
Jumping gene gave fish a freshwater start
Freshwater threespine stickleback are an ecological and genetic model for understanding adaptive radiations. PHOTO: BLICKWINKEL/ALAMY STOCK PHOTO When organisms evolve to(more…)
Bridging the gap between artificial vision and touch
Object manipulation using an innovative glove allows large databases of detailed pressure maps to be obtained. Such data could lead to advances in(more…)
지구 기온 상승 “자연적인 현상 아니다” 입증
[요약] 지구의 온난화가 사실은 바다의 자연적인 온도 변화 때문이라는 주장은 여전히 힘을 받고 있다. 이 경우 인간이 방출하는 온실 가스 등의 요소는 주요 원인이 아니며, 지구(more…)
다 빈치는 ADHD 환자였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인식 전환 필요 최후의 만찬 ⓒ Wikimedia 올해는 천재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사망한 지 5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는 세계에서(more…)
소시오패스와 사이코패스의 차이는?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는 어떻게 다를까요? [사진=영화 ‘베트맨’의 한 장면] 현대 사회를 살아 나가기가 힘겹지 않으신가요? 끔찍한 행동을 하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반사회적인 인격자들을(more…)
뇌과학자-공학자 머리 맞대고 인체 ‘블랙박스’ 뇌 비밀 푼다
주목 받는 ‘뇌공학’ 기술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시력을 잃은 환자(안경 쓴 남성)의 양쪽 눈에 2015년 미국 세컨드 사이트 메디컬 프로덕트사의 인공망막 장비(more…)
장내 미생물, 암(癌) 치료까지? 최초 ‘치료제’ 언제 탄생할까 & 몸속 미생물로 감염증 치료, 美서 ‘먹는 약’ 첫 승인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3상이 미국에서 진행중이다. 국내 바이오업체들도 임상 1상을 준비하고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체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총)을 활용한 약 개발이(more…)
1회 투여에 25억원…아기 살리는 신약, 유전자치료 ‘활짝’ & ‘5억’ 약 값에…치료제 있어도 실명 &&
FDA 졸겐스마 승인…패스트트랙 심사로 출시 지원 유전자치료제 시장 2025년 5조원…매년 33% 성장 지난24일 FDA로부터 승인받은 유전자치료제 노바티스의 졸겐스마© 뉴스1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노바티스에서(more…)
암치료 ‘표적 단백질’, 세포 분열 제어 메커니즘 발견
미 UCSC 연구진, 비활성 FoxM1 ‘접힘 구조’ 확인 암세포와 림프구[연합뉴스 자료사진] 세포 분열을 제어하는 주요 단백질 가운데 특히 주목받는 대표 주자가 FoxM1이다. 암세포에선 거의 예외(more…)
금을 끌어당겨 자기 몸에 두르는 곰팡이 존재 첫 확인
주변에서 금을 끌어당겨 자기 몸에 두르는 진균(사진=CSIRO)주변 흙에서 금을 끌어당겨 자기 몸에 두르는 진균(곰팡이)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ABC 뉴스와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more…)
전자빔을 이용한 원자 조작
[요약]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를 비롯한 공동 연구팀은 전자빔으로 개별 원자를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양자 센서나 양자 컴퓨터를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more…)
살인가스가 암치료제가 되다!
29세의 히틀러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영국의 화학무기 겨자가스 공격을 받았다. 히틀러가 쓴 《나의 투쟁》 에는 화학전에 대한 경험이 나온다. 겨자가스로 15분마다 심한(more…)
약과 독은 용량의 차이?
1648년 유럽의 30년 전쟁이 끝났다. 루터의 종교개혁에서 시작한 개신교와 가톨릭 국가들과의 종교전쟁이었다. 베스트팔렌조약으로 루터파와 칼뱅파가 승인을 받고 전쟁이 마무리되었다. 지지했던 종파가 압도적으로 이기지 못하고(more…)
지우개와 자를 겹쳐놓으면 왜 달라붙어 버리는 걸까?
학교에 갈때면 가장 먼저 준비하는 것이 바로 필통입니다. 실제로 쓰는 펜은 하나 두개이지만 색깔별로 혹은 적어도 3~4가지의 다른 색깔로 준비를 하고 필통에 넣고(more…)
아인슈타인을 세계적 과학자로 만든 100년 전 개기일식
태양 중력에 의한 별빛 굴절 첫 관측…일반 상대성이론 입증 소브라우 관측팀이 4인치 렌즈로 포착한 개기일식 네거티브 필름[영국 왕립천문학회 홈페이지 보도자료 캡처] (more…)
2019년 MIT가 선정한 미래 10대 기술
2019년에 접어들면서, 5D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아직 생소했던 2009년의 분위기만 생각해도, 근 10년 사이에 엄청난 변화가 우리의 삶에 들어왔다는(more…)
Catalytic machinery of enzymes expanded
Only a few types of natural amino-acid residue are used directly by enzymes to catalyse reactions. The incorporation of an unnatural residue into(more…)
Google revives controversial cold-fusion experiments
Researchers tested mechanisms linked to nuclear fusion at room temperature — but found no evidence for the phenomenon. Chemist Martin Fleischmann(more…)
Revisiting the cold case of cold fusion
Abstract The 1989 claim of ‘cold fusion’ was publicly heralded as the future of clean energy generation. However, subsequent failures to reproduce the(more…)
The neurobiology of conscience
An exploration of the science behind our morality from philosopher Patricia Churchland is illuminating and grounded, finds Nicholas A. Christakis. The(more…)
Rethinking impact factors: better ways to judge a journal
We need a broader, more-transparent suite of metrics to improve science publishing, say Paul Wouters, colleagues and co-signatories. Illustration by David Parkins(more…)
Billion-year-old fossils set back evolution of earliest fungi
Microscopic specimens discovered in the Canadian Arctic are surprisingly intricate. This fungus in Costa Rica may ultimately have evolved from a(more…)
Superconductivity near room temperature
For a century, researchers have sought materials that superconduct — transport electricity without loss — at room temperature. Experimental data now confirm superconductivity(more…)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네이처 제공 현재 사용하는 인터넷은 디지털 정보를 빛의 속도로 순식간에 주고 받지만 복제와 해킹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해킹 위험이 없을뿐 아니라(more…)
녹음된 내 목소리 낯선 이유
본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때는 신체 여러 부분이 진동하면서 생긴 저음이 포함돼 녹음본과는 다르게 느껴진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를 듣게 될 때가(more…)
벌새 로봇에 인공지능 탑재했더니…
과학자들이 벌새(hummingbird)를 주목하고 있다. 아니,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해왔다. 벌새의 움직임을 모방한 벌새 로봇 (source:Purdue University) 벌새는 발군의 비행 능력을 갖춘 동물이다.(more…)
T세포도 실전 배치 전 ‘피아 식별’ 테스트 받는다
텍사스대 연구진, 흉선 내 ‘훈련 과정’ 첫 촬영 성공 T세포(자주색·흰색)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흉선 내 수지상세포(노란색)[오스틴 텍사스대 제공] T세포는 다양한 질병에 맞서 싸우는(more…)
태반 줄기세포, 심장 조직 재생 확인
미 마운트 사이나이 의대 연구진 보고서 줄기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나노입자[미국 텍사스 A&M 대학 제공] Cdx2라는 태반 줄기세포가 심근경색으로 손상된 심장에 건강한 세포를(more…)
즉석밥, 방부제 넣어 안 상한다? 상온 밥맛 유지 비밀은 ‘뚜껑”
방부제 없이 상온에서 9개월을 버틸 수 있는 햇반. 집밥이 그리울 때가 있다.고슬고슬하고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누가 봐도 금방 지은 것 같은(more…)
인류의 역사는 질병의 역사와 같다?
영장류와 거의 비슷하게 생긴 우리의 먼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평균 수명은 19년 8개월이었어요. 현생 인류의 조상들의 평균 수명은 26살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조금 더 오래 살았어요.(more…)
거짓말탐지기의 비밀
TV 광고 속에서 거짓말탐지기로 조사받는 장면.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인체의 활동 가운데 에너지 소모가 큰 노동 중 하나를 꼽으라면 무엇이 될 수 있을까요? 바로(more…)
지구상 최초 다세포동물, 21억 년 전 가봉서 출현 & ‘살아남는 게 강자’란 사실 보여준 스밀로돈의 멸종
지구상에 최초로 등장한 다세포동물은 약 21억 년 전 아프리카 가봉에서 출현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푸아티에대와 영국 카디프대 등 국제 연구팀이 가봉에(more…)
“중뇌 흑질에서 신체 동작 제어 신경세포군 발견”
스위스 바젤대 연구진 보고서 각각 다른 동작에 관여하는 생쥐의 중뇌 흑질 세포군[바젤대 비오첸트룸 제공] 팔다리만 움직이거나 온몸을 쓰거나 어떤 동작을 할 땐(more…)
Brain in a dish, babies by design: what it means to be human
Natalie Kofler is engrossed by a book that examines what cutting-edge biotechnology means for our sense of self. Neurons grown from the(more…)
The trickster microbes that are shaking up the tree of life
Mysterious groups of archaea — named after Loki and other Norse myths — are stirring debate about the origin of complex creatures, including(more…)
Russia joins in global gene-editing bonanza
A US$1.7-billion programme aims to develop 30 gene-edited plant and animal varieties in the next decade. Sugar beet is one of four(more…)
Companies persist with biomedical papers
Corporate research in the life sciences endures, despite diminishing in other fields of science. Many advanced countries struggle to increase their productivity. Between(more…)
Junior researchers are losing out by ghostwriting peer reviews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s who produce reviews under a senior colleague’s name receive no credit or acknowledgement for their work, and miss a(more…)
Stem-cell and genetic therapies make a healthy marriage
This scientific partnership could fight everything from blood diseases to HIV. A culture from human tissue showing neurons derived from stem cells.Credit:(more…)
Total synthesis of Escherichia coli with a recoded genome & Scientists Created Bacteria With a Synthetic Genome. Is This Artificial Life?
Abstract Nature uses 64 codons to encode the synthesis of proteins from the genome, and chooses 1 sense codon—out of up to(more…)
칸타렐라와 건배의 비밀 화학의 어두운 그림자
고대 로마에서는 사람을 독살하는 일이 크게 유행했어요. 그러자 독을 감별하는 전문가가 나타났고, 독살되기 싫은 부자들이 이들을 고용했지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잔을 부딪쳐 건배하는 풍습이 생겼는데, 서로의 잔에 든 음료가 넘쳐서 상대방의 잔에 흘러 들어가도록 한 거예요. 로마제국이 쇠퇴할 무렵에는 비소(As)와 비소화합물을 많이 사용했어요. 산화비소 중에서도 3산화비소는 물에 잘 녹고 색도 냄새도 없어요. 독을(more…)
식물과 세균의 폭탄 돌리기
오늘은 지그재그(Zig-Zag) 이론이라는 걸 소개하려고 합니다. N자, 혹은 눕힌 Z처럼 갈지자를 보이는 어떤 현상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식물학 전공 교과서에 실려 있을 정도로 중요한(more…)
상상도 못한 복잡한 조합: 옥수수-곤충-선충-세균의 4자회담
원수 같은 옥수수뿌리벌레 옥수수에 치명적인 해충 중에 디아브로티카 버지페라(Diabrotica virgifera)라는 딱정벌레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옥수수뿌리벌레라고 불리는 이 벌레는 미국의 옥수수를 초토화시켜서 살충제를 엄청나게 뿌리게 만들었습니다.(more…)
어둠 속에서 색을 구분하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깊은 바다 밑에 사는 심해어의 눈에 주목했다. 과학자들은 심해어에게서 이전까지 알지 못했던 시각 체계를 발견했다.(more…)
새 깃털 입고 박쥐처럼 날아다닌 암보프테릭스
중국과학원 연구팀이 랴오닝성에서 발견한 암보프테릭스 론기브라키움의 화석을 복원한 그림. 네이처 제공 커다란 날개를 편 조그만 새가 막 날갯짓을 하려는 것 같다.(more…)
이산화탄소 농도 ‘인류 역사상 최고’…북극해 온도 벌써 29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15.26ppm…“80만년 역사 중 최고치” 북극해 입구 온도, 평년보다 훨씬 높아 미국 하와이 마우나로아관측소(Mauna Loa Observatory)에서 측정한(more…)
Remote control with engineered enzymes
Many syntheses of organic molecules require that certain carbon-hydrogen bonds are targeted for reaction over others with similar reactivity (1–6). This high selectivity(more…)
Genomics breeds new legal questions
Open in new tab IMAGE: ISTOCK.COM/DANE_MARK While DNA testing upends the practice of medicine, U.S. laws aren’t keeping pace. That’s(more…)
How many metals to oxidize methane?
Methane is an important fuel, but there are few direct transformations to partially oxidized products. Bacteria use metalloenzymes to catalyze methane oxidation to(more…)
Cooperativity in synthetic gene circuits
Synthetic biologists would like to be able to make gene regulatory circuits that mimic key properties of eukaryotic gene regulation. Taking a cue(more…)
Brazilian biomedical science faces reproducibility test
Researchers at more than 60 Brazilian labs will assess the replicability of research by their country’s scientists. An ambitious project to test(more…)
Biosimilars: mimicking biological drugs
With the patents on many biological drugs soon to expire, the biosimilars revolution is about to shift into top gear. Credit: Andrew(more…)
Bring on the biosimilars
Some of the most effective modern drugs are complex biological molecules. As their patents expire, drug developers are fashioning copycat versions that could(more…)
A role for optics in AI hardware
Experiments show how an all-optical version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 a type of artificial-intelligence system — could potentially deliver better energy(more…)
An ‘on’ switch for proteins
Current methods for producing proteins that can be activated by light require knowledge of the protein’s active site, or can reduce the protein’s functionality.(more…)
Driverless cars: researchers have made a wrong turn
Academics put at risk a self-driving future by accepting industry’s optimistic predictions and obsessing over irrelevant questions, says Ashley Nunes. Uber Technologies is(more…)
Looking for the start of metabolic disease in the gut
Max Nieuwdorp is an internist, endocrinologist and vascular medicine specialist at 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s. He chairs the Diabetes Center there and is chief(more…)
Gene editing fixes cystic fibrosis gene in mice before birth
Administration of nanoparticles in utero repaired the mutated Cftr gene The airway of the lungs in cystic fibrosis (pictured here) is clogged with mucus, causing the severe(more…)
The new techniques revealing the varied shapes of chromatin
Researchers are realizing that the DNA–protein complex doesn’t just have one form but many. This multicoloured image of chromatin was created using(more…)
Human 3D cellular model of hypoxic brain injury of prematurity
Abstract Owing to recent medical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 neonatal care, infants born extremely premature have increased survival rates1,2. After birth, these infants(more…)
The pros, cons, and many unknowns of probiotics
Abstract Consumption of over-the-counter probiotics for promotion of health and well-being has increased worldwide in recent years. However, although probiotic use has been(more…)
꿈의 신소재, ‘그라핀’
그라핀(graphene)은 금속이 아니다. 그라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한 구조가 반복되는 얇은 판이다. 그라핀 (출처 : 위키미디어) 그런데 이 물질은(more…)
세상에서 가장 검은 검은색 ‘반타블랙’
빛 흡수율 99.965%…모든 물체를 평면으로 만들어 버리는 경이로움 선사 탄소나노튜브 수직으로 매우 촘촘히 배열해 빛을 가두는 원리 이용 같은 두 개의(more…)
‘젊은 피’ 수혈로 회춘할 수 있을까?
혈액 속 GDF11단백질, 회춘의 영약으로 불리며 한때 큰 인기…논란 속 수혈 중단 항산화 물질 노화 주범 ‘활성산소’ 제거에 효과…와인 많이 마시는 프랑스인 심혈관질환 적어(more…)
탐지견의 80%는 복제견…대부분 국제공항 검역에 배치 & 세상에서 유일한 ‘복제견의 나라’
검역 현장 복제견 42마리로 가파른 증가…2014년부터 일반견 추월 복제 검역견[연합뉴스 자료 사진] 최근 은퇴한 탐지견이 우수 복제견 생산을 위한 동물실험에(more…)
바이러스를 ‘생물 무기’로 사용하는 박테리아 발견 & 바이러스 먹는 미생물 발견…“하루 수백만개 먹어치워”
SW1 바이러스를 지닌 세균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에 있는 존재다. DNA나 RNA로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후손을 퍼트리며 진화하는 것은 다른 생물체와 똑같지만, 반드시 다른(more…)
유전자 봉인 푼 인구 500만 핀란드, 헬스기업 500개 ‘빅뱅’
정부 주도로 ‘핀젠 프로젝트’ 진행 국민 유전자 정보 빅데이터 축적 의료·사회 정보 2차 이용법 제정 화이자·GE 등과도 진료기록 공유 헬스케어 급성장, 작년 수출 3조원(more…)
췌장암 완치될까…美 연구팀, 췌장암 세포 성장 멈추는 방법 밝혀내
한 유전자를 제거하면 췌장암 세포의 성장이 완전히 멈추는 사실이 동물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암 중에서도 예후가 특히 안 좋은 췌장암의 치료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지(more…)
Pinpointing a spatial address for RNA profiles in tissues
Knowing the gene-expression pattern of individual cells can unlock their identity. A refined method for generating cellular RNA profiles offers a way to(more…)
What medicine can teach academia about preventing burnout
The medical programmes we see in our training as physician-scientists are becoming more progressive and supportive of students. Here’s what academia can learn(more…)
Facebook gives social scientists unprecedented access to its user data
Projects from around the world will delve into questions including how misinformation spreads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who distributes it. Supporters(more…)
How to survive in a human-dominated world
Humans are altering Earth’s systems to such an extent that the geological period in which we are living has been dubbed the Anthropocene(more…)
A possible non-biological reaction framework for metabolic processes on early Earth
Early life forms established a network of reactions for converting carbon dioxide into organic compounds. A non-biological system of reactions that could have formed(more…)
The new physics needed to probe the origins of life
Stuart Kauffman’s provocative take on emergence and evolution energizes Sara Imari Walker. An artist’s impression of early ‘protocells’ proliferating.Credit: Henning Dalhoff/Science Photo(more…)
`우월 유전자` 백인 IQ, 흑인보다 높다?…양육환경 차이일뿐
DNA구조 밝혀 노벨상 받은 왓슨, 백인 우월 유전자 주장 인종차별 발언에 과학계 퇴출공동 수상한 프랜시스 크릭 “좋지않은 유전자 가진 부모 한 자녀만 낳아야”(more…)
항암·항균 ‘슈퍼 단백질’ 세계 최초 인공 합성 성공
영국·일본의 두 화학 교수, 케다시딘 20년 연구 ‘결실’ 이미지 크게 보기케다시딘의 분자구조와 색소단백질 개념도 [마틴 리어 교수 제공] 한(more…)
118개 원소에 숨어있는 화학기술 & 인류 삶 바꿀 혁신기술…주기율표에 숨어있다
– 주기율표 제정 150주년, 원소 활용 인류 삶 바꿀 혁신기술 개발 견인 주기율표를 제정한 러시아 화학자 멘델레예프를 기리기 위해 마련된 슬로바키아아공대 조형물.[제공=fliker] (more…)
‘세상을 구한 영웅’이 된 생물학자
미 분자생물학 원로 매슈 메셀슨 박사 생명의미래연구소, 숨은 영웅에 선정 1972년 생물무기금지협약 이끌어내 2014년 이중나선 메달을 받을 당시의 메슈 메셀슨 박사. 유튜브 갈무리(more…)
인공지능 과학 작가
[요약]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와 과학자들은 인공지능(AI)의 한 형태인 신경망을 개발해 과학 논문을 읽고 한두 문장의 평이한 요약을 할 수 있도록 했다. (2019.04) /MIT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ore…)
Brain implants that let you speak your mind & 이 장치 일찍 나왔다면… 호킹 박사의 영국식 억양도 들었을 텐데
A brain–computer interface device synthesizes speech using the neural signals that control lip, tongue, larynx and jaw movements, and could be a stepping(more…)
Brain signals translated into speech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uld one day be used to help people who can’t talk to communicate. People with paralysing conditions such as motor-neuron disease(more…)
Plastics are forever
Bruce C. Gibb explains why plastic isn’t always fantastic. Plastics are marvellous. There is no getting away from them. Through their(more…)
Genetic study homes in on height’s heritability mystery
Analysis of 20,000 genomes reveals that rare gene variants can help to explain how the trait is inherited. Height is often inherited(more…)
Automation: Chemistry shoots for the Moon
A new class of chemical instrumentation seeks to alleviate the tedium and complexity of organic syntheses. A machine for synthesizing small molecules(more…)
CRISPR gene-editing creates wave of exotic model organisms
But the practical challenges of breeding and maintaining unconventional lab animals persist. The Hawaiian bobtail squid (Euprymna scolopes) alters the camouflage patterns on(more…)
Deciphering bacterial signalling
Bacterial communication is a potential strategy to control bacterial behaviours and thus, attenuate pathogen infectivity; however, identifying the signalling molecules that regulate communication(more…)
암세포 성장 촉진하는 ‘핵심 유전자’ 찾았다…최초 확인
암세포의 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식별해내는 것은 암 표적 요법 개발의 첫걸음이다. 그 유전자가 정상 세포의 성장에 꼭 필요한 것이(more…)
알레르기 유발 식품 나라마다 달라… 한국인 우유-달걀에 취약
땅콩, 기내 간식 퇴출로 알아보니 알레르기 유발 주요 식품으로… 우유, 달걀, 땅콩 등 8가지 꼽혀 이달부터 대한항공이 땅콩을 기내 간식으로 제공하지(more…)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이솝우화에서 다리 위를 지나가던 개가 물고 있던 고깃덩어리를 떨어뜨린 건 개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자기라고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가 발견하는(more…)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아바타’ 현실로
제이크 설리는 전직 해병대원이다. 하반신은 마비됐다. 휠체어 없이는 돌아다닐 수 없다. 그는 외계 생명체 ‘나비’족의 모습을 본떠 만든 인공 육체 ‘아바타’를 조종하게 됐다.(more…)
전신마취 때 홀로 깨어 있는 ‘수면 제어’ 뉴런 발견
미국 듀크대 연구진…’부작용 없는’ 수면제 개발 기대 전신마취 상태에서 활성화한 시삭상핵 뉴런(붉은색 부분)[듀크대 제공] 전신마취법의 발견은 인간에게 의학적 기적이자 큰 행운이다. 1846년(more…)
베드로의 이름에서 유래한 ‘석유’
언젠가 모임에서 누군가 화상을 입은 적이 있었다. 때마침 누군가가 구급약으로 ‘바셀린’ 연고를 가져와 발라주었다. 그때 연고를 자세히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놀랍게도 그 성분이 석유라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more…)
아틀란티스, UFO를 믿어야 하나?
지난 2월 인기 팟캐스트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Joe Rogan Experience)’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했다. 마야의 도시국가 팔렌케 마야 제국의 12대 왕이었던 키니치 하나브의 방패(K’inich Janaab’(more…)
현대적 심전도계를 탄생시킨 의사
지난해 12월 미국 소셜미디어 레딧에서 이덴텔(edentel)이라는 아이디를 쓰는 회원은 놀라운 경험을 털어놓았다. 손목에 차는 스마트 시계로 심전도를 측정한 결과 자신이 심방세동이라는 사실을 알게(more…)
AI, 과학 학술서적 썼다…저자명은 ‘베타 라이터’
스프링거 네이처는 8일 AI가 작성한 ‘리튬이온 배터리’라는 책을 출간하고 이 책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이 쓴 과학 출판물이라고 밝혔다. 스프링거 네이처 제공 (more…)
When genome editing goes off-target
Editing DNA in eukaryotic cells with CRISPR-based systems has revolutionized the genome engineering field. Cas (CRISPR-associated) endonucleases are directed to a particular location(more…)
The forgotten scientists who paved the way to the double helix
Jan Witkowski lauds a book highlighting half-obscured researchers whose work led to the structure of DNA. Illustration by Ana Kova Unravelling the(more…)
Indigenous groups look to ancient DNA to bring their ancestors home
Local communities and geneticists are working together to sequence DNA from remains that were taken from their homelands decades ago. David Edwards,(more…)
Snailfish is first animal from extreme ocean depths to get genome sequenced & 쇳덩이도 찌그러지는 해저 1만m ‘최상위 포식자’ 물고기가 사는 법
Gene sequence from fish living in the Mariana Trench reveals clues to living life under pressure. Hadal snailfish (Pseudoliparis swirei) gather around a(more…)
에이즈 바이러스 약으로 쓴다?…멸균실 생활 ‘버블보이’병 치료 & Experimental gene therapy frees ‘bubble-boy’ babies from a life of isolation
평생을 멸균풍선 속에서 살아야 해 ‘버블보이 병’(Bubble Boy Disease)으로 불리는 중증복합면역결핍질환 ‘스키드’(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에 걸려 12세의 나이로 사망한 데이비드 베터 에이즈에 따라붙는 불치병이란 수식어는(more…)
프랑켄슈타인 창조하듯… 죽은 돼지의 뇌를 살려냈다 & Pig experiment challenges assumptions around brain damage in people & 돼지 심장 이식 환자, 두달만에 사망… 거부반응 탓인지는 불분명 &&
美연구진, 집돼지 뇌 32개 분리해 실험…죽은 지 4시간 만에 일부 기능 되살려 인식·지각 등 고차원적 기능은 못 살려 ‘몸과 분리된 뇌’ 등 윤리적인(more…)
올해는 과학 역사상 기념비적인 해 – 꼭 기억해야 할 10대 사건
2019년은 주목할 만한 과학적 사건들이 유독 많은 기념비적 해이다. 그중에는 인류 역사상 처음 시도된 사건들도 있다.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과학자들이 도전 기록을 남긴(more…)
불임의 희망이 된 체외수정과 시험관 아기
아빠가 아기는 황새가 데려다준다고 했는데… 불임을 해결하는 체외수정 시술의 개발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 노벨상 수상자 생리의학상 (2010) 로버트 에드워즈 Robert Edwards (more…)
미래 생명, 엄마 없어도 아기 낳는다?
인공자궁인 바이오백 속에서 자라고 있는 어린 양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한 필라델피아 아동병원의 홍보자료. [사진 =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CHOP)] 인간은 점점 신의 영역으로(more…)
DNA조각에서 정보를 얻는 기술
[요약]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멸종동물에서 소량의 DNA만으로도 서식지나 먹이, 개체수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멸종동물 보호에 활용될 수 있기를(more…)
내 몸속의 소리 없는 전쟁 ‘면역 시스템’ & 면역체계 무너뜨리는 하이브리드 바이러스 첫 발견
인체 정교한 면역 체계 갖고 있어…선천성 면역, 적응 면역 각각의 역할하며 몸 지켜 면역체계 이상 발생 시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발병 (more…)
알레르기의 습격 – 항원과 면역체계의 ‘잘못된 만남’
우리는 봄의 기운을 몸으로 느낄 수 있어요! 겨울이 지나면 낮이 길어지고 더 이상 찬바람에 코가 시리지 않죠. 얼마 전까지만 해도 꽁꽁 얼어붙었던 도시의(more…)
이스라엘연구팀, ‘3D프린팅’ 인공심장 공개..”혈관까지 첫 성공”
텔아비브 대학 연구팀 “의학 발전에 돌파구 기대” 이스라엘 과학자들이 3D(3차원) 프린팅 기술로 인공심장을 만들었다고 예루살렘포스트 등 이스라엘 언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스라엘(more…)
당신 몸 안의 작은 우주-장내 미생물 생태계와 의과학 혁명 & 당신은 ‘장내 미생물’에게 조종 당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인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다. 누구나 한 번쯤 건강한 삶을 위해 ‘오장육부五臟六腑’가 중요하다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제는 이 말을 현대(more…)
Structure and functional reselection of the Mango-III fluorogenic RNA aptamer
Abstract Several turn-on RNA aptamers that activate small-molecule fluorophores have been selected in vitro. Among these, the ~30 nucleotide Mango-III is notable(more…)
The NASA Twins Study: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a year-long human spaceflight
What to expect after a year in space Space is the final frontier for understanding how extreme environments affect human physiology. Following(more…)
The way I am
A year ago, I ha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nterviews of my life. It was for a job I had worked toward(more…)
꿀벌이 사라진다…`제6의 대멸종` 진행중? & 꿀벌 집단실종사건의 범인을 알려드립니다
숲속 왕국의 꿀벌 여왕 바이러스 창궐·지구 온난화 신경자극성 살충제·전자파로 지구서 가장 빠르게 줄어 美, 2016년 멸종동물 지정인류 20배 되는 곤충 41% 최근 개체(more…)
부모 3명을 둔 아기가 그리스에서 태어났다
이 아기는 실험적인 방식의 체외수정 기법으로 수정됐다. source : SPL 한 어머니의 불임을 극복하기 위해 한 아기가 부모 세 명을 통해(more…)
원숭이 뇌에 인간 유전자 이식..원숭이인간?
이미지 크게 보기영화 혹성탈출의 한 장면 – 화면 갈무리 중국의 과학자들이 지난해 유전자 편집 아이를 출산시킨데 이어 원숭이 뇌에 인간 유전자를(more…)
자석인 듯, 자석 같은, 자석 아닌 너~ & 액체로 ‘영구자석’을 만들었다
자석에 대한 A to Z : 납작한 자석과 센 자석 어릴 적 자석을 가지고 놀았던 기억은 누구에게나 있다. 자석을 다른 자석에 가까이(more…)
한 눈에 보는 물질의 역사 – 멘델레예프부터 아인슈타인까지
현대 자연과학에서 다루는 물질은 세 가지 종류예요. 바로 물질의 실체, 장, 진공이지요. 그러나 화학에서는 물질을 실체와 같은 개념으로 보고 기체, 고체, 액체, 플라즈마,(more…)
암세포, 면역체계 원격 제어 메커니즘 밝혀냈다
미 UCSF 연구진 보고서..관문억제 면역치료 ‘돌파구’ 이미지 크게 보기길 안내 받듯 따라가는 면역세포들 [사이언스 제공] 최근 ‘관문 억제’ 면역치료법이 주목받는(more…)
화학조미료MSG는 정말 건강을 해칠까?
저희 음식점은 MSG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요즘 음식점에 가면 이 말을 유행어처럼 볼 수 있다. 화학조미료, MSG라고 하면 일부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건강에 나쁘다’, ‘먹고 난(more…)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독일의 물리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는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자 3개월 만에 첫 번째 풀이를 구했다. 여기에서 블랙홀의 수학적 개념이 처음 등장했다.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more…)
세계 과학사 최초 ‘실제 블랙홀’ 관측 성공
지구로부터 5천500만 광년 거리..질량 태양의 65억배 달해 세계 각지 전파망원경 연결한 ‘사건지평선망원경 프로젝트’ 성과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궁극적 증명..천문학 역사상 매우 중요한 발견” (more…)
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수년 사이 백내장과 망막 3대 질환 환자 수가 크게 늘었다. 증가세가 너무 가파르고 발생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1979년 소니의(more…)
산업의 쌀, 에틸렌과 폴리에틸렌
에틸렌은 석유의 원유를 분류하여 나프타 부분(100∼200℃ 유출부분)을 분리시키고, 이것을 분해하여 얻습니다. 석유화학산업의 가장 기본적인 물질인 에틸렌은 다양한 석유화합물로 가공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more…)
외계인 침공?…노르웨이 밤하늘에 펼쳐진 우주쇼
지난 5일(현지시간) 노르웨이 북쪽 밤하늘은 마치 색색의 물감으로 칠한듯 환상적인 풍경이 펼쳐졌다. 푸른색과 보라색 또한 오렌지색의 구름이 밤하늘에 펼쳐지며 희한한(more…)
Highly efficient expression of circular RNA aptamers in cells using autocatalytic transcripts
Abstract RNA aptamers and RNA aptamer-based devices can be genetically encoded and expressed in cells to probe and manipulate cellular function. However,(more…)
Turning the periodic table upside down
The periodic table is immensely powerful for rationalizing many different properties of the chemical elements, but would turning it on its head make some(more…)
The return of cancer’s magic bullet
Tumour immunology has travelled a long and bumpy road. Gerard Evan examines an uneven treatment of it. A build-up of white blood(more…)
All for one and one for all (QUANTUM OPTICS)
Quantum information (QI) has become a focus of research during the past two decades, with the goal of exploiting the potentialities offered by(more…)
Science during crisis
In April 1902, on the Caribbean island of Martinique, La Commission sur le Vulcan convened to make a fateful decision. Mt. Pelée was sending smoke(more…)
Enlighten e-cigarettes
The use of electronic cigarettes is on the rise, but we need more evidence about their risks as well as their value in(more…)
Proxies for nanoplastic
The ability to synthesize metal-doped nanoplastic opens windows to accurately asses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hazards that nanoplastic poses. Nanoplastic is one of(more…)
Early voices for ethics in nanotechnology
Chris Toumey reflects on the inhomogeneity of the concept of ethics applied to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Many publications about nanotechnology remind us(more…)
Things we know and don’t know about nanoplastic in the environment
Fragments of plastic smaller than 1 μm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risks they pose to the environment. Research will have to(more…)
Self-healing multitasking (BIOELECTRONICS)
Lightweight and soft epidermal electronics mimicking the morphology of human skin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applications in wearable sensing, particularly in health monitoring.(more…)
Walk the line (QUANTUM TECHNOLOGY)
Qubits made from semiconductor quantum dots are a potential platform for future quantum computing. Although quantum gates with high fidelity have been demonstrated,(more…)
스스로 ‘인구’를 조절하는 세균들
눈에서 빛을 뿜는 오징어 하와이에는 눈에서 빛이 나는 오징어를 볼 수 있습니다. 1년 중 하와이 오징어가 모이는 시기가 되면 밤마다 엄청나게 빛나는 장관을(more…)
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새하얀 설원 속 고개를 빼꼼히 내밀고 있는 눈덧신토끼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캐나다와 알래스카에 사는 눈덧신토끼는 여름에는 노란색이나 회색(more…)
키 클 때 성장판에서 일어나는 일
청소년 시절을 떠올리면 키가 작아 주눅 든 적이 많아 씁쓸하다. 당시 중고교는 키 순서로 번호를 매겼는데, 필자는 6년을 다 합쳐도 ‘11’에 불과했다. 평균(more…)
라듐과 유로퓸 이야기
‘원자번호 88번 라듐(Ra) 오늘 소개해드릴 원소는 방사능 연구를 크게 발전시킨 원소이자 여러 일화가 많은 원소 ‘라듐(Ra, 원자번호 88)’입니다. 그럼 지금부터(more…)
불투명해지는 유리가 있다? 두 얼굴의 유리 스마트 윈도우 기술 & 선글라스의 색상과 자외선 차단의 비밀
최근 스마트 윈도우 기술이 각광을 받으면서 상용화가 되어가고 있답니다! 전기 변색 유리(EC)를 이용한 스키 고글부터 PDLC를 이용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쓰이는 스마트 윈도우까지! 다들(more…)
무선이어폰 속 숨겨진 비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무선이어폰 건강 논란…공대·생물학 교수에 물어보니
‘무선이어폰 발암 가능성’ 보도 뒤 정정보도 전자파 위험 호소 과학자 250명 중 한국 15명 채권석 경북대 생물교육과 교수 “아직 충분하게 연구·검토되지 않아… 무선(more…)
눈먼 생쥐 유전자 치료로 눈 떠
사람의 망막이 손상되면 지금은 한가지 치료법이 있다. 전자눈을 이식하는 것이다. 전자눈은 비용이 많이 들 뿐 더러 큰 수술이 필요하고 또렷하게 보이지도 않는다. 뇌과학자들이(more…)
냉동보관한 정소 이식해 태어난 원숭이
[요약]미국 피츠버그대와 오리건 보건과학대 등이 참여한 연구진은 원숭이의 미성숙한 정소를 냉동보관했다가 사춘기 시절 이식해 정자를 생산케 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 정자를 난자와 인공수정해(more…)
업그레이드 된 유전자 가위로 도마뱀에게 무슨 짓을…
美연구진, 크리스퍼유전자가위로 피부색제거한 알비노 도마뱀 탄생 미국 연구진이 아놀도마뱀(아래쪽)의 유전자 편집을 통해 피부색이 하얀 알비노 아놀도마뱀(위쪽)을 탄생시키는데 성공했다.사이언스 제공 현대(more…)
모든 독감 막아주는 만능 백신 나오나
美국립보건원, 사람 대상 임상시험 돌입…내년 만능백신 결과 발표 미국 국립보건원이 모든 독감을 예방할 수 있는 만능백신을 개발하고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돌입했다.美NIH 제공 (more…)
“태국 동굴소년들에 환각성 마취제 주입..구조성공에 기여”
이미지 크게 보기태국 동굴에서 고립됐던 한 소년이 들것에 실려 동굴 밖으로 나오는 동안 잠이 들었는지 눈을 감고 있다. 쁘라윳 짠오차 총리는 지난 10일(more…)
(Nature Video) How white blood cells choose the quickest path through your body
Watch immune cells navigate using probing ‘limbs’ to find widest path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Read the paper: Nuclear positioning facilitates amoeboid(more…)
DNA sequencing at 40: past, present and future
Abstract This review commemorates the 40th anniversary of DNA sequencing, a period in which we have already witnessed multiple technological revolutions and(more…)
0.04초만에 터지는 에어백의 비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전자기 단위이야기] ‘짜릿’한 순간, 단위에 이름을 남기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는 ‘파에톤과 태양 마차’ 이야기가 있습니다. 태양신 아폴론의 아들인 파에톤이 태양 마차를 서툴게 몰다 제우스에게 번개를 맞아 죽게 되었는데요. 슬퍼하는(more…)
철도, 시계 그리고 특수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처럼 많은 사람의 흥미를 끈 물리이론도 드물다. ‘4차원’ 운운할 뿐만 아니라 시간과 길이, 그리고 질량이 속도에 따라 제멋대로라니 과학이론이라기보다는 신기한 이야기에 가깝게(more…)
과학과 마법이 하나가 될 때
▲ 세계적인 SF작가이자 미래학자였던 아서 클라크 /사진=ITU Pictures ‘라마와의 랑데부’ ‘2001 우주의 오디세이’ 등의 걸작을 남긴 세계적인 SF작가이자 미래학자였던 아서 클라크는(more…)
좌우가 따로 노는 인간의 뇌
[요약]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진이 좌뇌와 우뇌의 기능을 규명한 뇌지도를 처음으로 완성했다. 분석 결과 좌뇌와 우뇌가 담당하는 기능을 따로 있으며 서로 연결돼 있지 않는(more…)
너와 나의 연결고리! 침팬지와 사람, 이들의 운명을 갈라놓은 것은? DNA & 인류 진화 열쇠 ‘직립 보행’ 비밀 풀었다
침팬지와 사람의 DNA가 98.8% 같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닮은 듯 닮지 않은, 같은 듯 다른! 단 1.2% 차이로 극명하게 갈려진 사람과 침팬지(more…)
모기가 어둠 속에서도 사람을 찾아내는 비결은?
이집트 숲모기 사람과 다른 포유류의 피를 빨아먹는 모기는 단지 귀찮기만 한 존재가 아니라 말라리아를 포함해 치명적인 질병을 옮기는 위험한 해충이다. 하지만(more…)
(youtube)보스턴 다이내믹스 로봇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중국의 물류분류로봇은 미리 섹터를 나눠서 구멍마다 사전에 주소를 부여해줘야 하고, 한국 휠소터 같은(more…)
From counting with stones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ory of calculus
Anil Ananthaswamy savours a history of the mathematics used to track changes in everything from DNA to machine learning. Isaac Newton(more…)
Duke University’s huge misconduct fine is a reminder to reward rigour
US$112.5-million settlement concerning fraudulent data is a casualty of a culture that prizes impact over robustness, says Arturo Casadevall. Last week,(more…)
당뇨병 약이 비만 치료제로, 진통제가 뇌졸중 치료제로…오래된 藥의 재발견 & 달콤하고 사르르 녹는 맛, 뇌 유혹해 비만·당뇨병 부르죠 &&
산업이 된 ‘신약 재창출’ 획기적 신약개발 어려워지며 이미 개발된 후보물질 대상 치료가능한 질환 확대 ‘약효 추가’ 화이자 발기부전치료제 ‘비아그라’ MSD 탈모치료제 ‘프로페시아’ 다른 약(more…)
식물처럼 광합성으로 자라는 신소재
[요약] 미국 MIT 연구팀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자라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식물의 엽록체를 이용한 이 연구는 향후 소재의 신기원을 열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2018.10)(more…)
자동차를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자연산 복합소재
사이언스 지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복합소재’라는 문구와 함께 코코넛 껍질로 만든 자동차모형이 장식했다. 이는 최근 자동차 개발에 들어가는 복합소재 중 자연소재의 활용이 크게(more…)
전자기기, 더 작아질 수 있을까
[요약] 아령만큼 크고 무거웠던 휴대전화가 손바닥보다 작고 가벼워졌다. 앞으로 얼마나 더 작아질 수 있을까. 전자들의 흐름을 나노미터 수준에서 조절할 수 있다면 전자기기 소형화의 한계가(more…)
다이아몬드가 셀 수 없이 쏟아지는 노다지?!
흔히 보석의 제왕으로 간주되는 다이아몬드(Diamond)는 그 아름다움과 더불어 경도, 열전도성, 전기 저항 등 다양한 측면에서 아주 유용한 물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more…)
한계 뛰어넘는 현미경
[요약] 과학이 점점 더 작은 미시세계에 들어가고 있다.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크기가 지난 약 150년 동안 계속해서 확대돼왔다. 보이지 않던 세상을 더 많이 볼 수 있게(more…)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냉장고와 에어컨에 쓰이는 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가 개발됐다. 새로운 재료가 일상과 환경을 바꾸는 것은 물론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more…)
빅뱅 이전에도 우주는 존재했을까?
시안위 공동저자는 성명서에서 “우주가 수축하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 패턴이 발견되면 인플레이션 이론이 완전히 허구임이 입증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빅뱅 이전에도 우주가 존재했을까?(more…)
꿀벌과 물고기가 대화했다…로봇이 통역했다
꽃 사이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꿀벌과 물속에서 서식하는 열대어 제브라피시(zebra fish)가 살면서 만날 확률은 지극히 낮다. 생존 환경도 다르고 서로 교감하는 방법도 다르다. 혹시나(more…)
‘최후의날 저장고’ 수몰 되나…“스발바르제도, 기온 상승 심각”
국제종자저장고의 외부 모습.(사진=노르웨이 정부 홈페이지) 흔히 ‘최후의 날 저장소’(Doomsday Vault)로 불리는 국제종자저장고가 있는 노르웨이령 스발바르제도가 지구상에서 가장 빠르게 더워지고 있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more…)
고농도 칼륨에 젖은 T세포, 암 잡는 희망 되다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T세포를 구하라’는 제목과 함께 아래로 한없이 떨어져가는 세포들 사이 노란색으로 휘어진 튜브 끝에 멈춘 세포들의 모습을 29일자 표지에(more…)
“항우울제, 누군 듣고 누군 안 듣는 이유 찾았다”
우울증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는 신세대 항우울제(프로작 등)가 어떤 환자에겐 듣고 어떤 환자에겐 듣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신세대 항울제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는(more…)
200페타바이트 과학 데이터 어떻게 저장할까?
테라바이트(TB)급 하드디스크가 널리 보급되면서 이제는 일반 사용자도 테라바이트급 자료를 지닌 경우가 드물지 않지만, 아직 테라바이트급 데이터는 기업이나 대형 데이터 센터가 아니라면 엄두를(more…)
자석을 반으로 자르면 어떻게 될까?!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N극과 S극이 항상 붙어 있는 자석! 서로 다른 극에 갖다 대면 찰싹 달라붙는 ‘인력’이 발생하고, 같은 극에 갖다(more…)
1초당 10조 프레임 촬영…‘세계 최고속 카메라’ 등장
세계에서 가장 빠른 카메라 타이틀을 가진 T-CUP(출처=캐나다 국립과학연구소) 세계 최고 속도의 카메라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사이언스데일리 등 과학 전문매체의 12일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more…)
만능금속 ‘티타늄’의 비밀
영화 ‘호빗’중 난쟁이왕 소린에게서 미스릴 갑옷을 선물받는 빌보베긴스. 현대의 티타늄은 판타지 영화 속에 등징하는 미스릴과 견줄 수 있는 금속입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미스릴(Mithril)’이라는(more…)
땅 속 240㎞ 아래 다이아몬드 1000조 톤 있다
최고 가치의 보석으로 평가받는 희소한 다이아몬드가 땅 속 깊은 곳에 무려 1000조 톤이나 묻혀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하버드, MIT 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땅(more…)
세계에서 가장 내구성이 뛰어난 합금 개발
백금-금 합금 소재를 테스트 중인 산디아 연구소의 과학자들 미 국립 산디아 연구소(Sandia National Laboratories) 과학자들이 ‘세상에서 가장 내구성이 뛰어난 합금'(world‘s most durable alloy)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이 개발한(more…)
물에 젖은 종이가 쭈글쭈글해지는 이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거 방탄유리야! 방탄유리 속 과학 이야기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왜 나이가 들면 잘 안 들릴까?
왜 나이가 들면 잘 안 들릴까? 파동의 물리학 어렸을 때 두 개의 종이컵을 실로 연결한 종이컵 전화를 만들어서 놀아본(more…)
‘편견 없는 AI’를 설계하려는 MS의 방법론
공정성-투명성 핵심…’윤리적 AI’ 만들어야 구글 인공지능(AI) 연구조직 ‘구글 브레인’은 지난 2016년 흥미로운 논문을 한편 발표했다. AI의 편견을 극복하는 방법을 주제로 한 연구 논문이었다. 이 논문에서(more…)
게임의 제왕 알파제로의 등장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7일 정육면체 위 3개 면에 바둑과 체스, 한국의 장기와 닮은 일본의 쇼기 게임이 동시에 진행 중인 모습을 표지에(more…)
본격 의학 연구로 영역 넓히는 구글AI & AI가 설계한 단백질, 박테리아도 죽일 수 있다 &&
딥마인드, 단백질 구조 예측 AI ‘알파폴드’ 공개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단백질 3차 구조 (source: Protein Data Bank).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 딥마인드가 이번에는 단백질의 형태를 예측하는 AI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more…)
개를 연구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아이독스’
[요약]중국과학원 연구진은 개에 대한 연구에 쓰이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도구들을 통합해 제공하는 ‘아이독스’를 개발했다.(2018.11) 아이독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종류. 출처 : 중국과학원 (more…)
3D프린팅 기술로 실제와 똑같은 근육세포 만든다
인공근육 이미지 국내 연구진이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실제와 똑같은 기능을 하는 근육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성균관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근형 교수팀은 살아있는 생체 세포와(more…)
빅데이터로 범죄 예측… 현실이 된 ‘마이너리티 리포트’
과학 이야기 영화 속 과학 얼굴·운전습관·인터넷 활동 등 첨단 보안시스템으로 개개인 감시 중국선 이미 구축…국내도 개발 2054년의 시민들은 범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more…)
“땡큐 슈퍼맨~”…하반신 마비 환자들”두 발로 다시 걷다”
척수마비 환자인 켈리 토마스가 전기자극기와 보행 보조기를 이용해 걷고 있다. 루이스빌 대학. 사고를 당해 몸이 마비된 사람이 다시 걸을 수 있는 기술이(more…)
장애 극복하는 기술 휴머니즘… ’사이버 레그’ 공개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서 팔 다리를 잃어버리는 일은 개인의 비극인 것은 물론이고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이다. 그러나 최근 이와 같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more…)
“음~ 느껴져요”…‘촉각’까지 전하는 로봇 의수 개발
손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감각까지 되찾게 해주는 신형 로봇 의수가 미군에 의해 개발돼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기술은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연구팀과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이하 다르파)이 공동으로(more…)
하반신 마비男, 뇌파 보내 ‘본인 다리’로 걸어
하반신 마비로 휠체어 생활을 하던 남자가 로봇의 도움없이 자신의 두 다리로 걷는 실험이 사상 처음으로 성공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연구팀은 하반신 마비(more…)
‘생체공학 눈’으로 다시 눈 뜬 시각장애인 & 죽은 지 5시간 지난 눈을 되살렸다…실명 치료 획기적 발전 기대
시력을 완전히 잃었던 40대 여성이 생체공학 눈을 이식받고 다시 세상을 볼 수 있게 됐다. 올해 49세인 영국 여성 라이언 루이스는 유전적 망막질환인 망막색소변성으로(more…)
몸 전신을 3D로 촬영하는 신개념 ‘스캐너’ 탄생 & X선·CT·MRI 기술 원리는 뭘까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단층이 아닌 3D로 모든 신체 부위를 촬영해요 사람의 몸 전체를 3D로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의료 장비가 개발돼 화제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진들이 개발한 ‘익스플로러(Explorer)’라는 이름의 스캐너가 그 주인공인데요. 익스플로러는 MRI나 CT와 달리 단층 촬영의 개념의 넘어 신체 모든 부분을 3D 영상으로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이라 할 수 있죠. 익스플로러는(more…)
의료용 중입자 가속기
. 놀라운 과학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 아쉬운 것이 암 치료 기술이다. 암 부위에 따라서, 혹은 병기가 진행된 암에 대해서는 치료가 어려운(more…)
美 NIH 과학자들 “‘인간화 쥐’ 태아조직 사용 불가피, 대안없다”
과학동아 제공 인간화 쥐는 특별한 조작으로 면역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인간의 유전자, 세포, 조직, 기관 등을 이식한 실험쥐를 말한다. 보통 인간의 조직은 쥐의(more…)
가타카, 유전자조작 시대의 비극
가타카 포스터 빈센트 프리맨은 태어나자마자 ‘부적격자’로 분류됐다. 빈센트는 자연임신으로 태어났다. 유전공학 발달로 질병과 성격, 지능 유전자를 조작해 최고의 인자를 갖춘 우성(more…)
영화 ‘벤자민 버튼’ 처럼…노화 막는 연구에 빠진 글로벌 IT기업들
美코넬대, 젊은 쥐 혈액순환계…늙은 쥐에 주입했더니 재생효과 구글 공동창업자 노화연구 투자…오라클 창업자도 의학재단 세워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주인공처럼 시간을 되돌려(more…)
‘노화의 비밀’ 열쇠, 혈구에서 찾았다 & 노화란 무엇일까? 죽음에 이르는 12가지 연결망 &&
미 대학연구팀 보고서…혈액암 치료도 돌파구 기대 백혈구[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의 혈구(blood cell)엔 이식해도 변하지 않는 ‘고유의 시계(intrinsic clock)’ 같은 것이 있다고 미국의 한 대학연구팀이(more…)
혈액줄기세포의 안내자 대식세포 & 혈액세포, 조혈모세포만 만드는 게 아니었다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서로 엇갈려 반대 방향으로 헤엄치는 제브라피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6일자 표지에 실었다. 척추동물의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액줄기세포가(more…)
지방세포는 죄가 없다…건강한 비만도 가능하다
운동과 대사질환 건강을 위해서 운동이 중요한 것을 알고 있지만, 어떤 효과가 있는지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출처: Pixabay.com 많은 사람이 건강을 위해 여러 가지(more…)
지방세포로 비만 인자 조절
[요약]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ETH)와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EPFL) 공동연구팀은 지방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새로운 종류의 지방세포를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비만 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데(more…)
뇌과학자가 ‘자유의지’를 규명한다 & 인간에게는 정말로 자유의지가 있을까 &&
철학적 논란 잠재울 뇌신경철학 탄생 예고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생각과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자유 의지(free will)’라고(more…)
노화와 잠을 연결하는 뇌의 회로 &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요약]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빨리 늙는다? 경험적으로 그럴 듯하지만 과학적인 근거도 있을까?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진이 뇌의 잠을 관장하는 회로가 노화와 연관되는 세포의 산화스트레스와 연관된다는 점을(more…)
실험실서 뇌가 자라고 있다? & 배양접시에 키운 뉴런, ‘퐁’ 게임 플레이하다
최근 의학·과학 관련 뉴스를 보면 ‘오가노이드’와 관련한 소식을 자주 접할 수 있다. 개발에서부터 실험 소식 그리고 희귀질환의 해결책으로도 꼽힌다. 지난 3월 11일에는 국제학술지(more…)
“알츠하이머 단백질 전파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도 전염될 수 있을까?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은 활동성 병원체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뇌혈관에 침착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전염 가능성 얘기는 거의 없었다.(more…)
정신질환 환자 뇌세포에 나타난 유전적 변화 흔적
사이언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4일자 표지에 네온사인으로 나타낸 뇌 형상을 실었다. 일부 영역은 불긋불긋하게 주변보다 색이 어둡다. 이는 유전적 요인에 의한 성인 뇌의(more…)
뇌 속 신경세포들의 절묘한 역할 분담
[요약문] 1400~1600g 정도인 뇌에는 약 1000억개의 신경세포가 활동한다. 이들이 서로 소통하며 학습과 기억 같은 놀라운 고등 인지기능을 발휘한다. 과학이 뇌의 작동 메커니즘에 조금씩 접근할수록(more…)
뇌 속에 있는 지도에서 시작된 생각의 탄생
[요약] 사람이 길을 찾을 때 활성화되는 뇌세포들이 새로운 개념을 배우고 생각할 때도 활용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이 새로 접한 개념이나 사물을(more…)
나이 들어도 ‘새로운 뇌세포’ 생성된다
사진=123rf.com 나이가 들면 뇌세포가 ‘죽기만’ 한다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 연구진에 따르면 우리 뇌는 나이가 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more…)
독개구리가 자신의 독에 중독되지 않는 이유 & ‘투명’ 유리개구리, 포식자 눈 피해 빨간 적혈구 간(肝)에 보관
에콰도르에 서식하는 독개구리 가운데 하나인 에피페도바테스 앤소니. 에비바티딘이라는 독을 만든다 (사진= Rebecca Tarvin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개구리 가운데는 매우 화려한 색을 뽐내는 것들이 있다.(more…)
기증된 인체 장기 ‘장기보존’ 길 열렸다
인체 장기를 오래 보존하는 것을 넘어, 다시 이식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리워밍 실험이 성공해 의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사진=포토리아) 장기이식수술의 관건 중 하나는 공여자의(more…)
암세포는 ‘아미노산’으로 증식…신약 개발 단서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세포’는 포도당을 에너지로 사용한다. 인체의 성장은 ‘세포의 분열과 성장’으로 이뤄지는데, 이때 에너지원이 되는 포도당은 체세포뿐만 아니라 모든(more…)
참을성 없는 아들, 원인은 남성호르몬
아이들을 키워 봤거나 키우는 부모들 누구나 공감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들 키우기가 딸 키우기보다 훨씬 어렵다’는 겁니다. 사춘기를 겪기 전 아이들을 보면 여자아이의 행동은(more…)
인류애 담은 백신, 소아마비 공포 없애
백신 개발 뒤 발병률 90% 감소…기술 특허 내지 않고 무료 공개 솔크 박사는 소아마비를 잡을 수 있는 예방백신을 개발해 당시 시사주간지 ‘타임’의(more…)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요약]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칼텍) 연구진이 인위적으로 착시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우리 뇌가 서로 다른 감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발견했다. 우리 뇌는 처음 감각 신호를 처리하기(more…)
바닷새 먹이사슬이 바뀌고 있다
사이언스 제공 기상학자들은 기후 변화로 극지방에선 해양 생물다양성이 줄어들고 저위도 지역에선 아름다운 산호초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바닷가에 사는 새들도 예외는(more…)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우리 뇌에는 약 880억 개 신경세포가 있다. 신경세포들의 상호작용을 뜻하는 신경망도 수십 조개의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를 모두 밝히는 일은 갈 길이(more…)
면역기능과 노화에 영향 미치는 장내 미생물 & 장내세균이 ‘건강 나이’ 결정
[요약]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EPFL) 과학자들은 면역계의 기능장애가 어떻게 장내 세균의 과부하를 유발시키는지 발견했다. 세균은 과도한 젖산을 만들어내고 세포 손상과 노화관련 질환을 유발시키는 활성산소 생성을 유발시키게 된다. (2018.11)(more…)
거미를 좀비로 만들어 조종하는 기생 말벌 발견
자티포타(Zatypota) 기생 말벌(왼쪽)과 거미의 몸에 달라 붙은 자티포타 종 기생 말벌 애벌레 기생은 좋은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많은 생물이 이 방식으로(more…)
광합성 하는 ‘푸른 민달팽이’
식물과 동물을 구분하는 차이점 중 하나로 에너지 생산 방식을 들 수 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 태양에너지를 생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바꾸는(more…)
접촉으로 성별 바뀌는 동물이 있다
인간은 염색체에 의해서 성별이 결정된다. 그런 만큼 한 번 성이 결정되면 뒤바뀌는 일은 없다. 그러나 동물의 세계는 인간 세상보다 훨씬 복잡한 일들이 일어난다.(more…)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2013년 새로운 전자탐지기의 도입으로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이 완성되면서 생화학 분야에서는 그야말로 ‘극저온전자현미경’ 시대가 열렸다.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나, 귀에서 압력 변화를 느껴 읽고 듣게 도와주는 센서(more…)
에이즈 정복, 치료제 개발로 끝이 아니다
science 제공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이하 HIV)가 유발하는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다른 이름으로 ‘에이즈’(이하 AIDS)다. 지난해 9월 미국 국립보건원과 프랑스 제약회사 사노피 가 3가지 HIV 항체를 결합한 3종 혼합백신을 개발,(more…)
완벽하고 건강한 식단을 찾아서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6일 노릇하게 구운 호밀빵 위에 생아보카도를 올리고 각종 견과류와 허브를 뿌린 아보카도 토스트를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영양(more…)
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사이언스 제공 캄브리아기는 약 5억 4100만 년 전부터 4억 8800만 년 전까지 시기다. 지질시대 중 고생대를 구분하는 여러 시점 중 가장 앞선(more…)
실험실의 스타? 사회성을 갖춘 ‘벌거숭이’? 벌거숭이두더지쥐
약 30년 전에는 누구도 이 작고 볼품없는 설치류에게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어요. 하지만 지금은 ‘벌거숭이두더지쥐’에 대한 논문이 일 년에 수백 개씩 나오고 있지요.(more…)
양자물질의 역사: 최초의 물질 이론
기원전 490년경 태어나 430년 무렵까지 살았다는 엠페도클레스는 시기적으로 볼 때 피타고라스 이후, 소크라테스 이전에 활동한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다. 엠페도클레스는 시실리 섬에서 태어났고, 정치를 했으나(more…)
AI for the M.D
In 1970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William Schwartz predicted that by the year 2000, much of the intellectual function of medicine(more…)
Cancer immunotherapy may have a dark side
Although the 65-year-old woman had a rare type of endometrial cancer that had spread to her liver and was expected to be fatal,(more…)
Neural representations across species
A plethora of studies in rodents have described spatially tuned neurons, including place cells in the hippocampus and grid cells in the medial(more…)
The construction of supramolecular systems
Self-assembly by intermolecular noncovalent interactions directed by self-recognition created the field of supramolecular chemistry (1). However, the word “self” appears to limit this(more…)
How to better control polymer chemistry
Polymer chemists have long endeavored to gain control over the precise chemical structures of the polymers they synthesize. Polymers can have variable lengths(more…)
Endogenous gene editing
Genetically modified crops have supporters and opponents, but how can these views be reconciled to improve food security?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acute(more…)
Gene expression at fine scale
Mapping gene expression at the single-cell level within tissues remains a technical challenge. Rodriques et al. developed a method called Slide-seq, whereby RNA was spatially(more…)
Precise packing for membrane proteins
Although nonpolar amino acid side chains pack efficiently in membrane proteins, it has been difficult to determine how much this contributes to membrane(more…)
Nanomaterials in the Earth system
Nanomaterials have been part of the Earth system for billions of years, but human activities are changing the nature and amounts of these(more…)
How to make an organelle in eukaryotes
A key step in the evolution of complex organisms like eukaryotes was the organization of specific tasks into organelles. Reinkemeier et al. designed an artificial,(more…)
Refrigeration based on plastic crystals
Materials called plastic crystals have been found to undergo huge temperature changes when subjected to small pressures near room temperature. Such materials could(more…)
North Korean physicists forge rare exchange deal with Italian university
Researchers from the isolated state get a chance to study neuroscience at prestigious institution. Students from North Korea can’t be trained in(more…)
Robots on the run
After decades of clumsiness, robots are finally learning to walk, run and grasp with grace. Such progress spells the beginning of an age of(more…)
Virus tricks the immune system into ignoring bacterial infections
The finding could explain why the body tolerates some microbes ― and lead to better treatments for chronic infections. Pseudomonas(more…)
단백질 기능을 예측하는 모델
[요약]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연구팀은 개별 아미노산이 어떻게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하는지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는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고 시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2019.03) (more…)
생각을 말과 글로 바꿔주는 인공지능(AI) 등장하나 & 챗GPT란 무엇인가:가장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생성형AI의 의학·과학 습격…’전문가’ 인간은 살아남을까 &&
뇌 언어영역 전기신호를 AI가 목소리나 글로 변환시켜주는 기술 미국 워싱턴대 감각운동신경공학센터(CSNE) 제공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 압승을 거둔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를 만들어(more…)
개미, 뇌에 ‘계급장’ 달고 태어난다
다윈도 못 푼 개미의 계급 분화 비밀 거북개미 계급별 뇌 크기·모양 분석 여왕개미, 다른 계급 비해 뇌 용적 커 신경망 구조 복잡하고(more…)
기억보다 망각이 힘들다 (연구)
[사진=file404/shutterstock] 무언가를 기억하는 것보다 잊는 것이 정신적으로 더 힘들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연구진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무언가를 기억할(more…)
나이가 들면 시간이 빨리 가는 이유가 추가됐다
물리학 관점에서 본 마음시간의 비밀 시간 변화는 습득 이미지 변화로 느껴 신호전달 경로 길어지고 속도도 느려져 같은 시간 받는 이미지 수 적어진 결과(more…)
The next step in making arrays of single atoms
Thre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cooling and trapping of single strontium and ytterbium atoms in two-dimensional arrays. Such arrays could lead to advances(more…)
Hidden flaws in common piece of lab kit could botch experiments
Well-used magnetic stirrers harbour metal atoms that could bias the results of chemical and biochemical reactions. Magnetic stirring bars are ubiquitous in research(more…)
The CRISPR fix that could combat inherited blood disorders
Researchers have finally identified a reliable way to edit the genes of blood stem cells. The elongated red blood cells of people with(more…)
금강불괴 ‘물곰’ & 달에 떨어진 ‘물곰’은 살았을까..영국 과학자들이 실험해봤다 &&
원본보기 물곰. 위키피디아 ‘물곰(water bear)’이 연구계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능력 때문이다. 물곰은 완보동물문에 속한다. 플랑크톤 등을 주로 먹고 사는(more…)
치매 걱정 사라질까?…기억 되돌리는 약 개발 성공 (연구)
사진=123rf.com 사랑하는 사람과 가족의 기억이 머리에서 지워지는 것만큼이나 끔찍한 일은 없다. 그래서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은 현대인이 가장 두려워하는 존재가 됐다. 이러한 질환으로(more…)
어젯밤 꿈도 영상으로 재생…뇌파 비밀 밝히면 ‘아바타’ 가능? & 꿈을 분석하면 나를 알 수 있다?
영화 속 과학 뇌에서 나오는 전자기파, 기계 구동 명령어로 활용 전신마비 환자 뇌에 칩 삽입…생각만으로 로봇 팔 움직여 2009년 개봉한 영화(more…)
실험실에서 키운 뇌로 뇌 질환 연구
[요약] 독일 연구팀이 유전성 뇌 질환인 신경세포이동장애를 연구할 수 있는 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뇌 오가노이드는 실제 사람의 몸에서 떼어낸 세포를 분화시켜 뇌 조직처럼(more…)
인간이 만든 잡종으로 산호 멸종 막는다
이달 초 처음 바다에 양식시도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분홍빛의 산호초를 22일 표지로 실었다. 표지 속 분홍빛 덩어리들은 곧 난자와(more…)
생명의 기원, 3막의 드라마
생명은 처음 어떻게 태어났을까? 상상만으로도 가슴 뛰는 질문이다. ‘생명의 기원’을 연극에 비유해보자. 학교에서 배운 기억을 더듬으면 연극에는 3요소라는 게 있다. 무대, 배우, 관객이다. 생명의 무대는 물론 지구이다. 배우는(more…)
Charting a course for chemistry
To mark the occasion of Nature Chemistry turning 10 years old, we asked scientists working in different areas of chemistry to tell us what they(more…)
방독면, 우릴 안전하게 지켜줘! 유해물질 걸러내는 방독면의 원리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바이오젠 치매 신약 개발 중단… 베타아밀로이드 가설 틀렸나
바이오젠과 에자이, 치매 신약 아두카누맙 임상시험 중단 대다수 제약사들 ‘타우 단백질 엉킴’ 가설로 돌아서 기대를 걸었던 알츠하이머 신약 임상시험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의료계의(more…)
무선 이어폰이 ‘암’ 유발한다고? 전자파 정말 괜찮을까 & 전자파 인체 유해성 논란…휴대폰은 괜찮냐고요?
18일 영국의 데일리메일 등 외신과 일부 국내 언론에서 “전 세계 과학자 247명이 무선 이어폰, 특히 애플의 ‘에어팟’에서 발생하는 비이온화 전자기장(EMF)이 암을 유발할(more…)
전 세계 소아암 게놈 데이터를 모으다
사이언스, FatCamera/Getty Images 제공 한 어린이가 자기 몸만 한 흰토끼 인형을 안고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 머리를 가린 채 등지고 있어 어린이의 얼굴은 보이지 않지만, 귀가(more…)
인류 난제 해결사 머신러닝과 양자 컴퓨터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보라색 배경에 여러 개의 동그란 원들이 가지런히 놓여 여러 선으로 연결된 모습을 13일 표지로 실었다. 이들 원은 얽힌(more…)
게임체인저가 될 ‘입자’로봇의 탄생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1일 놀이동산의 회전 바구니 놀이기구를 위에서 본 듯한 내부에 나선을 가진 구(球)체들의 모음을 표지에 실었다. 이 구체들의 정체는(more…)
세기의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불확정성 원리를 둘러싼 논란 &&
<라운드 1> ‘변형 이중슬릿 사고실험’ 토론하는 보어와 아인슈타인. 1925년 12월 스위스 라이덴의 폴 에렌페스트 집. /Wikipedia 세기의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라운드(more…)
South Korea accepts geothermal plant probably caused destructive quake
The nation’s energy ministry expressed ‘deep regret’, and said it would dismantle the experimental plant. A 2017 earthquake in Pohang, South Korea(more…)
Making Sense of the CRISPR Patent Dispute Between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d Broad
Anyone fond of intricate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and really, who isn’t?) is going to have their cup runnething over when it comes to(more…)
내 몸이 나를 공격한다 ‘자가면역질환’
<내 몸이 나를 공격한다 ‘자가면역질환’> / YTN 사이언스 감기나 질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면역력’을 키워야 한다는(more…)
인간 세포의 ‘DNA 복구’ 미스터리 풀렸다
독일 연구진, ‘히스톤 코드’ 작동 원리 규명 BARD 1분자의 DNA 복구 메커니즘 결정 과정[헬름홀츠 첸트룸 뮌헨 제공] 세포의 다양한 DNA 복구 메커니즘 가운데 특정 메커니즘이(more…)
가장 흔한 시력상실 질환 세계 첫 유전자 치료
노인성 황반변성은 나이가 들어 시력을 잃게 되는 가장 흔한 질병이다. 변형한 DNA를 지닌 바이러스를 눈 안에 주입해 이를 고치는 최초의 유전자 치료 임상 시험이(more…)
‘치매 완전치료’ 길 열리나…뇌 변이유전자 추가 발견 & 치매 유발하는 유전자 ‘싹둑’…美 연구진 “뇌 속 아밀로이드베타 잡는다”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된 변이유전자 5개가 새로 발견됐다. 국제 알츠하이머 치매 게놈 프로젝트 (IGAP: International Genomic Alzheimer‘s Project) 공동연구단은 치매 환자 9만4천437명의 유전체를(more…)
노래하는 쥐에게서 인간의 대화 메커니즘 밝힌다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갈색빛깔 쥐가 돌 무대 위에서 입을 벌리고 노래하는 모습을 2월 28일자 표지로 실었다. 이 쥐는 멕시코나 파나마와 같은(more…)
장기이식 난제 ‘거부반응’ 사전 제거
스탠퍼드 의과대학 연구진은 장기이식 수용자의 혈액 생성 줄기세포를 없애고 기증자의 줄기세포로 대체해 면역 거부반응 없이 장기를 이식할 수 있도록 만드는 항체 약물 복합체를(more…)
암세포 잡는 면역세포, 면역세포 돕는 장내 미생물
면역항암치료 면역계 ‘T세포’ 공격력 유지시키는 ‘면역항암치료’, 떠오르는 암치료법 아직 수천만원~수억원 비용 크고 환자마다 효과 달라 계속 연구 중 최근 연구에선 장내 미생물도 주목(more…)
“면역체계 ‘핸드브레이크’ 역할 하는 유전자 발견”
영국 요크대 의대 연구진, miR-132 지목 길 안내 받듯 따라가는 면역세포[사이언스 제공] 인간의 면역체계는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균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지만 때로는 과민하게 반응해 신체(more…)
유전자가 최소화된 미생물의 독특한 생장원리 규명
미생물 기반 단백질 생산 효율의 획기적 향상 적응 진화를 통한 최소유전체 대장균의 성장 속도 증대 A) 정상 대장균 (MG1655; 검은색)에 비해 성장이 매우 느린 최소유전체 (MS56; 붉은색).(more…)
로봇과 인간의 사랑이 가능할까?
인간과 로봇의 사랑이 가능할까요? 섹스로봇은 점점 더 인감과 공감대를 확산하면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로봇기술의 발달이 경이롭습니다. 높은 지능과 매너는(more…)
토스트처럼 구워졌네…지구 귀환한 스페이스X 우주선
지난 8일(현지시간) 오후 대서양에 착수(着水)한 미국의 민간우주탐사업체 스페이스X의 우주캡슐 ‘크루 드래곤’(Crew Dragon)의 모습이 트위터를 통해 공개됐다. 이날 스페이스X는 우주를 다녀온 우주선의 사진과(more…)
우리 은하의 무게, 알고 보니..
허블우주망원경과 가이아위성으로 재본 은하 무게는 태양 질량의 1조 5000억배 우리은하의 가상도 – NASA, ESA 제공 요즘 같이 미세먼지 가득한 하늘에서는 엄두도 낼 수(more…)
지구를 구하기엔 이미 너무 늦었다…?(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의 경고) & 기후재앙 ‘손실·피해’ 보상, 역사적 첫발 뗐지만…구체성 결여 비판도
지난여름 우리나라는 폭염에 시달렸다. 서울의 기온이 39.6℃까지 치솟았고 온열 질환으로 40여 명이 사망했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기록적인 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기후변화의(more…)
맛을 내지 않고 맛을 만드는 합성착향료의 비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빅토리아 여왕의 비약, 대마초
영국이 전성기를 이루고 자본주의 선진국이 되는 데 이바지한 빅토리아 여왕은 모든 국민이 존경하는 군주였다. 그런데 그녀에게는 골칫거리가 하나 있었다.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more…)
마약의 ‘착한 변신’…우울증 신약 잇달아
케타민과 유사한 에스케타민 성분 FDA 30년만에 ‘스프라바토’ 승인 산후우울증 ‘줄레소’도 6월판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 11월 허가 결정 스트레스 등으로(more…)
근육 젊게 해 신체능력 회복..美 연구진 ‘꿈의 신약’ 개발 중
이미지 크게 보기 앞으로 몇 년 안에 나이 들어도 가치 있는 삶을 살도록 신체 능력을 젊었을 때처럼 회복해주는 ‘꿈 같은 약’이(more…)
Complex societies precede moralizing gods throughout world history
Abstract The origins of religion and of complex societies represent evolutionary puzzles1,2,3,4,5,6,7,8. The ‘moralizing gods’ hypothesis offers a solution to both puzzles(more…)
Scientists rise up against statistical significance
Valentin Amrhein, Sander Greenland, Blake McShane and more than 800 signatories call for an end to hyped claims and the dismissal of possibly(more…)
Robotic collectives inspired by biological cells
A robotic system has been demonstrated in which the random motion of individual components leads to deterministic behaviour, much as occurs in living(more…)
Protein-slaying drugs could be the next blockbuster therapies
Researchers are hijacking the cell’s protein-disposal system in the fight against Alzheimer’s and intractable cancers. Illustration by David Parkins PDF version(more…)
‘과찾사’가 늘고 있다
지난해 10월 서수영씨(42)는 과학책방 ‘갈다’에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읽기’ 모임을 꾸렸다. 천문학자인 이명현 ‘갈다’ 대표를 길잡이로 10여명이 모여 6주 동안 <코스모스>를 읽었다.(more…)
주기율표 탄생 150년, 국제 주기율표의 해
‘수헬리베붕탄질산 플네나마알규인황···’ 이 의미를 알 수 없는 글자들이 무엇인지 단번에 알아채신 분들! 과학 공부 좀 하셨군요~ (오올) 수소(H), 헬륨(He), 리튬(Li), 베릴륨(Be), 붕소(B)··· 바로(more…)
광속으로 달리는 빛은 시간을 어떻게 느낄까?
. 빛의 속도에 가까이 빠르게 방출되는 블랙홀의 제트 이미지. 물체가 빛의 속도에 도달하면 시간이 매우 이상하게 변한다.(출처= NASA/JPL–Caltech) 빛은 시간을 어떻게 느낄까?(more…)
“AI, 신약개발을 부탁해”… 제약·바이오 패러다임 변했다
R&D 시간·비용 기존 10분의 1 업계, TF·시설·인력 확보 나서 SK ‘약물설계 플랫폼’ 적극 활용 대웅·일동제약 등 투자규모 확대 신약개발에 드는 시간과(more…)
유전자 삽입했더니 앞 못 보던 생쥐가 심봉사처럼 눈 떴다?
美연구진, 생쥐실험에서 망막신경세포 90% 회복 성공 망막색소변성증 이미지 어릴 적 누구나 한 번은 들었던 한국 고전 ‘심청전’ 마지막 장면에는 앞을(more…)
호주서 50년 된 ‘냉동 정자’로 양 태어나…세계 최장 기록
. 50년 된 ‘냉동 정자’로 태어난 양의 모습. 호주 시드니대 연구팀이 50년 전 동결 보존한 정자로 메리노 양 수십 마리의 임신·출산에(more…)
납을 금으로, 이산화탄소를 석탄으로!
‘황금’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반짝임, 휘황찬란함, 화려함, 돈, 재산, 부유함, 풍요로움, 귀함…. 속세의 때를 전혀 벗지 못한 필자는 이런 생각이(more…)
세계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 & 벤치로, 타워로…도심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날이 조금씩 따뜻해지기 시작했지만, 사시사철 불청객처럼 찾아오는 미세먼지 때문에 창문도 제대로 열지 못하고 마스크가 없이는 외출조차 힘든 요즘입니다. 또, 미세먼지 속에는 중금속이나 유해화학물질(more…)
The rise and fall of scientific authority — and how to bring it back
Robert P. Crease harks back to the shapers of our scientific infrastructure and what they can tell us about how to handle the(more…)
Moratorium for germline editing splits biologists
A prominent group of 18 scientists and bioethicists from seven countries has called for a global “moratorium” on human germline editing, the creation(more…)
The crisis of democracy and the science of deliberation
People gather at a gram sabha in the Jhabua district of Madhya Pradesh, India. Gram sabhas are village assemblies in India that(more…)
Time for Korean wildlife conservation
Although the populations of many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have declined, fewer species have gone extinct than in other similarly developed(more…)
Modification of histone proteins by serotonin in the nucleus
The function of histone proteins can be modified through addition or removal of certain chemical groups. The addition of a serotonin molecule is(more…)
CRISPR기술이 어떻게 신약개발을 촉진하는가?
CRISPR기술이 어떻게 신약개발을 촉진하는가? ◇ 3세대 유전자편집기술인 CRISPR기술은 유전자·세포치료제 등 차세대 바이오신약 개발 외에 전통적인 합성신약 발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여 신약개발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more…)
1911년 파리, 소르본 스캔들
1911년 11월 4일, 스캔들 기사가 신문 <르 주르날 Le Journal>을 장식했다. 스캔들의 주인공은 마리 퀴리Marie Curie, 1867-1934와 동료 물리학자 폴(more…)
인류의 역사를 바꾼 약…비타민C·페니실린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주사기를 대체한 ‘인슐린 알약’ 탄생
인슐린 주사기를 매번 맞아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 최근 MIT와 하버드 대학 연구진이 공동으로 ‘인슐린 알약’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인슐린은 단백질의 일종으로(more…)
3만년 전 세포핵이 살아있다…매머드 복제 가능성 열려 & 日 연구진, 동결건조 피부세포로 복제 쥐 74마리 만들었다 &&
러·일 연구팀, 쥐 난자에 삽입한 세포핵 분열 관찰 러시아의 한 박물관에 전시된 매머드 뼈 © AFP=뉴스1 약 3만년 된 매머드 유해에서(more…)
아보가드로 수 – 물질세계의 불연속성에 대하여
IBM에서 전자투과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을 이용해 제논 원자 35개를 배열하여 “IBM”이라고 쓴 영상을 내보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30년 전 일이다. 그(more…)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 “노벨상 수상자 틀렸다” & 암흑물질 없는 은하 발견…표준 우주모형까지 흔들까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물질과 에너지는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닙니다. 임의의 물질의 질량(mm)은 그 값에 광속(cc)의 제곱을 곱한 값(mc2mc2)에 해당되는 에너지(E=mc2E=mc2)로 바뀔(more…)
From poor prognosis to promising treatment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stromal cells—the nonmutated cells that surround malignant cancer cells—are not mere bystanders in tumorigenesis.(more…)
The therapeutic promise of apoptosis
Download high-res image Open in new tab Download Powerpoint Intestinal organoid deleted for the key pro-apoptotic ARTS protein, which regulates cell death in(more…)
Enzymes trapped and zapped for use outside cells
Many enzymes cooperate with other proteins and small molecules to function. A strategy that mimics the confinement of such cooperative partners in cells(more…)
Inside the ant lab: Mutants and social genes
An unusual ant species is helping researchers understand the complex behaviour of social insects. Social insects such as ants and bees(more…)
Why science needs philosophy
아래의 글은 PNAS에 게재된 Opinion입니다. A knowledge of the historic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gives that kind of independence from prejudices of his(more…)
DNA-based communication in populations of synthetic protocells
Abstract Developing molecular communication platforms based on orthogonal communication channels is a crucial step towards engineering artificial multicellular systems. Here, we present(more…)
Converting light into ATP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Angew. Chem. (2019). Artificial cells are compartmentalized structures that can mimic essential functions of their biological counterpart. They(more…)
남색을 발명해서 노벨상을 받은 남자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21세기의 연금술, 3D 프린터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쉽게 말하자면 복제물을 다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최초의 모델에서 시작된 복제가 자꾸 거듭되면,(more…)
날씨가 왜 이래요? 국가에 소송 거는 아이들
원본보기 ■기후악당국가 고소할 거야! 2015년 8월 미국 오리건주에서 청소년 21명이 연방정부와 화석연료기업들을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청소년들은 “정부가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50년 넘게 이를(more…)
핼리 혜성을 ‘밝힌’ 핼리의 특이한 삶 & “네가 왜 거기서” 같은 궤도 도는 트로이 행성 첫 발견
. 에드먼드 핼리가 최초로 궤도를 결정하여 그의 이름을 얻은 핼리 혜성의 1986년 회귀 모습. 다음 회귀년은 2061년이다.(출처: NASA) -다음 돌아올 핼리 혜성을(more…)
우리 몸에 남아있는 진화의 흔적들
1. 사랑니 사랑니는 질긴 음식을 씹어먹어야 할 필요 때문에 발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기를 불에 데워 먹기 시작하면서 질긴 음식을 씹을 필요가 없어졌다. 오늘날(more…)
How plastic wends its way to ocean garbage patches
Wind and wave action drive the build-up of microplastics at remote ocean sites. Plastic bags float in the sea. Researchers have identified(more…)
Why were scientists silent over gene-edited babies?
To be successful as researchers, we must be able to think through the impacts of our work on society and speak up when(more…)
Colour from colourless droplets & 색소 없이 물방울로만 그린 그림
Iridescent colours have been observed to be reflected from specially designed droplets of colourless liquids, with the reflected colour depending on the viewing(more…)
(youtube) Chemical Thermodynamics and Kinetics
Chemical Thermodynamics and Kinetics (Chemical Thermodynamics and Kinetics 유튜브 동영상강의 모음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머크, 유전자가위 기술 美 특허 획득
독일 머크는 미국 특허상표국으로부터 이 회사가 신청한 프록시 크리스퍼(CRISPR) 기술에 관한 특허를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머크의 프록시 크리스퍼는 유전자(DNA) 변경을 위해 유전자를 절개하는(more…)
인간 세포 속 자성 나노입자의 운명
[요약] 자성 나노입자는 나노의약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자성 나노입자가 실제로 인간 세포 내에서 분해돼 어떤 운명을 맞게 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진은(more…)
수억 개 세포가 빛을 단일 이미지로 보는 이유
수많은 시각정보가 망막신경저세포 거치면서 공통분류돼 게티이미지뱅크 사람의 시각시스템은 눈을 통해 빛으로 들어온 시각정보의 80%까지 수집할 수 있다. 망막에서 이 정보를 수집할(more…)
공룡 멸종 미스테리 풀리나…”소행성 충돌” vs “화산 폭발”
공룡은 약 6천600만년 전 지금의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대형 운석 또는 소행성이 떨어져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생대 백악기를 마감하고 신생대(more…)
연구팀 규모에 따라 연구결과도 다르다 & 상어: 심해에서 새로운 종의 상어가 발견됐다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초록빛 바다를 유영하고 있는 여러 상어와 셀 수도 없을 만큼 함께 뭉쳐 있는 물고기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상어는(more…)
절대영도 가까운 극저온에서 탄생시킨 페르미온 분자
Science 제공 아무렇게나 날아다니는 초파리를 가둬놓은 걸까.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투명한 상자 안에 갇혀 있는 작은 분자들의 모습을 22일자 표지에 실었다. 작은 분자들은 상자를(more…)
지구 생물 DNA와 다른 유전 정보 분자시스템 합성 & Four new DNA letters double life’s alphabet
“뜻밖의” 외계생명체 가능 입증…탐색 방식 재검토 필요성 제기돼 새로 합성된 ‘하치모지 DNA‘기존 4개 요소(적색·녹색·청색·황색 )에다 새로 4개(분홍색, 보라색, 오렌지색, 청록색)가 추가됐다. [인디애나 의과대학원(more…)
수컷없이 임신하고 알 낳는 큰가시고기 발견
큰가시고기 ‘메리’가 수컷과 체외수정 없이 출산한 알에서 부화한 새끼 중 한 마리.대부분의 어류와 양서류, 수생무척추동물은 암컷의 체외에서 수정이 이뤄지지만, 이러한 체외수정의 과정 없이(more…)
세계 최초 유전자 요법 통한 ‘실명질환’ 치료 성공
세계 최초로 유전자 기법을 이용한 노인성황반변병 치료를 받은 영국 여성 자넷 오스본(80)세계 최초 유전자 요법을 통한 노인성 안구질환의 성공 사례가 등장했다고 영국 BBC가 18일 보도했다.(more…)
Why neutrons and protons are modified inside nuclei
The structure of a neutron or a proton is modified when the particle is bound in an atomic nucleus. Experimental data suggest an(more…)
The single-cell transcriptional landscape of mammalian organogenesis
Abstract Mammalian organogenesis is a remarkable process. Within a short timeframe, the cells of the three germ layers transform into an embryo(more…)
A single-cell molecular map of mouse gastrulation and early organogenesis
Abstract Across the animal kingdom, gastrulation represents a key developmental event during which embryonic pluripotent cells diversify into lineage-specific precursors that will(more…)
Why microwaving a grape sparks a fiery glow & 자연이 만든 플라스마 발생장치 ‘포도알’
Scientists debunk a popular explanation for a flashy party trick. A bright plasma flares as a microwave heats two beads, replicating the(more…)
Why are there so many laws of physics?
The real theory of everything might be “the question to which the universe is the answer”. Plus: why some US researchers are taking(more…)
DNA replication from two different worlds
Replication of the DNA genome is performed by a replisome complex composed of numerous proteins. Cells have duplex DNA genomes, and their replisomes(more…)
Circular chemistry to enable a circular economy
By expanding the scope of sustainability to the entire lifecycle of chemical products, the concept of circular chemistry aims to replace today’s linear(more…)
Robots command enzymes
Enzymatic approaches to synthesize oligosaccharides offer an alternative to chemical syntheses for the production of homogeneous glycans; however, enzyme-based routes typically require lengthy(more…)
Changing the gold standard
Gold — long presumed to be an inert metal — has been increasingly shaking this image over the past couple of decades, mostly(more…)
Two are better than one
Finely tuned interactions in the second coordination sphere of enzymes or homogeneous catalysts can be essential for their function. Now, this concept has(more…)
Mendelevium 101
The first element to be identified one atom at a time was named after the main architect of the modern periodic table. This(more…)
첨단 과학과 결합한 ‘종이’
‘종이’는 주로 기록하는 매체로 인식되고 있는데요. 디지털이 발전하면서 ‘종이’를 이용한 매체는 점점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종이’도 첨단과학을 입고 새로운(more…)
지구의 생명은 모두 운 좋은 존재? 탄소화합물 생명체의 비밀
지난 14일, CNN 등 외신은 지구에서 겨우 6광년 떨어진 ‘슈퍼지구’의 발견을 알렸습니다. 그 주인공은 뱀주인자리의 적색왜성인 ‘바나드’의 주위를 도는 행성 ‘바나드-b’지요. 바나드-b는 지구보다(more…)
정보의 매개체, 문자와 숫자의 출현과 발전
문자와 언어 vs 숫자와 정보 문자와 언어, 숫자는 생겨날 때부터 서로 통하는 면이 있었다. 각자 다른 길을 가며 발전해왔지만 결국 한곳으로 모인다. 숫자와(more…)
우리 곁에 존재하는 전설 같은 나무들!
인간과 우주, 자연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는 아름다운 동화 《어린왕자》. 외딴별에 비상착륙한 비행사에게 들려주는 어린왕자의 이야기 가운데, 별의 땅속 어디에나 숨어 있어 매일 가꾸지 않으면 별 전체를(more…)
거미가 벽에서 떨어지지 않는 비결은 다리털
[요약] 독일 연구팀이 거미가 물체에 잘 달라붙어 있으면서 움직일 수 있는 구조적인 원리를 밝혔다. 다리에 난 미세한 점착성 털의 분자 구조가 외부의 힘에 잘 견디면서(more…)
만성통증도 치료하는 자연살해 세포
[요약] 자연살해 세포(NK cells)는 바이러스 등을 직접 공격해 파괴하는 우리 면역체계에 있는 특수한 세포들이다. 이 세포가 암 치료 등에 쓰일 수 있다는 점은 알려져 있었지만(more…)
“독감 바이러스 3종 모두 공격하는 면역세포 발견”
호주 멜버른대 연구진… 통합형 백신 개발에 ‘청신호’ 독감 예방주사[연합뉴스TV 제공] 현존하는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종을 모두 공격하는 면역세포가 발견됐다. 이에 따라 해마다 유행 바이러스(more…)
인공광합성, ‘상용화’ 어디까지 왔나? & 100년 전 상상하기 시작한 ‘인공 광합성’… 식물 넘는 효율 꿈꾼다 &&
미국 인공광합성 공동연구센터의 인공태양광 시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인류는 석유나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대량 소비하면서 생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류는 화석연료를 대체할(more…)
3D printing of medicines – semisolid extrusion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The giant Medusavirus turns defenceless cells to ‘stone’
Novel virus extracted from a hot spring bears thousands of unique spikes. A 3D reconstruction of the Medusavirus particle showcases its thousands(more…)
Faster, better, cheaper: the rise of CRISPR in disease detection
Powerful gene-editing tool could help to diagnose illnesses such as Lassa fever early and rein in the spread of infection. Fehintola Ajogbasile,(more…)
The society that turned Cambridge into a scientific powerhouse
In the nineteenth century, reform at the ancient university came from an unexpected source. Georgina Ferry enjoys its history. The Cambridge Observatory was(more…)
Multi-omic measurements of heterogeneity in HeLa cells across laboratories
Abstract Reproducibility in research can be compromised by both biological and technical variation, but most of the focus is on removing the(more…)
CRISPR-Cas9-Based Genome Editing of Human Cells
CRISPR/Cas9 systems are engineered versions of the Cas9 protein and guide RNA. Typically, they are identical to the Streptococcus pyogenes type II CRISPR systems, except(more…)
Revealing a microbial carcinogen
The microbiota in the human gastrointestinal system is predicted to produce hundreds of unique small molecules and secondary metabolites that may influence host(more…)
Using neuroscience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When the mathematician Alan Turing posed the question “Can machines think?” in the first line of his seminal 1950 paper that ushered in(more…)
Low-power organic transistors
For internet-of-things applications, transistors that deliver high signal amplification (high gain) at low power will help conserve power and extend battery life. Jiang et(more…)
Nano-device maps a cell’s enzymes at work
A modular probe can be programmed to travel to a precise cellular destination. Diphtheria bacteria infecting Caernohabditis elegans worms (pictured) co-opt one of the(more…)
(youtube)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를 아시나요? &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 카페 얼음은 투명한데 냉장고 얼음은 왜 불투명할까 &&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아래는 2019년 11월 8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빙판이 미끄러운 이유 “뻔한거 아냐?”, 하지만 알고보니… 얼음(more…)
The biological basis of mental illness
Adrian Woolfson weighs up a study on the role of evolution in condi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No. 348. Candid Portrait(more…)
컴퓨터용 수성싸인펜의 비밀
이미지 크게 보기컴퓨터용 싸인펜과 OMR 용지.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대입 수능이나 각종 자격증 시험을 칠 때 컴퓨터용 싸인펜을 준비하는 것은 당연한 과정(more…)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사람 세포를 나타낸 일러스트. 게티이미지뱅크. 사람 세포의 크기는 대개 100㎛(마이크로미터) 안팎이다. 만약 이 세포의 크기를 10배 가량 부풀리면 어떻게 될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more…)
(youtube)유전자가위 유전자편집 한 방 정리!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Algae suggest eukaryotes get many gifts of bacteria DNA
Algae found in thermal springs and other extreme environments have heated up a long-standing debate: Do eukaryotes—organisms with a cell nucleus—sometimes get an(more…)
The new potato
On a bleak, brown hill here, David Ellis examines a test plot of potato plants and shakes his head. “They’re dead, dead, dead,”(more…)
Gut bacteria linked to ment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all the many ways the teeming ecosystem of microbes in a person’s gut and other tissues might affect health, its potential influences(more…)
The end of evolution?
In 1996, biochemist Michael Behe introduced the notion of “irreducible complexity,” arguing that some biomolecular structures could not have evolved because their functionality(more…)
Bio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beyond amyloid and tau
Two new bio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include one in the blood that relates to neurodegeneration and another that reflects blood–brain barrier dysfunction and(more…)
Evidence mounts for a role for immune cells in the brain
Immune cells that flood the brain may help reduce damage from stroke and multiple sclerosis. Mice that received plasma (left) had less nerve(more…)
Bitcoin for the biological literature
Scientific publishing is increasingly adopting the technology underlying cryptocurrencies. Illustration by the Project Twins When Sarah Bajan finished a study(more…)
3D printing with light
Researchers develop new type of 3D printer – ‘the replicator’. Conventional 3D printers build up an object layer by layer. Now(more…)
Ultra-large virtual molecular libraries throw open chemical space
A library of 350 million drug-like molecules points to potential drugs. Libraries of virtual compounds could help uncover new drugs. Credit: Laurence Dutton/Getty(more…)
Inhibition of ‘jumping genes’ promotes healthy ageing
DNA sequences called retrotransposons can copy themselves and reintegrate at new sites in the genome, causing damage. It now seems that inhibiting this(more…)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생물 다양성은 대사 다양성이다.”(허먼 폰처 미국 듀크대 교수) 최근 미국 뉴욕시립대 생물학자 네이선 렌츠 교수의 책 ‘우리 몸 오류 보고서’를 재미있게 읽었다. 우리(more…)
‘빛’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거울 속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자. 거울 속의 나도 나일까? 당연히 내가 아니다. 우리가 오른손을 올리면 거울 속 친구는 왼손을 올린다. 거울(more…)
How machine learning could keep dangerous DNA out of terrorists’ hands
Sophisticated algorithms could help DNA-synthesis companies avoid making dangerous organisms on demand. Dangerous pathogens are kept in high-security labs, but(more…)
Forget everything you know about 3D printing — the ‘replicator’ is here
Rather than building objects layer by layer, the printer creates whole structures by projecting light into a resin that solidifies. (more…)
How to write effectively for international journals
Use modern tools to manage research literature, analyse published articles and find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manuscripts for publication. Credit: Getty (more…)
인간은 왜 정신질환에 시달려야 할까
[요약] 세탁기는 한번 고장 나면 고치기 어렵고 돈도 많이 든다. 대신 우린 최신식 세탁기의 뛰어난 성능과 편리함을 누린다. 흥미롭게도 동물과 다른 인간 뇌의 뛰어난 인지능력 역시(more…)
산소 거의 없는 ‘죽음의 바다’에 적응한 어류 발견
산소 거의 없는 ‘죽음의 바다’에 적응한 어류 발견산소가 거의 없는 ‘죽음의 바다’(데드존)가 점차 늘면서 많은 해양생물이 그야말로 질식사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more…)
A robotic vine that can coil itself around the real thing
A slim robotic arm (silver) winds around the stem of a blue passion flower. Credit: IIT-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Artificial device(more…)
물고기도 잠을 잘까?
이미지 크게 보기향유고래의 수면 장면. [유튜브 화면캡처] 물고기도 잠을 잘까요? 잠을 잔다면 어떻게 자는 것일까요? 과학자들은 수면은 모든 생명체에게 필요한(more…)
“유방암 세포, 지방 세포로 바뀌면 전이 멈춰”
스위스 바젤대 연구팀 전환유도법 발견 이미지 크게 보기 바이오센처로 추적한 유방암 전이 암세포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혼합 약제로 유방암 세포를(more…)
한겨울에도 오리 다리가 얼지 않는 이유는?
<한겨울에도 오리 다리가 얼지 않는 이유는?> / YTN 사이언스 (youtube)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숫자의 과학…처음 그리고 완성 & 인도에서 발명한 ‘영(0)’ 문명을 바꾸다
지금 사용중인 아라비아 숫자는 원래 인도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사진=EBS 화면캡처] 숫자는 정확하고 과학적입니다. 어떠한 주관도 담기지 않은 정보를 가장 객관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more…)
DNA 편집을 위한 새 도구
[요약]미국 MIT와 하버드대 공동연구팀이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완성했다. 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현재 널리 활용되는 도구 세트와 비교할 때 향상된 기능과(more…)
Review Paper – Current and future influenza vaccines
Abstract Although antiviral drugs and vaccines have reduced the economic and healthcare burdens of influenza, influenza epidemics continue to take a toll. Over(more…)
Deep learning beats the optical diffraction limit
A deep learning approach enables up to nine bits of information to be encoded per diffraction-limited area. In our digital age,(more…)
Pioneering brain study reveals ‘software’ differences between humans and monkeys
Neuroscientists tracked the activity of single neurons deep in the brain and suggest the findings could explain humans’ intelligence — and susceptibility to(more…)
Technologies to watch in 2019
From higher-resolution imaging to genome-sized DNA molecules built from scratch, the year ahead looks exciting for life-science technology. An automated bioreactor system(more…)
On the road to a gene drive in mammals
A method for making a version of a gene more likely to be inherited than normal, generating what is called a gene drive,(more…)
The first synthetic element
When Mendeleev proposed his periodic table in 1869, element 43 was unknown. In 1937, it became the first element to be discovered by(more…)
사람은 왜 어리석은 판단을 멈추지 않을까? 인간 요소(Human factor)
원전 폭발이나 비행기 사고 등 많은 사람이 죽는 대형 사건이 터지면 우리는 흔히 기계의 결함을 우선적으로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통계에 따르면 항공사고의 73%가 인간의 실수에서 비롯됐습니다. 기계적 결함은 11%에 불과하지요. 1979년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나 1986년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폭발 역시 발전소를 운영하는 인력들의 실수에서 비롯된 일입니다. 이렇듯 인간이 일으키는 실수를 ‘인간 요소’(Human factor)라고 합니다. 사람의 주의력 부족, 무능함, 비겁함, 어리석음 등을 다루고 있지요. 이 개념은 이제(more…)
수학의 대혁명, 비유클리드 기하학!
기원전 3세기 경 유클리드는 그의 책 <원론>에서 수학에서의 다섯 가지 공리를 말하고 있다. 1. 서로 다른 두 점이 주어졌을 때 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을 그릴 수 있다. 2. 임의의 선분은 더 연장할 수 있다. 3. 서로 다른 두 점 A, B에 대해 A를 중심으로 선분 AB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 4. 모든 직각은 서로 합동이다. 5. 한(more…)
자살 기도자에서 장수학자로 변신(메치니코프) & 화학요법의 창시자 파울 에를리히
1873년 어느 날, 한 남자가 치사량이 훨씬 넘는 진통제 모르핀을 모조리 입에 털어 넣었다. 동물학자이자 대학교의 비교해부학 교수이니 그처럼 많은 양을 먹으면 죽는다는(more…)
비행기는 어떤 힘으로 하늘을 날아오르는가
수백 톤이나 되는 비행기가 어떻게 가뿐히 떠오를 수 있을까? 라이트 형제가 세계 최초로 사람을 태운 동력 비행에 성공한 이후로 백여 년이 흘렀다. (more…)
낳은 순서에 따라 달라지는 알의 상태
[요약] 알을 낳은 순서에 따라 알의 상태가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반에 낳은 알에는 발달과 면역력과 관련한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뒤에 낳은 알은(more…)
노인황반변성 줄기세포치료 동물실험 성공 & 쥐 몸에서 인간 모발 성장
[요약]미국 국립안연구소(NEI) 연구팀이 노인황반변성의 줄기세포 치료를 동물실험 단계에서 성공했다. 임상시험에 들어가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실제 질병 치료에 적용하는 첫 시도가 될 전망이다.(2019.01) /NIH 환자의 혈액세포를 추출해 수립한(more…)
과학자들의 ‘위험한 생각’ – 개인의 신념이 ‘살인무기’로…
두뇌는 완벽하지 않아요. 때로 우리는 두뇌가 우리를 비뚤어지고 그릇된 길로 이끌고 있다는 걸 눈치채지 못하기도 하지요. 노벨상을 받은 사람들조차 우리에게 해악을 끼칠 만한(more…)
초능력자에 속은 과학자, 과학자를 속인 마술사
사람을 속이는 능력은 무궁무진하다 마술사이자 초능력자 사냥꾼, 제임스 랜디 마술사이자 과학적 회의주의자인 제임스 랜디는 주로 현대의 초자연적인 능력을 비판하는 ‘초능력자 사냥꾼’이에요. 1972년에 당시 숟가락 구부리기로 굉장한 인기를 끌었던 초능력자 유리 겔러가 사기꾼이라는 걸 폭로하면서 유명해졌지요. 유리 겔러는 본인의 말을 따르면 ‘염력’을 이용해 금속을 구부릴 수 있었어요. 하지만 랜디는 유리 겔러의 초능력이 그저 속임수이며 그렇게 교묘하지도 않다고 주장했어요. 그리고 마술을 이용해 직접 숟가락 구부리기의 비밀을 여러 번 밝혀냈지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초능력자’ 유리 겔러. 지금도 그의 이름은(more…)
말라리아가 안긴 첫 번째 노벨상
가장 유명한 정복자인 칭기즈칸과 알렉산더 대왕의 죽음에는 공통점이 꽤 있다. 둘 다 전쟁터에서 귀환하던 중 외지에서 죽었다는 점이다. 또 하나의 공통점은 그들의 사인(死因)이다. 정확한 것은(more…)
장내 미생물, 우유 알레르기 발병 예방 & 인류의 우유 소화 능력은 기근과 전염병을 통해 진화했다 &&
[요약]시카고대학교 연구진은 우유 알레르기를 가진 유아와 그렇지 않은 유아의 장내 미생물을 멸균 환경에서 키운 쥐에 이식했다. 그 결과 우유 알레르기를 가진 유아의 장내 미생물을(more…)
위로 솟는 ‘역고드름’ 불가사의? 과학현상?
진안 은수사 물그릇에 생기는 역고드름 얼음 체적팽창과 모세관 효과 복합작용 “은수사 지형 조건 승빙 형성에 유리” 전북 진안군 마이산 탑사에 둔 정화수에서 거꾸로(more…)
Synthetic innovation in drug development
Chemical synthesis plays a key role in pharmaceut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Campos et al. review some of the advantages that have come from recent innovations(more…)
Gene therapy for pathologic gene expression
Haploinsufficiency arises when one copy of a gene is functionally lost, often through nonsense or frameshift mutations or small chromosomal deletions. The resulting(more…)
Gaps in our genes are more important than we thought
Introns, the bits of non-coding DNA scattered through our gen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survival Introns are(more…)
Precision CRISPR editing
The most popular gene-editing tool, CRISPR-Cas9, generates breaks in the genome that are subsequently repaired by a mix of cellular pathways. Yet, the(more…)
에이즈 이야기 – 불치병 AIDS, 30년 만에 만성질환으로 ‘격하’ 되다
2011년 현재 에이즈가 세상에 알려진 지 30년입니다. 1981년 첫 환자가 발견되고 이후 전 세계 약 3000만 명이 에이즈로 사망했습니다. 불치병이던 시절엔 오해가 많았습니다.(more…)
우연한 발견 이야기 – 안테나 고치려다 ‘태초의 빛’ 찾아.. 음극선 실험중 ‘X레이’ 발견도
우연·사고가 낳은 위대한 과학 이야기 ‘우연’이나 ‘사고’는 과학과 어울리지 않는 단어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하고 싶은 연구주제를 명확하게 정한 뒤(more…)
나일론 이야기 – 실험실서 장난하다 발견, 스타킹으로 여심 사로잡아
기적의 섬유 나일론 옷은 날개다. 좋은 옷은 옷감이 좋아야 한다. 좋은 옷감은 좋은 옷을 넘어(more…)
How a fever helps the immune system to battle infection
The fever that accompanies many infections prompts production of heat-shock proteins, which protect cells from cold, heat and other stresses. Credit: Vicky Kasala(more…)
CRISPR adapted to respond to infected cells
By making a small change to the sequence of the Cas9 protein researchers can control the enzyme’s activity. Credit: B. L. Oakes et al./Cell(more…)
Mitochondrial DNA can be inherited from fathers, not just mothers
A tenet of elementary biology is that mitochondria — the cell’s powerhouses — and their DNA are inherited exclusively from mothers. A provocative(more…)
3D printing gets a lift from light
This resin model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emblem was printed in just one minute. Credit: Evan Dougherty A sophisticated technique(more…)
What 100,000 twins can tell us about nature versus nurture
Nature beats nurture when it comes to causing diseases, study finds Photo: Sigarru/iStock by Getty Images Genes play a larger overall(more…)
Cryptic DNA sequences may help cells survive starvation
Stretches of non-coding DNA in genes called introns could have an important survival function. Non-coding ‘intron’ DNA can help yeast cells survive(more…)
생각보다 많은 음식 알레르기
[요약]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에 따르면 생각보다 많은 미국 성인들이 알레르기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중 상당수는 18세 이후 알레르기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more…)
대서양 위에서 모스부호를 구상하다
새뮤얼 모스, 대서양 위에서 모스부호를 구상하다! Photo by Adam Kring on Unsplash 모든 것은 유럽에서 미국으로 돌아오는 배 위에서 시작되었다. (more…)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금으로부터 꼭 100년 전인 1918년 이 무렵, 일제 치하의 한반도에 끔찍한 독감이 맹위를 떨쳤다. 1918~19년 겨울을 나면서 인구의 절반인 740만(more…)
척추동물 진화 비결은 ‘약하디 약한 DNA’
[요약] 생물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역설적으로 손상되기가 쉽다. 그런데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DNA에서 돌연변이가 생기기 쉬운 부분(more…)
Scientific progress is built on failure
Learning to handle failure is just part of scientific life, writes Eileen Parkes. Good science can require a leap in the dark(more…)
군중의 집단 움직임은 액체가 흐르는 것과 유사
[요약]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진이 마라톤 출발점에서의 군중 움직임을 분석해 군중의 움직임이 유체역학적인 패턴을 따른다는 사실을 검증하는 물리 모델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군중이 많이 모이는 곳에 설치할 대규모(more…)
높은 곳도 문제없지! 엘리베이터를 있게 한 과학 원리
높은 곳까지 편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 꼭 필요한 수단입니다. 우리는 높은 건물을 힘들이지 않고 오르내리기(more…)
땅속에 사는 미생물, 무려 230억 톤
‘딥 라이프(Deep Life)’란 용어가 있다. 지하 세계에 존재하는 생태계를 말한다. 빛도 없고, 공기도와 영양분이 희박한 데다 강한 압력을 받고 있어 많은 생명체가 살고(more…)
노벨상 수상 업적인데, 이럴수가! & 살충제 DDT의 두 얼굴 & 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
과학기술계 최고 권위를 갖는 노벨상이지만 때로는 뒤늦게 밝혀진 사실로 큰 논란에 휩싸일 때가 있다. 노벨상 수상 역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잘못된’ 경우는(more…)
Unprovability comes to machine learning
Scenarios have been discovered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prove whether or not a machine-learning algorithm could solve a particular problem. This(more…)
Medicine in the digital age
As Nature Medicine celebrates its 25th anniversary, we bring you a special Focus on Digital Medicine that highlights the new technologies transforming medicine and healthcare,(more…)
비타민(vitamin)과 노벨상, 그리고 리하르트 쿤
인류의 건강을 지켜준 비타민 90년 대 후반부터 국내에서 중년여성들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 있다. 눈가의 잔주름을 펴준다는 레티놀이 바로 그것인데,(more…)
‘체감온도’의 비밀
혹한기 훈련 중 알통구보를 하고 있는 국군 장병들의 모습.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의 겨울은 ‘삼한사미’가 되고 말았습니다. 3일 춥고, 4일 미세먼지가(more…)
Beyond blood
In an age of direct-to-consumer DNA tests, conception from donated gametes that have crossed national borders, and connection websites for “genetic strangers,” old(more…)
Chemotherapy and tumor immunity
A larg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ancers has been predicted for the coming years, with the number of cases worldwide rising from(more…)
Five innovative ways to use 3D printing in the laboratory
As the cost of 3D printers tumbles, researchers have begun using them to make everything from bespoke equipment for experiments to realistic models(more…)
Nature Biotech’s top stories of the year
See what grabbed our readers in 2018. It was a year when CRISPR-ed plants, therapies and babies stole the headlines, but there are(more…)
빛·미세전류로 뇌·신경계 질환 치료한다
워싱턴大 등 공동연구팀 ‘네이처’ 발표…광유전학 연구팀에 한국인 9명도 참여 생쥐에 바이오 광전자시스템 삽입해 조절기능 잃은 방광에 빛 흘려 정상작동 파킨슨병 등 뇌질환 치료(more…)
불로장생의 비밀, 이 작은 벌레에 숨어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예쁜 꼬마 선충. 출처: 위키피디아 불로장생은 인간의 오래된 꿈이다. 고대 수메르의 길가메시 신화부터 진시황의 불로초 이야기까지 비록 헛된 꿈이기는(more…)
심리학자 뺨치는 기생충의 전략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는 1951년에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우선 총 5명의 사람들이 반원을 그리며 앉게 한 뒤 일정한 길이의 선분 하나를(more…)
영화 ‘앤트맨’ 속 그 세계, 원자의 속살을 관찰하면 일어나는 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영화 ‘앤트맨’ 속 주인공 스캇 랭(폴 러드 扮)은 특수 슈트를 이용해 몸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개미만큼 작아진 몸으로(more…)
네이처 선정, 2019 우리가 알아야 할 과학계 10대 이슈
남극의 트웨이츠빙하 국제 과학학술지 ‘네이처’가 2019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10가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그중에는 인류 역사상 처음 시도되는 과학 프로젝트들도 있다. 새해 다양한(more…)
책 소개 – 파라켈수스, 독성학의 아버지
‘독성학의 아버지’ 파라켈수스Paracelsus를 아시나요? 파라켈수스는 아연에 이름을 부여한 사람으로서 화학사에도 이름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그를 유명하게 만들어준 것은 ‘용량이 독을 만든다’라는 문장이었습니다. 과장을 보태자면 이 문장이(more…)
콜레스테롤 없애는 약이 살빼는데는 毒
스타틴이 ‘좋은 갈색지방’ 생성과 활성 억제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ETH) 제공 연구진 “스타틴의 긍정적 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 간과해선 안돼” 강조 질병관리본부에서(more…)
‘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3일 새로운 유기 분자를 합성하고 있는 박테리아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두 개의 유기 분자를 박테리아가 속에서 결합시키고 있는(more…)
식물이 중력에 예민한 이유
[요약] 식물은 어떤 상황에서도 하늘을 향해 똑바로 자란다. 중력을 감지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는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연구진은 식물이 이토록 중력에 예민한 이유를 밝혔다.(more…)
미 MIT연구팀, 뇌 속 장기기억 생성 과정 처음으로 밝혔다(2017년 소식)
http://news.joins.com/article/21464559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변하는 과정이 미국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NHK와 요미우리(讀賣)신문 등에 따르면 도네가와 소스무(利根川進)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교수 연구팀이(more…)
책 소개 – 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
22부. 개미 by 갈로아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유전자 조작으로 식물 광합성 효율 향상…생산량 40% ↑
미국 연구팀 “담배에 광호흡 대사경로 조절 유전자 주입·재배 실험 성공” 미국 연구팀이 식물의 광합성 효율이 높아지도록 대사경로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식물체에 이식, 담뱃잎의 생산량을(more…)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NYT 선정, 과학사건 10選유전자 편집 쌍둥이부터 사라져가는 현대 문화유산까지 NYT 선정 과학 사건 10선 허젠쿠이 중국 난팡과학기술대 교수(가운데)는 유전자를 편집한 쌍둥이 아기를 태어나게(more…)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네이처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표지에 그래핀으로 만든 숫자 ‘10’을 20일 표지에 실었다. 10이란 숫자는 올해 3월 그래핀의 초전도성 등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more…)
실수를 깨닫는 뉴런 발견
[요약]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칼텍) 연구진이 뇌에 심은 전극을 통해서 인간이 실수를 깨달았을 때 활성화되는 영역을 찾아냈다. 연구진은 이번 발견이 강박관념과 같은 정신질환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more…)
젖은 물체도 잘 붙였다 빛 쬐면 떨어지는 접착제
[요약]미국 하버드대와 중국 자오퉁대 공동연구팀이 생체조직처럼 젖은 물체에도 강력한 접착력을 보이면서 특정 주파수의 빛을 쬐면 쉽게 떨어지는 접착 물질을 개발했다.(2018.12) /하버드 : 고분자(more…)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고양이는 깨어있는 10시간 가운데 24%를 털을 핥으며 보낸다. 픽사베이 제공 페르시아고양이처럼 털이 긴 품종은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털이 뭉쳐 골치다. 페르시아고양이(more…)
에어프라이어는 어떻게 기름 없이 튀길까
올해 시장규모 30만대팬 달린 오븐과 비슷한 원리열풍이 순환하며 고르게 익혀 이미지 크게 보기필립스의 트윈터보스타 에어프라이어. 필립스 제공 에어프라이어가 필수 가전으로(more…)
‘손난로’ 흔들면 더 따뜻해지는 이유는?
요즘처럼 쌀쌀한 날씨에 주머니에 꼭 넣고 다니는 필수품이 있다. 바로 간편하게 추위를 녹일 수 있는 ‘손난로’다. 손난로는 고체형과 액체형으로 시판되고 있다. 고체형은(more…)
배아 발생과정을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 최고 과학 성과
사이언스, 10대 과학 뉴스 선정 2위는 ‘유전자 치료약’ 시판 허가… 3위, 중성미자 기원 ‘블레이자’ 규명 생명과학 이슈가 순위 절반 차지 2018년(more…)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브릭이 꼽은 올해의 생명과학 연구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곳을 밝힌 연구와 꽃잎이 떨어지는 원리를 찾은 연구가 올해 국내 의생명 분야 종사자들이 뽑은(more…)
네이처가 뽑은 2018년을 빛낸 과학 동영상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2일(현지시간) 올해를 마무리하면서 과학과 관련된 세계 곳곳의 동영상과 오디오를 소개했다. 네이처는 민들레 꽃씨의 비밀, 바오밥 나무 죽음의 미스터리, 이온동력 비행기처럼 과학적(more…)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사이언스誌 선정 과학사진 14選 이미지 크게 보기사이언스 제공 남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에 자리한 이구아수 폭포는 현지 원주민 언어로 큰 물을(more…)
Afraid to fail? Reach out
Many years ago, a trusted professor suggested I make a radical change in my academic path and pursue a doctorate in psychology. That(more…)
DNA 접기기술로 다양한 모양·크기 나노구조체 만든다
KIST 류주희 박사 “고효율 약물전달체·치료제 개발 기대” 한미 공동연구진이 DNA가닥을 종이접기하듯 접는 방식으로 나노구조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 질병치료용 약물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more…)
정신장애는 실재하는가?
정신장애는 단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신화라는 오랜 주장이 있습니다. 정신장애는 흔히 평소에 보인 이상한 말이나 행동과 같은 병력, 그리고 정신과 의사의 면담을 통해서 진단합니다.(more…)
‘이기적 인간’의 20세기 신화가 무너지고 있다
‘키티 제노비스 사건’은 과장됐고,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연출됐다 #1 1964년 3월 13일 새벽 3시 무렵 미국 뉴욕 퀸스 주택가에서 키티 제노비스라는(more…)
3D프린터로 장기를 인쇄할 수 있을까?
3D 바이오 프린팅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다음 2가지가 가장 일반적이다. 짜내는 방법, 레이저를 쏘는 방법. 첫 번째 방법은 케이크를 만들(more…)
세상에 우주를 보여준 ‘망원경 성자’ 존 돕슨 이야기
87세 때의 존 돕슨. 사진 오른쪽은 한국의 별지기들이 자작한 돕소니언 망원경들. 밤샘 관측대회인 메시에 마라톤에 출전한 망원경들로, 앞의 것은 구경 17.5인치(44.5cm)짜리다.(사진=정성훈) (more…)
차원을 없애면 의외로 여러가지를 알 수 있다
공학에서 자주 쓰이는 개념으로 무차원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차원이 없는 수입니다. 1차원은 선이고, 2차원은 면이고, 3차원은 공간이니… 무차원은 점인가? 하고 생각될 수도 있겠지만요, 여기서의 차원은 그런 공간적인 의미가(more…)
무지개 5개가 동시에 떴다..NASA “매우 희귀한 현상”
이미지 크게 보기[사진=John Entwistle] 미국 뉴저지주에 무지개 5개가 동시에 뜨는 희귀한 현상이 일어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과잉 무지개(supernumerary rainbows)’로 매우 드문 기상현상이라고 분석했다.(more…)
그래핀의 변신, 엠보싱 장착으로 반응성 Up
‘꿈의 나노물질’이라 불리며 높은 전기·열 전도성을 가진 그래핀. 반응성까지 업그레이드 된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을 것!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격자를(more…)
우리가 먹는 것이 지구 환경을 바꾼다?!
우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 이 음식은 지구의 환경을 바꾸기도 하는데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혈액형 종류에 따라 성격이 정해지는 걸까?
오늘은 가상의 나라 선짓국(國)에서 일어난 사건을 독평 친구들에게 소개해 주려고 해. 선짓국의 얼큰행 대통령은 국민의 혈액형에 따라 사는 곳을 지정하겠다고 밝혔어. 같은(more…)
아날로그(LP)와 디지털(CD)의 음질적 차이 & “말소리를 전기신호로”…’소통’의 과학
일반인들에게 LP는 “과거의 향수”로 취급 받습니다. 과연 LP가 과거의 향수로만 취급 받을 조악한 음질을 내주는 매체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LP는 매우 뛰어난 음악 저장 매채였습니다. 하지만 CD의 등장 후 역사속으로 사라지던 LP가 최근 판매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LP)와 디지털(CD) 그리고 원음재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땅콩 알레르기’ 치료약 나온다
美·英연구진 신약 임상시험 성공… 이르면 내년 초 상용화될 듯 18일(현지 시각) 미 시애틀에서 열린 알레르기천식면역학회에서 ‘땅콩 알레르기’ 치료를 위한 신약이 임상시험에 성공했다는(more…)
종이접기, 그래핀 등의 기술로 나노 로봇 개발
과학자들은 주어진 조건과 환경에 맞게 적응하고 변화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출처=셔터스톡) 미국 코넬대학교 연구진이 주위 환경의 화학적 조성 및 온도 변화를 감지해 빠르게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로봇 외골격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코넬 크로니컬의 기자 톰 플라이시만에 의하면, “그들은 이 나노 규모의 기계가 미생물학 분야에서 강력한 로봇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노 규모의 종이 로봇 연구진은 원자 규모로 얇은 종이를 접어서 세포 크기의(more…)
‘환각지’ 움직임도 이해하는 ‘인공 팔’
[요약] 팔다리가 잘려나간 환자들은 대뇌에 팔다리에 관한 기능이 남아 있기 때문에 마치 팔 다리가 원래대로 있는 것처럼 느끼는 ‘환각지’ 현상을 겪는다. 이 현상은 인공 팔을 구현하는 데(more…)
소장세포의 ‘멀티 태스킹’ 능력
[요약] 소장 내부를 덮고 있는 미세한 털(융모)의 주요 임무는 음식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융모를 구성하는 세포들이 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면역반응까지 조절한다는 사실이(more…)
‘허리 디스크’ 근본 치료법 나올까?…줄기세포 개발 중
염소에 이식할 eDAPS 인공 추간판 척추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매우 중요한 뼈다. 그러나 단단한 뼈만으로는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없다. 척추 사이에는(more…)
‘레고 블록’을 삼킨 의사들, 이유가…
호주·영국 의사 6명, 몸소 실험 자청 평균 1.7일 후 두번째 배변에서 배출 합병증 없었으나, 한 사람은 확인 못해 실험에 참가한 한 의사가 삼키기(more…)
인공 광합성을 위한 ‘값싸고 많은’ 광촉매 개발
[요약] ‘인공 광합성’ 기술 활용을 앞당길 광촉매가 개발됐다. 지금까지 비싼 귀금속에 의존했다면 이번 촉매 소재는 지구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구리, 망간 등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주목을(more…)
암세포의 체력 측정
[요약]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엔지니어들이 질량 센서를 통해 암세포를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세포의 수명이 마지막에 다르면 RNA 시퀀싱 자료가 수집된다. 이는 세포의 성장 속도와 유전자 발현 분석을(more…)
책 소개 – 이언 스튜어트는 어떻게 케이크를 자를까?: 전화기 줄은 왜 항상 엉켜 있을까?
전화기 줄은 왜 항상 엉킬까? 내가 말하는 줄은 긴 나선 코일처럼 생겨서 잡아당겨 길게 늘일 수 있는 줄이다. 벽에 걸기도 하는 구식 전화기의 송수화기는(more…)
책 소개 – 인간의 본능 by 케네스 밀러: 만약 우리가 원숭이로부터 진화했다면… & 현대판 생명의 가계도 &&
“만약 우리가 원숭이로부터 진화했다면… 왜 아직도 원숭이가 존재하는 거죠?” 한 학생이 정중하면서도 냉소적인 미소를 지으며 물었다. 나도 맞받아 미소를 지어주었다. 청중 중에서 몇 명도(more…)
과학과 예술의 만남! ‘키네틱 아트’의 세계
거대한 구조물이 발걸음을 옮기기 시작합니다. 그 우아한 발놀림은 마치 살아있는 생물 같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보아도 플라스틱 막대로 이루어진 뼈대일 뿐입니다. 마법으로 생명을 불어넣기라도 한 것일까요? (more…)
Confronting conflict of interest
Recent news stories about conflict of interest in biomedical research have shaken up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alike, but their focus was on(more…)
UK Biobank debuts as a powerful resource for genomic research
Analysis of the UK Biobank genetic and phenotypic data demonstrate the power of including a large population and detailed phenotyping in a prospective(more…)
A DNA nanomachine chemically resolves lysosomes in live cells
Abstract Lysosomes are multifunctional, subcellular organelles with roles in plasma membrane repair, autophagy, pathogen degradation and nutrient sensing. Dysfunctional lysosomes underlie Alzheimer’s disease,(more…)
Nanoscale tweezers for single-cell biopsies
Abstract Much of the functionality of multicellular systems arises from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dynamic behaviours within and between cells. Current single-cell genomic(more…)
Impacts of outdoor artificial light
The use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is increasing around the world, causing both direct emissions, mostly in the vicinity of the light,(more…)
The paradox of mutations and cancer
The past decade has witnessed the cataloging of genetic mutations in cancer genomes, providing new insights into how and in what ways cancer(more…)
Artificial cells gain communication skills
No biologist would mistake the microscopic “cells” that chemical biologist Neal Devaraj and colleagues are whipping up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more…)
Precision genome engineering
Genome editing through CRISPR-Cas systems has the potential to correct genetic mutations that occur in diseased cells, such as cancer cells. However, the(more…)
Memories reach the cortex rapidly & New dimensions for brain mapping
How fast do learning-induced anatomical changes occur in the brain? The traditional view postulates that neocortical memory representations reflect reinstatement processes initiated by(more…)
A spotlight on bacterial mutations for 75 years
In the debate about how bacterial mutations arise, an experiment in 1943 showed that they can occur spontaneously and independently of a selection(more…)
Touchdown! Mars InSight lander reaches red planet
Joint US-French-German mission will be the first dedicated to listening for seismic energy rippling through Mars. A NASA illustration shows the Mars(more…)
Statistical pitfalls of personalized medicine
Misleading terminology and arbitrary divisions stymie drug trials and can give false hope about the potential of tailoring drugs to individuals, warns Stephen(more…)
Industry is more alarmed about reproducibility than academia
The reproducibility crisis in biomedical science seems to have alarmed industry more than the academic community (see C. G. Begley and L. M. Ellis Nature 483,(more…)
Not Your Mom’s Genes: Mitochondrial DNA Can Come from Dad
A new study provides compelling evidence that children can inherit mitochondrial DNA from both their parents. A new study shows that, in(more…)
모바일 HIV 검사시스템 개발
[요약]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이 모바일 기기와 마이크로칩을 이용해 혈액 한방울만으로 HIV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는 모바일 장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검사 비용이 저렴하고 검사 방식이(more…)
비아그라와 아스피린의 정체 & ‘비아그라’ 뜻밖 효능 어디까지…치매 이어 식도암 생존율도 높여
비아그라는 원래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됐는데 어쩌다 발기부전 치료제가 됐을까요? [사진=pfizer] 과학계는 ‘세렌디피티(Serendipity)’라는 단어를 좋아합니다. 세런디피티는 ‘행운’의 다른 말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우연히, 예기치(more…)
내 몸 안에는 여러 세입자가 살고 있다
나와 미생물의 공생 50년 전 마굴리스 ‘공생설’ 주장 처음 밝혀진 세입자는 미토콘드리아 최근엔 인체 곳곳 미생물 생태계인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 활발 태아는 무균(more…)
단백질 분해하는 몸속 분자기계 & 세포 ‘장의사’ 프로테아좀 작동원리 밝혀
사이언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인간의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proteasome·프로테아좀)가 단백질을 분해하는 순간을 포착한 상상도를 30일 표지에 실었다. 프로테아좀은 단백질 분해를 담당하는 거대한 분자기계다. 불필요하거나 손상된(more…)
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네이처 제공 사람의 신경계나 반도체의 집적회로 같은 물리적 네트워크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신경계의 경우 무수한 신경망이 상호작용하지만 각각의 신경세포는 엄밀히 분리돼 있다.(more…)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캘리포니아 주 대법원의 원장 J.R.웰치는 1897년 1월 18일자로 조지 존스가 곡물과 사료 딜러인 헨리 B.스튜어트 앞으로 발행한 100달러 짜리 수표의 시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 현재의(more…)
숫자 ‘9’에 관해
9는 모든 숫자들 중에서 가장 신비한 현상을 만드는 숫자이다. ‘9’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히브리어에서는 불가사의한 힘을 상징하는 숫자이고, 기독교에서는 삼위 일체(성부, 성자, 성령)의(more…)
다른 개미 토막내 머리 모으는 ‘엽기 개미’의 비밀 & 포유류처럼 젖 먹여 새끼 키우는 거미 발견
집게 턱 개미의 머리와 함께 있는 포르미카 개미. 사진=Adrian Smith 사회적 곤충인 개미는 가장 성공한 곤충으로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이 가운데는 작물을(more…)
美 FDA, 유전자 돌연변이에 초점 맞춘 광범위 암 치료제 승인
게티이미지뱅크 동일한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겨난 암에 대해서는 발병 위치와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제가 미국에서 시판이 허용됐다. 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more…)
당신의 심장이 왼쪽에 있는 이유
[요약] 비대칭은 생물학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인간으로 보면 왼손잡이, 오른손잡이가 있는 이유가 생물학자들의 오랜 관심이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진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연구진은 공동연구를 통해 이같은 생물체에서 비대칭을 유발하는(more…)
정자가 난자 찾는 길잡이는 PMCA단백질
[요약]일본 도쿄대 연구진이 친화도 칼럼 크래마토그래피와 초고속카메라 등을 이용해 성계의 정자가 난자를 찾아가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PMCA를 찾는데 성공했다. PMCA단백질을 이용하면 난임이나 불임치료뿐아니라(more…)
나이들면 탈모 생기는 이유 찾았다..”세포 속 신호전달 문제 탓”
이미지 크게 보기 나이들면 탈모 생기는 이유 찾았다…“세포 속 신호전달 문제 탓” 과학자들이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노화 관련 탈모를 치료하는 약물을 찾는(more…)
로봇에게 ‘감각’을 주는 전기 장갑 개발 & Light pulses prod artificial muscle into action
[요약]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손가락을 모방한 정밀 센서를 만들었다. 연구진이 이 센서를 장갑에 끼운 뒤 로봇 팔에 끼우자 로봇은 계란을 깨지 않고 옮기거나 딸기(more…)
물고기에게서 찾아낸 심장 재생 유전자
[요약] 멕시코 테트라 피시와 제브라피시라는 물고기는 자신의 심장을 스스로 치유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녔다. 영국 연구진이 이 능력에 가장 연관되는 유전자가 무엇인지 밝혀냈다. 심장질환 치료에 새로운 길이(more…)
‘카페인분해 유전자’의 비밀 임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권장하는 성인 1명의 하루 카페인 섭취량은 400㎎이고, 1회 복용량은 200㎎입니다. 보통 커피잔으로 2잔 정도 분량입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커피는 많은 사람들의(more…)
들어는 봤나, ‘슈퍼 고무’
루피의 ‘고무고무’는 옛말, 고무의 대변신 만화 원피스(ONE PIECE)의 주인공 루피는 ‘고무고무열매’라는 가상의 열매를 먹은 뒤 신체가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어나는 ‘변종’이 됐다. 그가 “고무고무!”라고 외치면 팔이 자유자재로 늘어나고, 긴팔을(more…)
“유전자 교정한 아기 태어났다” 中 과학자 주장 & 유전자 가위로 조작한 아이 탄생? 세계 과학계 생명윤리 논란 후폭풍 & Geneticists retract study suggesting first CRISPR babies might die early
유전자 교정한 아기를 태어나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주장한 허젠쿠이 중국남방과기대 교수. – 사진제공 중국남방과기대 중국 과학자가 세계 최초로 유전자 가위를(more…)
시각장애인에 ‘전자 눈’ 이식… 잃어버린 시력 찾았다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로 찍은 시각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바꿔 전극이 뇌를 자극해 사물 인식 KIST, 인공 광수용체 단백질 개발… 사람 눈처럼 色 감지·명암 구분(more…)
쥬라기 공원 공룡 복원하듯, 멸종된 꽃 향기 살려냈다 & 멸종된 동물 ‘사일러신’…유전자 가위로 되살린다
향기산업 혁신하는 첨단기술 미국 보스턴의 바이오기업인 징코 바이오웍스는 지난달 말 송진과 흙 냄새가 어우러진 향수를 새로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첨단 생명공학을 이용해 1912년 멸종한(more…)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에너지 과잉 미량영양소 결핍 시대 ‘뭐 재미있는 게 좀 있나…’ 매주 수목금 아침이면 커피를 홀짝이며 주간 학술지 사이트를 둘러보는 게 작은(more…)
사람은 왜 밤에 잠을 자야할까? (유튜브)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태아의 생활공간, 태반이 형성될 때
사이언스 제공 임신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형성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된 순간부터 시작된다. 수정란이 성장하는 동시에 겉면을 둘러싸고 있던 장막은 전체 자궁의 점막에서(more…)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8일 사람들이 세포 소기관과 유기분자, DNA 등을 거대 영사기에 넣고 있는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영사기 밑에서 넣은 세포의 구성요소들은(more…)
대량의 수들을 고속으로 계산하다 – 계산기의 등장
수학자들은 자질구레한 일상적인 계산들을 처리해줄 기계를 늘 꿈꾸어왔다. 계산에 시간을 덜 들일수록 생각에 시간을 더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사시대부터 나무막대와 조약돌이 셈의(more…)
소리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듣게 될까? (유튜브)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16일 프랑스에서 개최된 국제도량형총회 모습. 베르사유=이정아 기자 질량 단위인 킬로그램(㎏)을 비롯해 전류 단위인 암페어(A), 온도 단위 켈빈(K),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몰(mol)의 정의가(more…)
美과학자 “GMO 감자 독소 축적가능성” 경고
유전자변형 감자 SPS-E12 발암물질↓ 변색 방지 장점 식약처 안전성 심사 통과 당초 내년초 수입 허용수순 책에 “개발 후회” 양심선언 멜라닌 억제한 GMO 감자 병균·독소 쌓일수도 주장(more…)
노벨을 살릴 수 있었던 위험한 물질
“니트로글리세린을 처방받았다네. 이야말로 운명의 아이러니가 아닌가.” 말년에 협심증으로 고생하던 알프레드 노벨은 병원을 찾아갔다. 그런데 의사가 니트로글리세린을 처방하자 노벨이 남긴 푸념 같은 말이다. 니트로글리세린은(more…)
전쟁터에서 환자의 목숨을 구한 본드
출처=MixerDirect.com 물건을 단번에 빠르게 붙여주는 ‘순간 접착제’는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보통 가정에서도 한두개는 꼭 구비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순간 접착제는 물건을 빠르게 붙일(more…)
RNA 바꿔서 학업성적 높이고 기억력 향상시킨다고?
mRNA 변형이 기억과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이언스 데일리 단백질은 생명체 작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단위이다. 단백질 생산을 위해서는 DNA와 RNA의 유기적 조정이 필요하다. RNA는 무수한 종류의 단백질을(more…)
왜 술을 마시면 토하고 싶을까? & 맛없는 물과 맛있는 물…물과 술 이야기 &&
우리 머릿속에는 뇌하수체라는 부위가 있다. 뇌하수체의 후엽에서 분비되는 펩티드 호르몬(Peptide Hormone) 중에는 항이뇨호르몬이 있다. 말 그대로 이뇨 작용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항이뇨호르몬은 다양한 작용을(more…)
‘꿈의 기술’ 양자컴퓨터, 어디까지 왔나
/사진=이미지투데이 세계가 양자컴퓨터 개발에 팔을 걷었다. 양자컴퓨터는 현재 컴퓨터로 수백만년이 걸리는 계산을 단 몇초만에 해내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공학·과학·수학 등 기초학문(more…)
암세포 속 염색체 모습을 찍다 & 염색체 수가 46개로 밝혀지며 새로 열린 세상
사이언스 제공 세포의 핵 속에는 유전물질인 DNA가 뭉쳐 있는 형태의 염색체가 들어있다. 염색체는 히스톤 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존재한다. 히스톤 단백질에 화학작용기인 아세틸기가 붙으면(more…)
신생아 건강을 지키는 장내미생물 & 마이크로바이옴 이야기 & 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네이처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5일자 표지에 아기가 알록달록한 담요에 싸인 채 곤히 잠들어 있는 모습을 담았다. 아기 주위에는 다양한 장내미생물 집합체(마이크로바이옴)를 상징하는 각양각색의(more…)
강유전성 물질의 비밀, 83년 만에 풀렸다
–Thor Balkhed 제공 흔히 강성은 물질의 특성이 외부작용에 의해 바뀐 다음, 그 외부작용이 사라져도 유지되는 성질을 말한다. 외부 전기장으로 인해 양(+)극이나 음(-)극을 띠게 된(more…)
美연구진, 세계 최초 ‘3D 미니 뇌’ 개발 성공
사진=123rf.com 인류 최대의 난제이자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질병으로 꼽히는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등 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미니 뇌’가 성공적으로 개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 주(more…)
Aptamers and Clinical Applications
Gov Lists 28 Clinical Studies, Mostly Ocular, for Aptamers Only 3 On This List Are Currently Active Studies NOXXON Pharma’s Mirror-Image L-RNA Aptamer(more…)
북미보다 3배 큰 아프리카…역대 가장 정확한 세계지도 화제
북미보다 3배 큰 아프리카…역대 가장 정확한 세계지도 화제 오늘날 세계 지도를 보면, 북미 대륙과 러시아가 아프리카 대륙보다 훨씬 크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more…)
현미경에 담은 생물의 신비 ‘베스트 10’
‘니콘 스몰 월드 2018’ 입상작 발표 1위는 붉은팜야자바구미의 눈 ‘니콘 스몰 월드 2018’ 공모전에서 1위를 한 곤충의 눈. 니콘스몰월드 제공 일본의(more…)
수십 톤짜리 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는? & 구름색이 날마다 다른 이유는?
청명한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맑은 하늘과 멋진 구름이 인상적인 계절입니다. 높게 떠 있는 구름을 보면 마음마저 상쾌해지는 기분이 듭니다. 여러분은 구름이 어째서 하늘에 떠(more…)
땅콩 알레르기 잡는 치료제 나온다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8일 땅콩과 땅콩을 노려보는 듯한 소녀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미국 인구의 1~2%는 땅콩에 알레르기(알러지)를 갖고 있다. 대부분은(more…)
Science without borders: 4 big questions
Working as a scientist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can be challenging, but it also provides the opportunity to make a difference to(more…)
Supercharged crime-scene DNA analysis sparks privacy concerns
Consumer genetics poised to enable comparison of DNA evidence to genetic profiles of almost any American of European descent.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more…)
책 소개 – Rotten meat and bottled formaldehyde: fighting for food safety
Felicity Lawrence extols two chronicles on the ongoing battle to regulate the US food industry.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llustration by(more…)
책 소개 – Genes unleashed: how the Victorians engineered our dogs
Meg Olmert weighs up a tale of artificial selection, class, entertainment and more than 200 breed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llustration(more…)
The wide world of weed research
As Canada lifts most of its restrictions on studying cannabis, here’s a look at how the rest of the world is faring. (more…)
Towards therapeutic base editing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Base editors function in mouse fetuses and in the livers of adult mice to treat a genetic disorder. (more…)
세상을 바꾼 천재들의 한 가지 공통점(youtube)
세상을 바꾼 천재들의 한 가지 공통점(youtube)
지폐라고? ‘면폐·플폐’아냐?
지폐라고? ‘면폐·플폐’아냐?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호주의 폴리머머니. 지폐 곳곳에 위치한 투명창에 새겨진 위조방지 무늬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요즘 ‘지폐(紙幣)’는(more…)
Major publishers sue ResearchGate over copyright infringement
Major publishers sue ResearchGate over copyright infringement Elsevier and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say that the academic-networking website violates US copyright law.(more…)
‘노안’은 ‘원시’라서 볼록렌즈?
‘노안’은 ‘원시’라서 볼록렌즈? (원문) 어린 아이들은 아직 정상적인 시력을 회복하지 못한 원시입니다. 눈이 덜 성장해 망막에 촛점이 정확하게 맺히지 않기 때문입니다.(more…)
우리은하 형태, 대체 어떻게 알아냈을까? – 400년의 기록
우리은하 형태, 대체 어떻게 알아냈을까? – 400년의 기록 (원문) 은하 원반의 먼지를 뚫고 볼 수 있는 전파나 적외선 관측 등을 통해(more…)
사육, 도축 필요 없는 미래식량 ‘세포 고기’?
배양한 세포 등을 이용한 고기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정보: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육, 도축 모두 스킵! 미래 식량 ‘세포 배양육’> / YTN 사이언스 동서고금을 막논하고 인간은 육식을 즐겨왔습니다. 만족감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영양 측면에서도 고기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배제할 수 없는 재료입니다. 그런데 고기를 얻는 방식은 동물, 인간, 환경에 모두 해로운데요. 열악한 사육 환경으로 동물에게 학대가 가해지고, 동물이 받은 스트레스와(more…)
신체대칭 유전자가 6억년 전에 한 일은?
좌우 대칭인 생명체들은 어떤 비밀을 가지고 있을까요? (원문 정보: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우리는 ‘자연의 경이로움’에 감탄하며 살고 있다. 멀리(more…)
Junk food, junk science?
책 소개 – (맛이) 고약한 진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05 Oct 2018: Vol. 362, Issue 6410, pp. 38 DOI: 10.1126/science.aau6602 (more…)
Why Donna Strickland’s Wikipedia page matters & 같은 항암제인데 왜 여성에 부작용 더 많을까 &&
도나 스트릭랜드의 201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의 의미에 관한 기사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One Wikipedia Page Is a Metaphor for the Nobel Prize’s(more…)
How to lose your inheritance
배아줄기세포의 분화 과정에서의 전사인자의 중요성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n developing embryos, molecular and physical differences divide the cells that will(more…)
The eukaryotic ancestor shapes up
진핵세포의 조상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Asgard archaea are the closest known relatives of nucleus-bearing organisms called eukaryotes. A study(more…)
Science and the Supreme Court: Cases to watch in 2018
2018년 현재 미국에서 재판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과학적 이슈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The death penalty, uranium mining and the endangered(more…)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사는 이유 찾았다 (연구)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사는 이유를 유전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원문) 여성과 남성 수명 차이 (사진=123rf.com) 여성이 남성에 비해 노화가 더디고(more…)
통제하는 힘, 뇌의 명령인가 자유의지인가
신경과학의 영역은 어디까지 일까요? (원문) 철학의 영역에서 과학의 영역으로… ‘의식의 흐름’까지 읽어내는 신경과학 대부분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은 정상이지만 심한 안면인식장애(more…)
2018년 노벨화학상, 프란시스 아놀드, 조지 스미스, 그레고리 윈터 – 생명체 진화 화학적 설계 이야기
생명체 진화 화학적 설계 연구분야 연구자인 프란시스 아놀드, 조지 스미스, 그레고리 윈터가 201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군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Test-tube’ evolution wins(more…)
후성유전학 관련 몇 가지 이야기
후성유전학 내지는 기억의 유전 관련 몇 가지 이야기입니다. 생명체 ‘기억이식’ 성공, 비밀의 문 열리나 (원문) 바다달팽이, RNA 이전해 전기자극(more…)
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은여우 길들이기 프로젝트와 관련한 게놈 및 유전자 발현 분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원문) 얼마 전 필자는 2300여 년 전 진시황 할머니 무덤에서(more…)
불꽃놀이 ‘불꽃’에 숨은 과학
불꽃놀이 관련 내용입니다. (원문) 화려한 불꽃놀이의 불꽃 속에는 어떤 과학이 숨어 있을까요.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자 축제의 계절입니다.(more…)
Intracellular gold nanoclusters boost energy conversion
새로운 형태의 ‘박테리아 세포 내부로 도입된 금 나노물질 기반 에너지 전환 시스템’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ntracellular gold nanoclusters act as(more…)
인공지능과 유기화학
인공지능을 이용한 화학반응 예측과 유기 분자 설계, 그리고 물질 구조 분석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화학반응 예측에 인공지능 도입한 과학자들 [요약]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more…)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 제임스 앨리슨·혼조 다스쿠 공동수상 – 면역항암제 이야기
면역항암제 연구분야 연구자인 제임스 앨리슨과 혼조 다스쿠가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군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James Allison and Tasuku Honjo pioneered treatments that(more…)
가을 하늘이 유난히 더 파란 이유
가을 하늘이 더 파랗게 보이는 이유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빛의 산란’이 원인…파장이 짧은 파란색만 산란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한강시민공원에 황화코스모스가(more…)
뇌와 관련된 몇 가지 이야기
뇌에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을까? (원문) 뇌는 편리하다. 뇌에는 양심, 기억, 자의식과 같이 우리가 좋아하는 많은 것들을 집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more…)
설탕 vs 지방…성인병 부르는 더 나쁜 놈은? – 관련 뉴스 몇 가지
‘탄수화물이냐, 아니면 지방이냐?’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을 해치는 대표적인 주범으로 `설탕`과 `지방`이(more…)
풍선아트 같은 유전자 발현의 비밀
배아줄기세포가 분화하면서 우리 몸이 형성될 때, 유전자의 발현량에 따라 발달 과정의 모습을 풍선아트에 비유한 사이언스 표지 그림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Science 제공(more…)
노벨상 관련 이야기 몇 가지 – What the Nobels are — and aren’t — doing to encourage diversity & 노벨상 받은 제자가 불편했던 스승 &&
노벨상 시즌이 돌아왔군요^^ 노벨상 수상자들의 다양성 관련 Nature 뉴스 등 노벨상 관련 몇 가지 이야기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The prize-awarding academies are(more…)
Record-breaking battery saves sunshine for a rainy day
14.1% 효율의 태양전지가 개발되었군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Device combines solar-cell and battery technology to store energy from the Sun with unprecedented(more…)
책 소개 – 프랑켄슈타인
최초의 SF 소설로 분류되는 메리 셀리의 ‘프랑켄슈타인’에 관한 글입니다. (원문) 최초의 SF소설 200년 전의 놀라운 예언이 현실로 요즘 같은 계절에(more…)
인간에게 뼈와 연골을 만들어주는 줄기세포 발견
스탠포드 대학에서 ‘뼈줄기세포’를 발견했다는 내용입니다. (원문) [요약]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인간의 뼈, 지방에서 ‘뼈 줄기세포’를 분리해 내는데 성공했다. 뼈 줄기세포는 연골, 뼈,(more…)
Getting cancer drugs into the brain
이번 주 Nature에는 뇌암에 관한 내용들이 많이 소개되었군요. 그 중에서 뇌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와 blood-brain barrier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more…)
Why Chinese medicine is heading for clinics around the world
전통중국의학(또는 한의학)에 관한 Nature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For the first tim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ill recognize traditional medicine in its(more…)
‘Severe’ figure manipulation found in studies from leading plant lab
과학의 권력화 때문일까요, 아니면 과학의 한 특징인 선취권 때문일까요? 또 하나의 데이터 조작 사례에 관한 Nature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nvestigation turns(more…)
日 연구팀 “우주 최소 1천400억년 안전” 논문 발표 & 빅뱅으로 시작한 우주, 종말이 있을까
열역학 제2법칙의 해석과 암흑에너지 등에 의한 우주의 팽창 등에 근거해서 우주는 결국 멸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일본 연구팀에 의하면 최소한 1천400억 년동안은 안전하다고(more…)
음식 데우는 전자레인지…가열원리는 뭘까?
참고: 과학, 알고싶다(101) — 생활 속의 과학 – 주방에서의 과학: 인덕션과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의 원리와 발명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 News1 김일환(more…)
붉은 단풍은 특별하다?! & 가을이면 울긋불긋해지는 나뭇잎 ‘왜그럴까?’
가을 단풍에 관한 동영상과 설명입니다. (원문) 모든 식물의 세포에는 광합성을 하는 엽록소와 광합성을 돕는 보조색소가 있다. 노란색을 띠는 카로티노이드와 크산토필, 붉은색을 띠는 안토시아닌 모두(more…)
꼬리가 길면 밟히는 법, mRNA의 꼬리를 찾아서
mRNA 꼬리에 관한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님의 최근 논문 설명입니다~ (원문) 단백질과 세포의 운명 결정자, 전령RNA(mRNA) 고혈압 환자와 마라톤 선수의 공통점이 있다. 심장이 일반(more…)
전염병을 미리 예측하는 방법은?
전염병 확산 모형에 관한 최근 기사입니다~ (원문) 서아프리카에 에볼라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하던 작년 9월, 미국국립보건원 병원균모델연구팀(NIH MIDAS)은 심각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 현 수준으로 방역을 하다간 한 달 만에 감염자가 1만 명 이상 늘어날지 모른다는 것. 에볼라 대유행에 대비해야한다는 경고의 의미였다. 그런데 이런 시뮬레이션은 어떻게 한 걸까? 전염병 확산모델을 처음 만든 사람은 스위스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다. 1766년 베르누이는 천연두 예방접종을 실시할 경우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26년 7개월에서 29년 9개월로 늘어난다고 예측했다. 당시는 백신에 대한 개념이 없던 때라, 천연두 균을 일부러 몸 안에 넣는다는 사실에 반발하는 사람이 많았다. 베르누이는 전염병이 확산되는 과정과, 그때의 기대수명을 수학적으로 보여줘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을 실었다. 1927년(more…)
바이러스와 그에 의한 질병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바이러스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와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바이러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바이러스라면 동물이나 식물, 세균 같은 생명체에 기생해서(more…)
망간과 카드뮴 이야기
망간과 카드뮴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오늘은 강철 합금과 건전지에 쓰이는 원소 ‘망가니즈(원자번호 25번, 망간)’에 얽힌 흥미진진한 화학 이야기를(more…)
Receptor dynamics predict drug effects
Science 21 Sep 2018: Vol. 361, Issue 6408, pp. 1211-1213 DOI: 10.1126/science.361.6408.1211-r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The effect of a drug on a(more…)
Bacterial antagonism in host-associated microbial communities
Science 21 Sep 2018: Vol. 361, Issue 6408, eaat2456 DOI: 10.1126/science.aat2456 여기를 클릭하세요~ Interspecies competition shapes communities The gut microbiota of(more…)
Programmable protein circuits in living cells
Science 21 Sep 2018: Vol. 361, Issue 6408, pp. 1252-1258 DOI: 10.1126/science.aat5062 여기를 클릭하세요~ Building smarter synthetic biological circuits Synthetic genetic(more…)
CRISPR-Cas9 nuclease 관련 몇 가지 뉴스
CRISPR-Cas9과 관련된 몇 가지 소식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CRISPR tool puts RNA on the record The bacterial-defence system CRISPR–Cas can store(more…)
Meeting brain–computer interface user performance expectations using a deep neural network decoding framework
여기를 클릭하세요~ Abstract Brain–computer interface (BCI) neuro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reduce disability associated with paralysis by translating neural activity into control(more…)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편집 관련 논문 2편 & 유전자 가위로 ‘말라리아 모기’ 절멸
Genome editing in mitochondria corrects a pathogenic mtDNA mutation in vivo 여기를 클릭하세요~ Abstract Mutations of the mitochondrial genome (mtDNA) underlie(more…)
코발트와 인 이야기
코발트는 왜 ‘하얀 석유’로 불릴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은회색을 띄고 있지만, 석유처럼 사용하지 않는 곳이 없어서 ‘하얀 석유’라 불리는 물질이(more…)
친환경 미세조류 바이오디젤의 현재와 미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국내 연구진이 미세조류를 배양하고 있다.[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디젤은 화학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 중 하나입니다. 신재생에너지처럼 막대한(more…)
배아세포들은 어떻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Nature 제공 물체에 오른쪽으로 힘을 주면 당연히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아이작 뉴턴의 가속도의 법칙에 따라 힘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기(more…)
수컷 없이 번성하는 ‘아마조네스’ 물고기 & 무려 25만 년 동안 처녀?…짝짓기 없이 번식하는 호주 메뚜기
(원문) 암컷끼리 살다 다른 종 수컷의 도움으로 단성생식 아마존 몰리·붕어…정자의 자극만 받고 유전자는 파괴 화살을 쏘기 쉽도록 한쪽 가슴을 도려낸 아마존(more…)
Austrian agency shows how to tackle scientific misconduct
(원문) A decade on from a major academic scandal, officials there have got their act together. Austria has made(more…)
A new way to capture the brain’s electrical symphony
(원문) How voltage readings from individual neurons could power the next revolution in neuroscience. Illustration by Joanna Gebal (more…)
Predicting scientific success
(원문) Even sophisticated, data-driven models of academic careers have trouble forecasting the highs and lows. Physicist, Frank Wilczek, whose(more…)
Reimagining of Schrödinger’s cat breaks quantum mechanics — and stumps physicist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n a multi-‘cat’ experiment, the textbook interpretation of quantum theory seems to lead to contradictory pictures of reality,(more…)
A core problem in nuclear assembly
(원문) Chromosomes can exist outside the nucleus in rupture-prone structures called micronuclei. It emerges that micronuclei are fragile because their outer layer(more…)
World’s first animal was a pancake-shaped prehistoric ocean dweller
(원문) Fossils of ancient sea creatures answer a long-standing question about how animals became bigger and more complex. The(more…)
The multitasking cell that can build the parts of a human skeleton
(원문) Cells sprout into bits of human bone when implanted in mice. Human stem cells that give rise to bone,(more…)
Discovery of Galileo’s long-lost letter shows he edited his heretical ideas to fool the Inquisition
(원문) Exclusive: Document shows that the astronomer toned down the claims that triggered science history’s most infamous battle — then lied about(more…)
University says prominent food researcher committed academic misconduct
(원문) Brian Wansink will retire at the end of the academic year, according to Cornell University. Food researcher Brian Wansink(more…)
면역반응 없는 유전자치료법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로렌스 스타인먼 스탠퍼드 의과대학 교수팀은 바이러스와 플라스미드에 정상 유전자를 실어 주입하는 유전자 치료법으로 유전성 근육 퇴행성질환인 ‘듀켄씨근이영양증’을 면역반응 없이(more…)
학술 생태계를 연구하는 저널생태학자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거인으로 묘사된 두 명의 과학자가 여러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모습을 들여다 보는(more…)
과학수사의 새 지평을 열어준 주인공, ‘지문’ & 셜록 홈스는 왜 혈액 반응 시약에 집착했을까?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1892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한 가정집, 이곳에서 끔찍한 사건이 발생한다. 집에서 잠을 자던 6살, 4살의 남매가 칼로 무참히 살해당한 것이다. 사건의 최초 신고자이자(more…)
감정·행동 영향 미치는 복잡한 ‘세로토닌 시스템’
(원문) [요약]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인간의 기분과 행동 등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뇌 안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전달되면서 영향을(more…)
알츠하이머 쥐의 기억력 되살리는데 성공 (연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진=123rf.com 현존하는 가장 무서운 질병으로 꼽히는 알츠하이머. 사람들은 무엇보다도 사랑하는 사람과 가족의 기억이 모두 사라진다는 것에(more…)
일부일처제는 인간의 본성일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그리스 신화의 주신 제우스는 아내가 있는데도 몰래 바람 피울 궁리만 한다. 이스라엘의 솔로몬 왕은 후궁 700명에 첩이(more…)
진실을 뭉개는 가짜뉴스가 판치는 이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이언스 제공 붉은 빛 무리가 압도하는 가운데 초록색 빛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3월 둘째주 사이언스 표지를(more…)
태양의 이름을 딴 헬륨, 우리가 모르는 상식 5가지
(원문) 공기를 가득 채운 풍선은 아이들의 마음을 설레게 합니다. 하늘로 올라가려는 풍선 속에는 헬륨(He) 가스가 들어가 있는데요. 간혹 목소리를 재미있게 바꾸기(more…)
모든 암 환자를 위한 ‘최상의 맞춤 약’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면역치료제의 등장으로 난치성 암의 치료 가능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암 정복은 멀다. 암은 고유한 단백질 조각으로 스스로를(more…)
게놈지도 완성에도 인간유전자 90% 방치···”연구 ‘편식’ 탓”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학자들의 지속적 ‘연구 편식’으로 미지의 유전자들 계속 방치, 연구비 지원 방식이 원인으로 분석 유전자 연구 편향 지도.(more…)
노벨상은 기초과학? 물리에만 적용, 화학·의학은 특허와 직결돼
(원문) 물리학상 그래핀·청색LED 제외 특허 ‘0’ 화학·의학상 특허 수는 논문 대비 4~5배 노벨과학상 수상까지 총 기간 비슷하지만 핵심연구 산출기간은 세 부문 서로(more…)
“건강하다면 아스피린 먹지마라”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이야기
(원문) GIB 제공 아스피린은 혈관에 물질이 쌓이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져왔다. 이런 이유로 건강한 사람 중에서도 심장 부담을 줄일 목적으로 소량의 아스피린을(more…)
지구의 위성, ‘달’의 놀라운 탄생 이야기(youtube)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세균 감염 막는 선천 면역 지휘자 ‘핵소체’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몸에 있는 세포들은 스스로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인 ‘선천 면역 반응’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세포가 어떻게 스스로를 보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more…)
항생제 안 듣는 내성균 물리칠 신약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네이처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박테리아의 이중 세포벽으로 형상화 한 타이머가 실렸다. 시간이 거의 다 됐음을 알리는(more…)
분자구조로 본 물의 소중함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선거 날 투표 결과를 기다리는 두근거림은 아무것도 아닐 정도로 학위 논문 발표는 엄청난 긴장감을 유발한다. 특히 심사위원들의 쏟아지는(more…)
Organic and solution-processed tandem solar cells with 17.3% efficiency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4 Sep 2018: Vol. 361, Issue 6407, pp. 1094-1098 DOI: 10.1126/science.aat2612 Tailoring tandem organics Tandem(more…)
Unraveling the mystery of thalidomide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4 Sep 2018: Vol. 361, Issue 6407, pp. 1084-1085 DOI: 10.1126/science.361.6407.1084-c Off-label use of thalidomide became(more…)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a smell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4 Sep 2018: Vol. 361, Issue 6407, pp. 1083-1085 DOI: 10.1126/science.361.6407.1083-l We still don’t know how(more…)
‘허블’이 잡은 놀라운 태고의 은하들 & 비상하는 불새…제임스웹이 1년간 바꾼 인류의 관점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허블 망원경이 잡은 아벨 370 은하단의 새로운 이미지. 곳곳에 보이는 호들은 중력 렌즈 현상으로 포착된 배경의 먼 초기 은하들(more…)
개미 6마리만 모여도 저절로 분업…인간보다 낫네 & 개미가 미로 속에서 길 찾는 방법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집단 사회성 촉진 개미 호르몬 ‘ilp2’ 사회적 동물로 알려진 개미들은 사람보다 더 정교한 업무 분리를 해 집단을 운영하고(more…)
Thousands of scientists publish a paper every five days
(원문) To highlight uncertain norms in authorship, John P. A. Ioannidis, Richard Klavans and Kevin W. Boyack identified the most prolific(more…)
잘나가던 프로바이오틱스 효과 논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스라엘 연구진 2개 논문 프로바이오틱스 효과 미미 장속 들여다보니 임상그룹 10%만 균주 많이 자리 잡아 60%는 그냥 대변으로(more…)
작은 RNA 조각, 유전자 질환 극복의 열쇠 될까 &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RNA 간섭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생명에 관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두 가닥의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DNA의 유전정보를(more…)
유전자 가위 세기의 특허戰 종지부… “최후 승자는 MIT·하버드대” & 유전자가위 노벨상 수상자, 7년 특허 소송서 패배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세기의 특허 전쟁’으로 불리던 미국 브로드연구소와 UC버클리 사이의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특허 분쟁이 결국 브로드연구소의 승리로 끝났다. 이로써 3년 넘게(more…)
빛바랜 녹색혁명 ‘비료의 역설’ 풀릴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네이처 제공 대규모 계단식 논밭이 펼쳐진 농장에서 수확한 잘 익은 곡물을 등에 진 여인이 밭 사이를 걷고(more…)
젊은 피 수혈로 노인병 막는다..현대의학 유망사업 떠올라
불로장생을 향한 인간의 욕망… 그 끝은 어디일까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크게 보기 암과 치매, 그리고 심장질환 같은 노인병을 치료하기(more…)
바코드와 마그네틱 카드의 정보 저장 원리
https://tip.daum.net/question/84031500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바코드는 1948년 미국 필라델피아 드렉셀 공과대학의 대학원생인 버나드 실버(BernardSilver)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우연히 식품체인점 업계에서 자동으로 상품정보를(more…)
자기테이프와 하드디스크의 정보 저장 원리 등
http://study.zum.com/book/14262 아날로그와 디지털 구분 아날로그(analog) 디지털(digital) 방식 정보를 연속적으로 변하는 물리량으로 표현하는 것 숫자 0과 1만을 이용하는 이진법과(more…)
Largest-ever peer-review survey reveals growing “reviewer fatigue”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Peer reviewers unmasked: largest global survey reveals trends Scientists in emerging economies respond fastest to peer review invitations,(more…)
동물실험 대체할 미니 간·미니 뇌 개발 한국서도 본격화
(원문) 2016년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진은 치매 및 뇌졸중 치료를 위해 2만여개의 뇌세포로 이뤄진 이른바 ‘미니 브레인(mini brain)’을 대량 만들 수 있는 기술을(more…)
세계는 바이오 빅데이터 전쟁, 데이터가 미래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병원 관계자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혈관 질환 정보를 분석하고 있다.(자료: 전자신문DB) 개인 평생 건강 정보는 약 1100테라바이트(TB)이다.(more…)
New voices, at last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07 Sep 2018: Vol. 361, Issue 6406, pp. 953 DOI: 10.1126/science.aav2338 Science academies are well placed to(more…)
Synthesizing a therapeutic probiotic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07 Sep 2018: Vol. 361, Issue 6406, pp. 988 DOI: 10.1126/science.361.6406.988-b Phenylketonuria is a disease caused by an(more…)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자 조작한 생물, GMO로 규제해야 하나
(원문) 지난 8월 21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2017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를 발표했다. 유전자변형 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Organism)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적용된 생물체다. 발표에 따르면(more…)
바다생물 DNA 정보 소유권은 누구에게? & Science 뉴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흥미로운 통계가 있다. 독일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종합화학회사 BASF가 해양생물로부터 수집한 약 1만3000종의 DNA 염기서열 중 약 절반을(more…)
인간에게만 있는 특수 뇌세포 발견
(원문) 인간의 두뇌에 대한 의문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인간의 두뇌가 다른 동물과 다른 점이 과연 무엇인가”하는 것이다.(more…)
기상청을 위한 변명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태풍 예보는 틀리는 것이 당연하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쑥대밭이 된 미국 뉴올리언스. 당시 미국 기상청의 예보 역시 엉망이었다.photo 뉴시스(more…)
헬리콥터의 비행원리
(원문) 일반 항공기가 활주로를 달려서 양력을 얻습니다. 헬리콥터는 어떻게 양력을 얻을까요?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헬리콥터(Helicopter)는 항공기입니다. 그 말은 헬리콥터도(more…)
지구는 왜 자전하는 것일까?
(원문) 우리가 사는 지구는 매일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을 한다. 그 속도는 시속 약 1300km에 달한다. 이로 인해 지구상에서는(more…)
유전자 가위 관련 뉴스 – 유전자 가위로 근육 손상 앓는 개 치료 첫 성공 등
(원문) 불량 유전자 잘라 정상으로 바꿔… 사람에게도 적용 가능성 높아져 과학자들이 개에게서 치명적인 근육 손상을 일으키는 ‘불량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more…)
DNA 한 가닥을 옮기는 ‘분자 호퍼(hopper)’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분자 호퍼란 나노 규모의 작은 크기의 원하는 트랙을 따라서 특정 물질을 화학적 결합을 만들었다가 깨뜨렸다 하는 과정을 이용해(more…)
외모와 다른 실제 나이? 후성 유전학에게 물어봐 & Nature 뉴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연예인들이 나오는 토크쇼를 보다 보면 자신의 나이가 실제와는 다르다고 깜짝 고백해 팬들을 놀라게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여, 날(more…)
University clears NgAgo gene-editing study authors of deception & ‘중국판 황우석 사태’ 논란 “조작 의도 없다” 결론
(원문) But an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 study was flawed. A Chinese university has concluded that the authors of a(more…)
The key to a happy lab life is in the manual
(원문) A well-crafted set of guidelines and advice can save time, reassure trainees and promote a positive lab culture, argues Mariam(more…)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원문) 중국 붉은 머리 지네 – 위키피디아 자료 용량이 독을 만든다. -파라켈수스 동물 진화에서 독액의 등장은 전환기적 사건이다.(more…)
R&D총액 세계5위, SCI 논문수는 33위…겉만 요란한 ‘韓 과학’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빗나간 정책, 과학기술 현 주소-성과 못내는 R&D 패스트팔로어 전략으로 반도체 등 성장토대 구축했지만 기초연구 투자 뒤처져 AI·빅데이터 등 신산업(more…)
DNA tags used to image sugar-bearing proteins on cells
(원문) Methods for imaging sugars attached to proteins — the protein glycoforms — are of interest because glycoforms affect protein movement(more…)
책 소개 – Forgotten heroes of the Enigma story
(원문) Polish codebreakers paved the way for Alan Turing to decrypt German messages in the Second World War. Joanne Baker commends(more…)
New machine-learning technologie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원문) Nature Medicine (2018) Machine learning can be used for computer-aided diagnosis of acute neurological events and retinal disease and(more…)
개미 사회에서 발견한 ‘문명의 기원’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개미와 인간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둘 다 똑같이 자원이 가득찬 도시와 주거지가 있는 정교한 구조물로 이뤄진 큰(more…)
CAR-T, 항암제시장 게임체인저 되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노바티스 ‘킴리아’·길리어드 ‘예스카르타’ 美 이어 유럽서도 판매 허가 개발·시판 경쟁 막올라 ‘기적의 항암제’로 불리는 면역세포치료제(more…)
검정은 다 같은 검정일까, 검정이라고 검기만 할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깊고 그윽한 검정의 심연’ 프로젝트는 ‘찬란하고 다채로운 검정의 향연’으로 귀결되었다. ■ 찬란하고 다채로운 검정의 향연 ‘깊고(more…)
Canine CRISPR trial raises hopes for humans with deadly disease
(원문) Dogs with a disorder similar to Duchenne muscular dystrophy improve after gene-editing treatment. A powerful gene-editing technique can(more…)
The Alzheimer’s gamble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31 Aug 2018: Vol. 361, Issue 6405, pp. 838-841 DOI: 10.1126/science.361.6405.838 Can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more…)
Emerging scientific technologies help defend human right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31 Aug 2018: Vol. 361, Issue 6405, pp. 859-860 DOI: 10.1126/science.361.6405.859 Against a backdrop of summer heat and(more…)
책 소개 – Understanding the double slit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31 Aug 2018: Vol. 361, Issue 6405, pp. 855 DOI: 10.1126/science.aav0128 In his famous Lectures on Physics,(more…)
2015년 뉴스 – 21세기 불로초? ‘유전자 조작’으로 ‘장수 초파리’ 탄생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노랑초파리 수컷 –인간에게도 있는 유전자 조작…수명 60% 늘려 늙지 않고 영원히 사는 것은 인류의 오랜 꿈이다. 그러나 진시황이(more…)
기술이 발달해야 생물학 혁신 온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학자가 세운 가설은 실험이나 관측을 통해 검증되기 전엔 과학적 지식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지난 2016년 3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more…)
대장균의 반전 역할…숙주의 철분 흡수 돕는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대장균의 전자 현미경 사진. Credit: Rocky Mountain Laboratories, NIAID, NIH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동물의 장은 물론 자연계에도 흔한 세균 중 하나다. 대부분은 무해한 세균이지만,(more…)
다재다능 종이접기 전자회로 나온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미국 연구팀이 수백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종이 전자회로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2018.08) 연구팀이 종이접기 전자회로를(more…)
2017년 뉴스 – “암 발병 66%는 DNA복제 오류 때문”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난해 9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5년 사망 원인 통계’를 보면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이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암’으로, 인구(more…)
맛있는 팝콘은 왜 튀길때 ‘팡 팡~’ 소리를 낼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왜 연구를 했는지 모를 재미있는 연구결과 나왔다. 최근 프랑스 최고 엘리트 교육기관인 에콜 폴리테크니크 출신의 두 공학자가 팝콘에(more…)
20세기 과학을 상징하는 원자 궤도 모형
(원문) 20세기 과학기술을 상징하는 도상을 꼽는다면 빠지지 않고 들어갈 한 가지는 원자 모형일 것이다. 원자와 그 내부를 이해하는 데서부터 오늘날의 전자공학과(more…)
Ways to promote and foster collaborative research in your lab
(원문) Top tips for principal investigators to help junior scientists navigate the travails of teamwork. Adapted from Getty (more…)
책 소개 – Schrödinger’s cat among biology’s pigeons: 75 years of What Is Life?
(원문) Philip Ball revisits a book that crystallized key concepts in modern molecular biology. Physicist Erwin Schrödinger also(more…)
Protein complexes assemble as they are being made
(원문) An investigation finds that most protein complexes in yeast cells assemble before the subunits have fully formed. This mechanism might(more…)
잘나가던 법조인, 왜 과학자가 됐나
(원문) 20대에 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촉망받던 젊은 법조인이 어느 날 우연히 수학책과 물리학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는 ‘나는 이제 평생 사람을 위한(more…)
美 FDA, 신약 허가 과정 이면의 숨겨진 거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2010년 어느 날, 7명의 의학 연구자와 1명의 환자가 메릴랜드 칼리지(College) 공원에 위치한 매리어트(Marriott) 호텔에 모였다. 혈액응고를 막아 심장마비를(more…)
석학 이태규, 우장춘, 리승기 ‘세 갈래의 인생’ &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 박사가 만들었다? & ‘과학입국’의 길로 안내한 우장춘 박사
(원문) 우장춘은 어려운 시절의 한국에서 세상을 떠나는 날까지 품종개량에 몰두했고, 이태규는 고국을 떠났지만 유타대학에서 많은 수의 한국인 유학생을 받아 지도하였다. 그리고 리승기는(more…)
2015년 뉴스 – 남성 세포로 ‘정자’ 만들어…”2017년쯤 생명 탄생”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최근 프랑스의 한 연구기업이 ‘완전한 기능’을 갖춘 남성의 정자를 실험실에서 ‘탄생’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혀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more…)
‘소리→전기신호 변환’ 청각 통로 단백질 규명
(원문) 미국 하버드의대 등 연구진 논문 달팽이관 특정 단백질의 기능과 구조 밝혀 소리자극 때 전기적 흐름 여닫는 통로 구실(more…)
High-profile journals put to reproducibility test
(원문) Researchers replicated 62% of social-behaviour findings published in Science and Nature — a result matched almost exactly by a prediction market. A(more…)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원문) Craig, Karl 제공 등장한 지 올해로 만 200년을 채운 소설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는 여전히 과학계의 화두다. 프랑켄슈타인은 사실 원작에서 괴물을 만들어(more…)
인공지능이 인간 한계 넘어 제3의 생명역사 열까 & 그런데 인공지능이 도대체 뭐야 & ‘AI 선구자’ 앨런 튜링과 영국의 의미 있는 화해 &&
(원문) “인간보다 뛰어난 기계지능 45년 내 출현할 확률 50%” 한편으로 위험 한편으론 기회…공존의 융합 준비해야 9월 초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세계(more…)
책 소개 – 과학자들의 관찰 노트
(원문) [리뷰] 마이클 R. 캔필드 ‘과학자들의 관찰 노트’ ▲ <과학자의 관찰 노트> 책 표지 ⓒ 휴먼사이언스 이 책을 어떻게 읽게 되었을까?(more…)
다우드나 교수 인터뷰 – “내게 유전자가위는 경이롭고도 두려운 미래”
(원문) [인터뷰] ‘크리스퍼 개발 주역’ 다우드나 교수 “인류에 도움 주는 기술발전 기대 과학과 사회 열린 대화 소통 중요”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more…)
The A to Z of paper authorship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t’s bad news for Z but A is AOK for authors listed alphabetically. PhotoAlto sas / Alamy(more…)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 이유 & 고래가 암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아프리카 코끼리 의학이 발달했다곤 하지만 암은 여전히 무서운 질환 가운데 하나이다. 최근 통계를 보면 한국인 3명 중 한 명은(more…)
MIT가 꼽은 2018 10대 혁신기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인공지능 새 기술 ‘간’, 만능 ‘바벨 피쉬’ 통역기 등 해마다 가을이면 미국 MIT가 발행하는 기술전문지 `MIT 데크놀로지 리뷰‘ 편집진이(more…)
불 붙은 ‘AI vs AI’ 경쟁… 얼마나 더 인간 같은지 겨룬다
(원문) 다양해진 AI 경쟁 이벤트 KAIST, 세계 첫 ‘AI 월드컵’ 경기·해설·기사작성 AI끼리 경쟁 美서 열리는 AI 질의응답 대회 전세계서 참가 열기 뜨거워 인간의 벽 못넘은 분야도(more…)
菌과의 공생 – 생물무기, 주름잡는 ‘회춘신약’으로···균 정복의 역사 & 살아남으려는 ‘먹힌 놈’과 소화불량 ‘포식자’의 사투…공생, 시작은 경쟁이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치명적 맹독 ‘보툴리눔톡신’ 정제 거쳐 ‘보톡스’로 재탄생 체내 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난치병과 연관, 신약개발에 활용 지난(more…)
세포 하나에 들어있는 단백질 숫자는 얼마나 많을까? & “생물학책 다시 써야”…새 세포소기관 발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효모의 일종인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현미경 사진 세포 하나는 대부분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다. 하지만 세포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more…)
지구생명체의 역사 시간표, 새롭게 쓰여지다 & 오직 지구에만 생명체가 살 수 있었던 이유는?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구 생명체의 기원과 생명체 역사를 설명한 새로운 연구가 과학저널 ‘네이처 생태와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 최근호에 발표됐다. 고생물학자들은(more…)
No more excuses for non-reproducible methods
(원문) Online technologies make it easy to share precise experimental protocols — and doing so is essential to modern science, says(more…)
Prioritize the needs of the audience when giving a presentation
(원문) Speakers inadvertently prepare presentations for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audiences. A few mental exercises can help presenters to avoid this(more…)
Searching for the man behind one of the biggest frauds in scientific history – Researcher at the center of an epic fraud remains an enigma to those who exposed him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JAPAN—The first thing that went through Alison Avenell’s head when she heard Yoshihiro Sato had died was that(more…)
Side effects of addiction treatment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4 Aug 2018: Vol. 361, Issue 6404, pp. 761 DOI: 10.1126/science.aau6548 Antiaddiction drugs could help(more…)
Robots help autistic kids interact with adult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4 Aug 2018: Vol. 361, Issue 6404, pp. 763-764 DOI: 10.1126/science.361.6404.763-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more…)
Humans as models of human disease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4 Aug 2018: Vol. 361, Issue 6404, pp. 763-764 DOI: 10.1126/science.361.6404.763-e Mice are a convenient model for exploring(more…)
An ethical way forward for AI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4 Aug 2018: Vol. 361, Issue 6404, pp. 763-765 DOI: 10.1126/science.361.6404.763-q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becoming(more…)
통풍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와 특징은?! & 진화하는 통풍치료제 ‘크라이스텍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오늘 나는 몸신이다의 주제는 최근 20대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통풍’인데요. 유재환 씨도 젊은 나이에 갑작스러운 통풍으로 인해 끔찍한 고통을 겪었다고(more…)
두뇌는 천연 약국, 플라시보 효과를 말하다 & 도파민의 두 얼굴, 욕망회로와 통제회로
(원문) 2003년 중국 티베트 라싸 공항. 3500m 고지라는 동행의 말에 멀쩡하던 머리가 지끈거리기 시작했다. 일정을 취소하고 숙소로 들어가야 했다. 여인숙 수준 호텔에 두통약은커녕 영어가 통하는 직원도 없었다. 그때 방구석에 비닐 마스크가 달린 통이 눈에 들어왔다. ‘Life Saver(생명 구호품)’ 명찰을 보는 순간 안도했다. 방값보다 바가지 수준인(more…)
지구온난화 늦춰도 막을 수 없는 기상이변…”이산화탄소 때문”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현재의 지구 온난화 대책은 주로 기온 상승을 목표치 1.5°C 아래로 제한하는 온도 변화에 맞춰져 있다. 지구가 뜨거워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문제가 일어난다고(more…)
책 소개 – 생명과 사회현상까지 설명하는 물리학
(원문) 자연은 시계처럼 정확하다? 과학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자연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한 법칙에 의해 운행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more…)
가상 현실로 가는 마지막 퍼즐, 후각 기반 엔터테인먼트의 가능성을 찾아서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만화 ‘신의 물방울’에는 교통사고를 당해 수년 째 식물인간 상태로 병상에 누워 있던 남자가 사고 직전 사랑하는 사람과 마셨던(more…)
안쓰는 연구장비, 필요 기관으로 이전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안쓰는 연구장비가 필요한 기관으로 이전돼 활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오는 21일부터 4개월간 대학, 출연연구기관 등에 구축된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활용 실태를(more…)
네이버&대한화학회에서 후원하여 만든 화학주기율표
아래를 클릭하세요~ 네이버&대한화학회에서 후원하여 만든 화학주기율표 네이버&대한화학회에서 후원하여 만든 화학주기율표_9분할
‘생명의 근원’ 물, 외계행성에 생각보다 흔히 존재할수도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지는 물이 태양계 밖 외계행성에 흔하게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의 리(more…)
이카루스의 꿈 & 위대한 로켓 공학자 베른헤르 폰 브라운 향한 엇갈린 평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미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2일(현지시각) 인류 최초 태양 탐사선 파커를 탑재한 로켓을 발사했다. 그리스 신화의 이카루스는 아버지가(more…)
과학자들의 ‘화성 이주 불가론’에 반박나선 일론 머스크
(원문)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겸 테슬라모터스 최고경영자(CEO)의 ‘화성 이주론’에 제동이 걸렸다. 온난화 현상을 통해 화성 이주를 시도할 수 있다는(more…)
120여개 R&D 규정 하나로…’연구개발특별법’ 제정 착수
http://www.etnews.com/20180810000142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120개 넘는 연구개발(R&D) 관리 규정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법령 조문 작업을 시작했다. R&D 과제마다 규정이 달라(more…)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 매일 낮밤이 바뀌어 생활하던 이상훈(29)씨는 백수탈출에 성공하며 지난 달 1일부터 모 제약회사의 영업사원으로 일하게 됐다. 그는 “처음(more…)
암세포의 숨겨진 신호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 과학자들은 엄청난 양의 암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전 연구들에서는 발견되지 못했던 분자 변화를 발견했다. 이것들은 환자(more…)
가뭄 해결할 ‘인공강우·해수담수화’ 기술..어디까지 왔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크게 보기14일 제주시 구좌읍 당근밭이 가뭄에 말라있다. 2018.8.14. 계속되는 폭염으로 땅이 마르는 ‘가뭄’ 피해가 커지면서(more…)
“뇌 냉동해 200년 후 새 삶”…비용은 얼마?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진=123rf.com “200년 후 새로운 세상에서 새롭게 살아볼 수 있을 것” 영국의 한 유력 사업가가 8만 파운드(한화 약(more…)
암세포 끌어당기는 ‘자석 철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미국 스탠퍼드대 약대 연구팀이 암 검진을 위해 종양세포를 잡아내는 ‘자석 철사’를 개발했다. GIB 제공 연구팀은 혈액 속(more…)
Live bacteria deliver crucial enzymes straight to the gut
(원문) A newborn baby is tested for the genetic disorder phenylketonuria, which may be treatable with bacteria engineered to compensate for(more…)
Mini-tumours turn immune cells into cancer fighters
(원문) Tumour ‘organoids’ in lab dishes (left) were seeded with tissue removed from a human lung tumour (right). Credit: K. K.(more…)
CRISPR ‘barcodes’ map mammalian development in exquisite detail
(원문) Genome-editing technique enables researchers to trace lineage of cells in developing mice. Researchers have used gene-editing to track(more…)
Gene-silencing technology gets first drug approval after 20-year wait &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드디어 RNAi 기반의 약이 FDA 승인을 받았군요^^ (원문)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decision breathes new life(more…)
India cracks down on plagiarism at universities
(원문) But some researchers say new rules don’t go far enough. Researchers can be sacked for plagiarizing under the(more…)
Top tips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원문) Credit: Adapted from Gett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s continues to rise, and for good reason: it’s(more…)
인간이 맡을 수 있는 냄새의 종류 & 진화하는 ‘전자혀’, 이제 식감도 느낀다 &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인간은 개처럼 냄새로 마약이나 폭발물을 탐지하지 못하고 연어처럼 냄새로 수천 ㎞ 떨어진 모천으로 회귀하지도 못한다. 후각 능력이 별로인 것이(more…)
생활 속의 과학, 바로 활용하기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미지근한 음료수를 빨리 차갑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일상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과학을(more…)
유전자가위는 만능?…안전성 경고 잇따라
(원문) 유전자치료 안전성 연구 어디까지 유전자가위, 정확히 표적 잘라도 DNA 결실·삽입·재배열 부작용 변이유발 메커니즘 규명 새 과제 가위 작동 이후 세포 대응(more…)
로봇화가 경진대회가 열렸다…우승은?
(원문) ‘2018 로봇아트’에 세계 19개팀 참가 우승은 ‘2전3기’의 클라우드페인터 1880년 폴 세잔의 `레스타그의 집들’을 인공지능이 재해석해 로봇팔로 그린 작품. 로봇아트(more…)
판도라 상자 연 알파고 개발자, 데미스 허사비스
(원문) ‘딥 러닝’ 방식이 인공지능 대세로…인류 신기술 최전선에 선 발명가 인공지능. 이제는 너무 많이 나와서 지겨운 감이 있는 주제인데요.(more…)
뇌에도 찌꺼기 배출하는 림프관 있다…알츠하이머병 치료 단초 될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두뇌 유출’이라는 문구와 함께 뇌의 형상이 담겼다. 두뇌 유출은 유능한 인재가(more…)
中 유전자 가위·줄기세포 연구 속도전… ‘복제약 공장’서 ‘新藥 선진국’ 변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바이오 신기술 연구 활발 CAR-T 임상 美 이어 2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독보적 한국은 생명윤리법 막혀 0건 줄기세포 분야도(more…)
찬란한 마야 문명 멸망으로 이끈 범인은 ‘가뭄’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크게 보기 그간 수많은 추측을 불러 일으켰던 마야 제국의 멸망을 이끈 유력한 ‘용의자’가 정체를 드러냈다.(more…)
‘원자번호 22번 티타늄(Ti)을 소개합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오늘은 요즘같이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는 날의 필수품인 자외선 차단제에 중요한 성분인 원소 ‘티타늄(Ti)’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원자번호(more…)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양자 큐비트 만든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꿈의 물질이라 불리는 육각형의 2차원 나노탄소물질 그래핀(Graphene)으로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를 만들 수 없을까? 그래핀을 폭이 좁은 띠 모양으로(more…)
Reaction combination opens up 3D molecular diversity for drug discovery
(원문) Cycloaddition reactions are powerful tools for synthesizing three-dimensional molecules, but their scope has been limited. A creative solution to this(more…)
Technique to measure the expression dynamics of each gene in a single cell
(원문) A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infer whether the expression of each gene in a single cell is increasing or(more…)
Large deletions induced by Cas9 cleavage
(원문) Nature volume 560, pages E8–E9 (2018) ARISING FROM H. Ma et al. Nature 548, 413–419 (2017)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In a recent publication, Ma et al.1 reported(more…)
Did CRISPR really fix a genetic mutation in these human embryos?
(원문) Researchers provide more evidence for their landmark claim that gene editing rid embryos of a disease mutation — but scientists(more…)
다윈도 몰랐던 물고기 눈의 비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자연의 섬세함과 정교함은 종종 과학의 예상을 뛰어 넘는다. 작디 작은 물고기의 눈을 들여다 본 과학자들이 깜짝 놀란 이유다.(more…)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형편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이 친구들과 식사모임에서 굳이 자기가 밥값을 내겠다고 고집하면(자존심) 옆에서 보기에 부담스럽다. 큰돈을 번 친구가 계산할(more…)
Probing the genetics of the mind
(원문) Douwe Draaisma weighs up Eric Kandel’s study on mental illnesses as brain diseases. Brain imaging, including magnetic resonance(more…)
여자를 남자로 만든 ‘남성화 호르몬’…옛동독의 도핑범죄
(원문) [최강의 약물의 유혹, 도핑의 과학] 단백동화 남성화 스테로이드: 크리거와 튜리나볼 선수 시절 ‘호르몬 하이디(Hormone Heidi)’로 불렸던 안드레아스 크리거. 유튜브 https://youtu.be/KQhUjaiveAg 갈무리 (more…)
책 소개 – “세상은 물리학 법칙이 만든 아름다운 예술작품”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뷰티풀 퀘스천’…세상에 숨겨진 아름다움의 과학 과학의 원리를 알면 세상은 우연의 부조화가 아니라, 필연의 아름다움으로 수렴된다. 각본에 짜(more…)
공부 못하는 아이, 엄마 아빠 유전 탓 아닙니다
(원문) 출처: 전미대학협의회초·중·고등학교의 방학이 시작됐습니다. 요즘은 점수나 등수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고는 하지만 방학식과 함께 선생님이 나눠주는 성적표가(more…)
“파킨슨병 유전자 억제했더니 뇌 활동 정상으로” 연구결과
(원문)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LRRK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 결과, 정상적인 뇌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특정 단백질의 축적도 억제된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발표됐다./사진=헬스조선DB (more…)
스타벅스, 비트코인으로 커피 구매···암호화폐 결제시스템 도입 성큼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3일 스타벅스, ICE·MS·BCG와 손잡고 벡크 설립 발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교환·결제···보증기금도 구축 ICE “규제기관이 비규제 시장에 투명성,신뢰성 제공” 오는 11월 비트코인(more…)
Whales, scales and moons — July’s best science images
(원문) The month’s sharpest science shots — selected by Nature’s photo team. Credit: Cao Yang/Xinhua News Agency/PA (more…)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 마흔살 된 첫 ‘시험관 아기’
(원문) 화학감각은 지구상에 출현한 움직이는 생명체에서 나타난 첫 번째 감각이었고, 오늘날 가장 원시적인 단세포생물이 우리와 함께 공유하는 것은 이 감각뿐이다. –(more…)
‘SF’는 공상과학일까, 과학환상일까 & 중요한 건 호기심…고도로 발달한 ‘창작’은 ‘탐구’와 구분할 수 없다
(원문) 일제강점기 ‘과학소설’로 불리다 남북분단 이후 번역어도 갈라져 남은 일본, 북은 중국 명칭 도입 1992년 중국에서 출판된 조선어 SF도서. 서울SF아카이브 과학적(more…)
별들은 왜 개성없이 모두 공처럼 둥글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블루 마블’. 1972년 12월 7일 달로 향하던 아폴로 17호의 승조원들이 되돌아본 지구의 모습. 천체가 둥근 것은 중력의 작용 때문이다.(출처=NASA)(more…)
자연이 준 힌트, ‘생체모방과학’을 아시나요
(원문) ‘찾아가는 과학관’ 8월6일부터 열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한국과학관협회가 주관하는 ‘2018년 두드림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찾아가는 과학관’이 오는 8월6일부터(more…)
한국R&D관리기관 통폐합…기대·우려 교차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정부가 연구관리 전문기관 통합을 단행했다. 그간 제기된 복수기관 운영체제에 따른 R&D 투자 효율성 저하 문제를 ‘1부처 1기관’으로 푼다는(more…)
Yeast chromosome numbers minimized using genome editing
(원문) Genome-editing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fuse 16 yeast chromosomes to produce yeast strains with only 1 or 2 chromosomes.(more…)
선택된 뉴런들의 연결망…기억의 실체를 보다 & 벌레 신경세포의 연결망 ‘WWW’
(원문) ‘엔그램’ 연구로 본 기억의 과학 형광 기술·광유전학 발전 덕에 기억 형성때 활성 띠는 뉴런 확인 가짜기억 형성·상실기억 회복 등(more…)
일본, 줄기세포 이용 파킨슨병 치료 임상실험 세계 최초 승인
(원문) 일본에서 iPS세포를 활용한 파킨슨병 치료 임상실험을 세계 최초로 승인했다. NHK 캡처 일본 정부가 세계 처음으로 만능줄기세포(iPS 세포)를 활용한 파킨슨병 치료 임상시험을 승인했다.(more…)
원소로 보는 화학사 Vol. 029. ‘원자번호 24번 크롬(Cr)을 소개합니다’ & 원소로 보는 화학사 Vol.043. ‘원자번호 51번 안티모니(Sb)를 소개합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오늘은 색이 아름답고 광택이 좋으며 녹슬지 않는 철! 그러나 반전이 있는 원소 크롬(Cr)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more…)
불량백신 공포 잠재울 블록체인… 공급과정 투명성 높인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거래 정보공유 … 데이터 위·변조 확인 물류·금융·의료시스템 분야로 적용확대 알리건강 등 백신공급망 추적기업 등장 중국(more…)
세상을 10만 배 확장시킨 과학자
(원문) 작은 물질을 크게 확대해 볼 수 있는 렌즈의 원리는 고대 그리스인들에 의해 발견됐다. 그들은 유리잔에 물을 채워서 보면 개미나(more…)
화학기술이 탄생시킨 ‘비건 자동차’
(원문) 친환경 ‘비건 자동차’. 출처=BMW 윤리적인 소비를 뜻하는 ‘비건’(Vegan)이 음식과 패션을 넘어 이제 자동차 분야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비건은 원래 육류는(more…)
‘탄수화물 먹어도 살 안 찐다?’ 英·中 연구진 “비만은 지방 섭취 때문”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진 = 픽사베이 영국 일간 데일리 메일 등은 최근 비만은 지방과 관계 있을 뿐 단백질·탄수화물과는 무관하다는 새로운(more…)
시베리아 영구동토층 선충 4만2천여년 잠에서 깨어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극저온 냉동 과학에 응용 기대..동토층 병원균 우려도 확인 이미지 크게 보기선충 선충 [연합뉴스 자료사진] (more…)
The ethics of computer science: this researcher has a controversial proposal
(원문) Nature talks to Brent Hecht, who says peer reviewers must ensure that researchers consider negative societal consequences of their work.(more…)
KT가 사고 쳤다..세계최초 “블록체인을 통신망 속으로”
(원문)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을 상용망에 적용한 KT 블록체인 발표 KT 블록체인으로 ‘19년 초당 거래량 10만 건 가능 속도(10만TPS) 실현 개별 로그인 대체해 개인정보(more…)
한국, 연구개발 투자 세계 5위…세제 지원은 취약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14475&ref=A 이세돌 9단을 이긴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Alpha Go) 개발에는 얼마나 많은 돈이 투자됐을까? 구글은 지난 2010년 딥 마인드를(more…)
수술 없이 뇌 회로를 켜고 끄는 기술 개발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연구진이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뇌의 신경세포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방식을 쥐에 적용해 기억력에 영향을(more…)
해리포터 투명망토 현실화될까?
(원문) ‘물질 성질’ 알면 성능이 보인다 영화‘해리포터’에서 주인공 해리는 투명망토를 이용해 몸을 숨긴 채 마법학교 호그와트 곳곳을 누비며 비밀(more…)
4차 산업혁명도 나노에 달렸다 &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현재보다 10배 빠른 통신 시스템, 종이처럼 둘둘 마는 디스플레이, 포켓 사이즈의 슈퍼로봇….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혁신(more…)
Optimizing orthogonality
(원문) Nature Chemistry volume 10, pages 802–803 (2018) A new pyrrolysyl-tRNA synthetase/PyltRNA (PylRS/PyltRNA) pair that is mutually orthogonal to existing PylRS/PyltRNA pairs has now been(more…)
Scissoring genes with light
(원문) Nature Chemistry volume 10, pages 800–801 (2018) Enzymes can perform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because of their delicately and precisely organized structures. Now, simple inorganic(more…)
약물1+약물2=? 약물 부작용 예측하는 AI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종류가 다른 약을 2개 이상 한 번에 복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예측하는(more…)
3D 프린팅, 항공기 설계의 새로운 장을 열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부시(Bussi, 왼쪽)와 지암브라(Giambra)는 36세 동갑으로 현재 적층제조 기술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와 마찬가지로 대학에서 3D 프린팅을 배운 적이 없다.(more…)
3D프린팅 기술, 어디까지 왔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일본 만화 ‘도라에몽’엔 4차원 주머니가 등장한다. 주인공은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크기와 모양에 관계없이 이 주머니에서 언제든 쉽게 꺼내 쓴다. 만화를 본(more…)
포유류의 성별을 결정하는 DNA 스위치 발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 포유류의 성별을 결정하는 성 염색체인 Y 염색체에 있는 SRY 유전자는 남성으로 분화 및 고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more…)
All together now…fly!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0 Jul 2018: Vol. 361, Issue 6399, pp. 240 DOI: 10.1126/science.361.6399.240-a Open in new tab Long-exposure photo(more…)
책 소개 – Physics makes rules, evolution rolls the dice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0 Jul 2018: Vol. 361, Issue 6399, pp. 236 DOI: 10.1126/science.aat7776 Open in new tab Open in(more…)
A new portal for patient data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0 Jul 2018: Vol. 361, Issue 6399, pp. 212 DOI: 10.1126/science.361.6399.212 Under pressure to be more transparent about(more…)
Rethinking chemical risk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0 Jul 2018: Vol. 361, Issue 6399, pp. 240-242 DOI: 10.1126/science.361.6399.240-r Modern life relies on vast(more…)
Different species solve problems differently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20 Jul 2018: Vol. 361, Issue 6399, pp. 241-242 DOI: 10.1126/science.361.6399.241-c Open in new tab Tree shrews(more…)
Humans are altering seasonal climate cycles worldwide
(원문) Nearly four decades of global temperature data collected by satellites reveal the atmospheric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Summers(more…)
수십억 년 결정체 다이아몬드, 1주 만에 진짜처럼 ‘뚝딱’
(원문) 메탄·수소 가스로 1캐럿 합성 성공, 가격은 10~15%에 불과 LED·태양전지 가공에도 적용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생산 기업인 영국 드비어스 그룹은(more…)
책 소개 – Summer reads: Darwin’s dilemma on sexual selection, ecology versus empire, and the dark side of the greater good
(원문) Discover deep and illuminating summer reads picked by our regular reviewers, leagues away from lab and lecture hall. (more…)
Listen: AI robot mixes chemicals to discover reactions
(원문) Automated machine conducts, assesses and learns from experiments with random reagents. Reporter Adam Levy talks to chemist Lee(more…)
실리콘밸리의 인터넷 정화운동 & ‘IBM왓슨’이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자 생긴 일 & 의사들은 왜 IBM 인공지능 ‘왓슨’을 외면했을까… ‘XAI’가 중요한 이유 &&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실리콘밸리의 인터넷 정화운동>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수 천명의 콘텐츠 검열 직원들을 고용하고 있다. 이들은 홍수처럼 넘쳐나는 가짜 뉴스와(more…)
Histidine metabolism boosts cancer therapy
(원문) Clinical use of the anticancer drug methotrexate can be limited by its high toxicity. It emerges that a diet rich(more…)
CRISPR gene editing produces unwanted DNA deletions
(원문) DNA-cutting enzyme used for genetic modification can create large deletions and shuffle genes. Gene-editing experiments with human(more…)
‘트랜스 지방’의 역사를 아시나요?
(원문) ‘트랜스 지방’이 무엇인지 알고 있나요? 신문이나 방송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화학물질 중 하나인 트랜스 지방! 트랜스지방은 액체인 식물성 기름을(more…)
Gene editing gets a head start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3 Jul 2018: Vol. 361, Issue 6398, pp. 142 DOI: 10.1126/science.361.6398.142-b The development of gene-editing technologies(more…)
Engineering multilayered cellular structure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3 Jul 2018: Vol. 361, Issue 6398, pp. 141-143 DOI: 10.1126/science.361.6398.141-k The ability to program(more…)
Learning from different discipline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3 Jul 2018: Vol. 361, Issue 6398, pp. 138 DOI: 10.1126/science.aau1692 If you knocked on Heaven’s door,(more…)
Double trouble at the beginning of life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3 Jul 2018: Vol. 361, Issue 6398, pp. 128-129 DOI: 10.1126/science.aau3216 Every human life begins with the(more…)
뇌과학 이야기 – 몸과 마음의 구분
(원문) 미국에서 약리학 수업을 들을 때의 일이다. 교수님은 신약 개발 과정을 설명하면서, 임상실험에서 후보 약물의 효과가 플라시보 효과보다 더(more…)
이게 식물이라고? 식물의 놀라운 위장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주변 환경에 따라 위장한 코리달리스 헤미디센트라. 위장술은 많은 동물에게 유용한 생존 수단이다. 천적의 눈을 피하고 먹이가(more…)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성 자폐증 누그러뜨린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태어났을 때 별 이상이 없었어도 자라면서 말과 보행이 더딘 아이가 있다. 여기에 관심사가 제한적이고,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모습을(more…)
줄기세포·유전자가위로 불확실한 진단 해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스탠퍼드 의과대학 조셉 우 교수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만든 심장세포와 유전자 가위로 심장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의 양성·음성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는(more…)
기술공포 유발 애니메이션에 과학계 우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영화감독이면서 시나리오 작가인 브래드 버드(Brad Bird)는 2005년 그가 감독한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The Incredibles)’로 아카데미 애니메이션 상을 받은 바 있다.(more…)
뒤집힌 ‘마시멜로 실험’ … 아이 의지보다 환경이 더 중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자 유혹 견딘 아이가 공부도 잘해 60년대 실험, 교육·학부모에 영향 뉴욕대 연구팀 다른 결과 논문 발표 부모 학력이나(more…)
A path to efficient gene editing
(원문) Nature Medicine volume 24, pages 899–900 (2018) Signaling by the tumor-suppressor protein p53 antagonizes CRISPR–Cas9 gene editing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and(more…)
이것 없으면 노화도 없다, TXNIP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모든 세포와 유기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된다. 왜 이렇게 되는 걸까?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독일암연구소(DKFZ) 연구진은 노화 과정에서(more…)
바닷물에서 우라늄 캐낸다…흡착 기술 개발
앱타머를 이용해서 용액 속의 우라늄 이온을 추출한 예도 있습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바닷물에서 채취에 성공한 우라늄 (출처=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흡착식 채취(more…)
원자 사이 텅빈 공간 압축하거나 늘리면 개미만큼 작아지고 거인도 될 수 있을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 영화 ‘앤트맨과 와스프’로 본 양자역학의 세계 입자 영역 띄엄띄엄 존재 신체 마음대로 조절 못해 질량보존법칙과도 어긋나 양자(more…)
원자는 어디까지 커질 수 있을까?
(원문) 가장 최근에 추가된 4개의 원소. Credit: Erin O’Donnell and Andy Sproles 원소 주기율표가 등장한 지 150년 만에 인류는 118번까지 원소를 추가했다. 이 가운데(more…)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원문) 우리는 누구나 하나의 세포에서 출발하고 수많은 종류의 세포로 끝난다. 하지만 세포 안에 들어있는 유전자의 종류는 언제나 처음과 같다. 어떤 의미에서(more…)
Max Planck astrophysicist at centre of bullying allegations speaks up
(원문) Top German institute plans to release results of a survey that will shed light on bullying issues. (more…)
How to start a lab when funds are tight
(원문) Getting hold of the right equipment can be costly, so here’s a primer for cash-strapped principal investigators. (more…)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왜 대세가 됐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공개 SW, 상용 SW 개발의 핵심…개발 기간 획기적으로 단축 공개 SW, 기술혁신 가속화…최신 기술 축적 가능케 하기 때문 기업들, 공개 SW 통해 자사 저변(more…)
카카오, 인공지능 플랫폼 개방한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석영 카카오 인공지능서비스팀장 밝혀 “외부 파트너들도 기능 추가할 수 있게” “카카오 미니 준비한 물량 20만대 완판 하반기 디자인(more…)
Factors that make an impact
(원문) Nature Nanotechnology volume 13, page 525 (2018) Number of citations in academic papers is not always a good measure for the influence of applied(more…)
From an idea to a technology
(원문) Nature Nanotechnology volume 13, pages 528–530 (2018) Nature Nanotechnology has asked Jong-Hyun Ahn, Yi Cui and Hagan Bayley, corresponding authors of the three papers published(more…)
지구는 왜 기울어졌을까? – 자전축 기울기에서 계절이 생긴다
(원문) 지구 자전축.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흰색 화살표 방향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한다. 이 자전축이 23.5도로 기울어져 있어 사계절이 생긴다.(출처=Wiki)(more…)
날개 없는 선풍기의 원리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날씨가 더워지고 많은 분들이 선풍기와 에어컨을 준비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요즘 출시되는 선풍기는 과거와는 다르게 제품, 사양, 작동(more…)
비눗방울이 어는 모습
Watch soap bubbles freeze in real time Bubbles freezing at -26°C 비눗방울이 어는 순간
2045년 평균수명 130세…생명 연장의 꿈 이룰까 & 나는 얼마나 살까? DNA에 숨은 비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학발전이 낳은 ‘장수사회 빛과 그림자’] 장수 유전자 복제·늙은 세포 제거술·생체 이식 등 의료기술·신약 진화···이론상150세까지 생존 가능 나이는 숫자에(more…)
머스크·저커버그의 뇌 연구 1년… “생각만으로 컴퓨터 명령 가능해질 것”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학 이야기 뇌와 컴퓨터를 잇는다 머스크, 뉴럴링크 설립 뇌 기능 강화하는 초소형칩 개발 AI시대, 인간 업그레이드 나서 저커버그도(more…)
믿었던 천연가스의 배신… “메탄 누출로 지구 온난화 초래”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과학 이야기 해마다 생산량의 2.3% 누출 4% 달하면 석탄보다 기후 악영향 청정에너지로 평가받아온 천연가스가 지구온난화를(more…)
Autonomous vehicles: No driver…no regulation?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06 Jul 2018: Vol. 361, Issue 6397, pp. 36-37 DOI: 10.1126/science.aau2715 According to the latest statistics(more…)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 또 하나의 시험대 통과하다 & 아인슈타인 이론 또 증명…빅뱅 10억년 후 ‘시간 지연’ 포착
(원문) 국제공동연구진 “삼중성계 관측 통해 일반상대성이론 등가원리 확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general theory of relativity)이 또 하나의 엄정한 시험대를 통과했다. 네덜란드 전파천문학연구소 앤 아치볼드 박사가 이끄는(more…)
사람 배아줄기세포로 원숭이 심장병 고쳤다
(원문) 美 연구팀, 심장근육세포로 배양… 원숭이에 이식 후 근육 형성 확인 미국 과학자들이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 원숭이의 심장병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more…)
콩코드의 오류 – 실패와 교훈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크게 보기앞코 부분을 내리고 착륙하는 콩코드기.[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콩코드(Concorde)’의 모습은 독특합니다. 길쭉한 기체에 삼각형(more…)
극지생물 유전자 넣으니…추위에 끄떡없는 벼
(원문) 극한 추위 극복한 극지생물 결빙 억제 단백질 추출해서 장기·줄기세포 보존제 활용 남극식물서 뺀 저온유전자 주입후 추위에도 벼 잘 자라(more…)
Beyond epigenetics
(원문) Extended Heredity: A New Understanding of Inheritance and Evolution Russell Bonduriansky and Troy Da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302 pp. (more…)
Getting it right on GMO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eeds of Science: Why We Got It So Wrong on GMOs Mark Lynas Bloomsbury Sigma, 2018. 304 pp. Science 29 Jun(more…)
직접 전기 연결없이 자체발광 형광등, 마술일까? 과학일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형광등처럼 깜빡깜빡한다.’ 건망증 때문에 자주 중요한 것을 잊어버릴 때 종종 사용하는 표현이죠. 형광등을 켜고 끄거나, 형광등 수명이 다해갈(more…)
X-RAY 검사, 우리 인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X-Ray 검사, 우리 인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방사선은 공기나 물처럼 우리와 늘 함께 있어요. 자연의 일부인 셈이죠.(more…)
앗!실수…그런데 놀라운 발명?
(원문) 캐러더스가 발명한 나일론으로 만든 여성 스타킹은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끕니다.[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위대한 발명·발견과 실수의 차이는 종이 한(more…)
MS, 태블릿PC 접는다
태블릿PC 사업을 접는다는 것이 아니군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MS의 비밀 프로젝트 ‘안드로메다’ 유출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PC PC·모바일 경계를 오가는 디바이스(more…)
There’s no limit to longevity, says study that revives human lifespan debate
Old questions, new answers! 인간의 수명은? (원문) Death rates in later life flatten out and suggest there may be(more…)
스스로 주기율표 만든 인공지능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스탠퍼드대학교 연구진은 단어를 분석하는 인공지능(AI)으로 서로 다른 원자를 구별하고 화학적 속성대로 묶어 주기율표를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2018. 06) (more…)
운행 중 변신하는 ‘마법의 자동차 휠’ 화제 & 펑크 안나는 우주타이어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626084159&type=det&re=zdk 美 DARPA, 운행 2초 만에 모양 변신 (지디넷코리아=이정현 기자)미국 국방부 산하 기술연구기관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운행 중에도 자동차 휠 모양을 바꿀 수(more…)
CRISPR with a heart of gold helps ailing mice
(원문) Gene-editing molecules ride gold nanoparticles into the brain. Expression of a protein (blue-green, left) associated with fragile X(more…)
일본 연구팀, ‘졸음의 정체’ 마침내 규명
(원문) 신경세포 단백질 변화가 원인…기존 가설 첫 ‘구체적’ 설명 졸음이 오는 이유는 신경세포의 80종에 이르는 단백질군(群) 변화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more…)
카이스트 ‘원자력학과 전공선택 0명’ 쇼크
정책에 영향받고 있는 과학계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예이군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전학기엔 725명중 5명만 선택 해마다 20명선 유지하다 급감 주요 대학 전공자도(more…)
“그래핀 이용해 DNA 분석할 수 있다” 美 연구팀 주장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3줄 요약 1. 그래핀을 쌓아 양 옆에서 압력을 주면 표면에 톱니 모양으로 비틀리며 강한 전하가 생성되는 현상이 발견됐다.(more…)
이유 없이 살 찐다 했더니 잠자리 ‘빛’ 때문이라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밤에 TV를 보다가 잠이 들거나 깜빡 불을 켜고 잠 든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하지만(more…)
식물이 어떻게 시간을 인지하는가, 생체시계의 비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식물은 어떻게 시간을 인지할까 지금으로부터 거의 300년 전인 1729년 프랑스 천문학자 장–자크 도르투 드 메랑은 낮에는 잎을 펼치고 밤에는 접는(more…)
Microsoft’s purchase of GitHub leaves some scientists uneasy
(원문) They fear the online platform will become less open, but other researchers say the buyout could make GitHub more useful.(more…)
Twenty years of network science
(원문) The idea that everyone in the world is connected to everyone else by just six degrees of separation was explained(more…)
Oaks last 800 years with help of DNA double take
(원문) The long lifespan of the pedunculate oak, also known as the English oak, may stem from an extra helping of(more…)
How cells imprison viruses in molecular cages
(원문) Vaccinia virus particles (pictured) can be immobilized — at least temporarily — by host cells. Credit: Dr Klaus Boller/SPL(more…)
Gene important in pregnancy shows evolution in action
(원문) Childbirth and pregnancy might be influenced by variations in the progesterone-receptor gene, which shows wide diversity in humans. Credit:(more…)
To make plastic, just add blood
(원문) Red blood cells contain the iron-based molecule haemoglobin, which has now been harnessed to synthesize plastic. Credit: David Gregory(more…)
Talking to Pauling’s ghost
(원문) Nature Chemistry volume 10, pages 688–689 (2018) Michelle Francl dusts off Pauling’s notes on bonding to explore the illusory link between electron promotion(more…)
1971년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조작됐다?
또 하나의 재현이 불가능한 심리학 실험의 예일까요 아니면 당시 실험 참가자로 고약한 간수 노릇을 했던 데이브 에셜먼의 거짓 증언일까요? 짐바르도 교수의 ‘잘 해주었다,’(more…)
아즈텍 문명의 신비, ‘해골의 벽’의 정체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멕시코 지역의 고대 문명 이야기가 6월 3째주 학술지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가로로 막대가 꿰어진 해골 그림과 ‘아즈텍의 인신 공양 (Aztec(more…)
Genetically modified bacteria enlisted in fight against disease
이제 질병 치료를 위한 GMB (genetically modified bacteria)인가요? (원문) Engineered strains of E. coli and other microbes are being tested in(more…)
천재 아니면 광인? 뉴턴은 어느 쪽이었을까?
(원문) 고전 과학의 혁명은 단발성 사건이 아니라 1550~1700년에 걸쳐 다양한 분야가 집약적으로 발전한 하나의 ‘부흥기’였다. 특히 물리학과 수학, 천문학은 이 기간 동안(more…)
‘빅데이터’가 알려주는 화학물질 독성정보 – 인실리코 독성학 이야기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기술의 놀라운 발전은 전혀 상상할 수 없었던 미래의 모습을 하나씩 눈앞에 펼쳐갑니다. 거대한 정보와 촘촘한 네트워크로 구축한 빅데이터는 4차(more…)
De novo DNA synthesis using polymerase-nucleotide conjugates
(원문) Published: 18 June 2018 Nature Biotechnology Abstract Oligonucleotides are almost exclusively synthesized using the nucleoside phosphoramidite method, even(more…)
1억년 전 호박에 갇힌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무려 9900만 년 살았던 작은 고대 개구리 4마리가 ‘영원한 무덤’에 ‘봉인’된 채 학자들에게 발견됐다. 최근 미국 플로리다 자연사박물관(more…)
해부학자가 재구성한 ‘완벽한 인체’는 어떤 모습일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동물들의 우수한 특성 조합해 제작 귀는 고양이, 눈은 문어, 다리는 타조 압권은 아이 낳는 캥거루 주머니 “가장 만족”(more…)
삼성 4400억대 핀펫 특허 배상 평결에 반도체 업계 ‘일파만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삼성전자가 반도체 특허침해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4억달러(약 4400억원)을 물어줘야 한다는 미국 배심원 평결이 나왔다. 1심 판결이 아닌 배심원 평결이지만 통상적으로(more…)
누구나 쓰는 GPS, 왜 공짜일까?
(원문) 처음 가는 길도 척척 찾아주고, 산에서 방향을 잃어도 위치를 알려준다. 매일 쓴다 해도 과언이 아닌 GPS 위치 정보 얘기다. 이렇게 유용한 정보를(more…)
머리는 비둘기, 몸통은 물고기… 바다서 건진 괴생명체(영상)
가짜뉴스일까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진=유튜브 캡처 비둘기 머리 모양을 한 물고기가 카메라에 포착됐다. 12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중국(more…)
Animals feel safer from humans in the dark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ience 15 Jun 2018: Vol. 360, Issue 6394, pp. 1185-1186 DOI: 10.1126/science.aau1311 Summary About 75% of Earth’s land(more…)
Tackling microtubule-tau interactions
(원문) Science 15 Jun 2018: Vol. 360, Issue 6394, pp. 1198-1200 DOI: 10.1126/science.360.6394.1198-n Alzheimer’s disease is a major cause of death(more…)
The battle behind the periodic table’s latest additions
(원문) Four new elements were added in 2015 with great fanfare — but some researchers complain the announcement was premature. (more…)
우주에 울려 퍼지는 음악의 비밀을 푼, 피타고라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피타고라스! 이 이름이 낯선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수학의 ‘수’ 자도 가까이하기 싫은 수포자라 할지라도 이 이름은(more…)
DNA가 돌쇠처럼 행동하는 현상 발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미국 과학자들이 전류가 흐르는 젤 안에서 DNA같은 거대 분자들이 확산되지 않고 고정돼 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유전자 치료나 약물 치료 등에서(more…)
“세계 최대 CO₂ 배출 도시는 서울”
(원문) [그래픽] “세계 최대 CO₂배출 도시는 서울”[노르웨이 연구팀] 전세계 1만3천개 도시 분석…2·3위는 광저우·뉴욕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전 세계 1만3천여(more…)
Faecal transplants could help preserve vulnerable species
(원문) New gut bacteria can expand the diet of animals like koalas and rhinoceroses. Koalas can be very picky(more…)
원소로 보는 화학사 ‘원자번호 86번 라돈(Rn)을 소개합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난번 ‘원소로 보는 화학사’에서는 사진감광제인 브로마이드에 이름을 남긴 원소이면서 고귀한 빛깔을 띠고 있지만 반전있는 냄새를 풍기는 원소 ‘브로민’에 대해(more…)
The artist who walked on the Moon: Alan Bean
(원문) Richard Taylor pays tribute to the Apollo astronaut who beautifully meshed science and art. Apollo 12 astronaut(more…)
A simple test helps pinpoint a baby’s arrival date
(원문) Prenatal ultrasound is the gold standard for determining gestational age, but a blood test for(more…)
경희대 의과대학 교수들이 만든 의학 만화
(원문) 의과대학 교수들이 만든 의학 만화 경희 의료원의 해당 교수님들이 감수하여 출판된 책자를 영상으로 옮긴 의학 만화입니다. ※ 병명을 클릭 (more…)
Background levels of methane in Mars’ atmosphere show strong seasonal variations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Measuring martian organics and methane The Curiosity rover has been sampling on Mars for the past 5 years (see(more…)
‘S-S 결합좀 끊어주세요’의 의미는? 파마 속에 담긴 재미있는 화학 이야기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바야흐로 여름의 시작 6월입니다. 계절이 바뀔 때면 괜히 헤어 스타일을 바꾸고 싶은 충동이 들곤 하죠. 특히 여름에는 긴(more…)
열쇠의 원리(유튜브)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구글 I/O 2018] 이제 진짜 말귀를 알아듣는 구글 인공지능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8일 (현지시각) 구글I/O 2018이 열렸다. 장소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구글 본사 바로 옆에 있는 쇼라인 앰피씨어터였다. 순다 피차이 구글(more…)
100년 기업 몬산토 역사속으로…바이엘 “67조원에 인수 마무리”
(원문) ‘농업 왕국’으로 불리는 미국의 종자기업 몬산토(Monsanto)가 독일 기반의 다국적 화학·제약 기업인 바이엘(Bayer)에 매각된다. 총 인수대금은 630억 달러(67조4100억원)으로, 독일 역사상 가장(more…)
Aoccdrnig to a rscheearch ~
Do you understand the following sentences? Aoccdrnig to a rscheearch at an Elingsh uinervtisy, it deosn’t mttaer in waht oredr the ltteers(more…)
책 소개 – 빅뱅에서 인간까지_우주, 생명, 문명
마그나 히스토리아 연구회 저 | 청아출판사 | 2017년 11월 10일 출간일 2017년 11월 10일 쪽수,무게,크기 416쪽 | 713g | 154*224*30mm ISBN13 9788936811099 ISBN10 8936811096 (more…)
이상하고 기묘한 생명체들 – YouTube
지난 10년간 해안으로 밀려온 이상하고 기묘한 생명체 8가지 – YouTube 전문가들도 곤란해하는 15종의 해양생물! 바다는 신비로 가득차(more…)
Sanger Method of DNA Sequencing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원리(Youtube)
The Sanger Method of DNA Sequenc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원리 Illumina Applied Biological Materials(more…)
HPV and the New Vaccine (youtube)
HPV and the New Vaccine
Oxygen Transport (youtube)
Oxygen Transport or click here~
Gas Exchange (youtube)
Gas Exchange (1/2) or click here~ Gas Exchange (2/2) – Smoke or click here~ (more…)
Cnidarian (sea anemone and jelly fish) (youtube)
Cnidarian (sea anemone and jelly fish) or click here~
Microarrays (youtube)
Microarrays or click here~ DNA Microarrays or click here~ Microarray Method for Gene Targeting or click(more…)
DNA Fingerprinting (youtube)
DNA Fingerprinting or click her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youtube)
PCR or click here~
microRNA formation and function (youtube)
microRNA formation and function or click here~
RNA Interference (RNAi) (youtube)
RNA Interference (RNAi) RNAi (1/2) or click here~ RNAi (2/2) or click here~ (more…)
Gene Expression (youtube)
Gene Expression or click here~
lac Operon (youtube)
lac Operon or click here~
Gene to Protein (youtube)
Gene to Protein
“바보같은 연구란 없다… 한국 과학자 더 과감해져야”
(원문) 특별강연 –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울산과기원 특훈교수 ‘화학계의 알파고’ 개발 특허 피할 화학물질 합성법 AI가 10분 만에 찾아내 [ 배태웅(more…)
피부처럼 늘어나는 ‘전자피부’ 로봇 개발
서울대 홍용택 교수님이 전자피부 로봇에 관한 내용으로 Science Robotics에 논문을 냈군요^^ (원문) (지디넷코리아=김태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피부처럼 늘어나는(more…)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3개 유전자 규명
(원문) 대뇌피질 신경세포 늘려 인지발달 촉진 DNA 구조[자료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과학자들이 인간의 두뇌를 크게 만들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more…)
3D 프린터로 인공각막 만들어냈다
(원문) 영국 뉴캐슬대학 연구팀, 바이오잉크+줄기세포 결합 3D 프린팅 기술이 의학 기술과 접목돼 멋진 결과를 만들어 냈다. IT매체 매셔블은 30일(현지시간) 영국 뉴캐슬(more…)
참새가 고압선에 감전되지 않는 이유
(원문) 까마득한 높이의 고압송전선 위에서 작업 중인 노동자들의 모습.[사진=EBS 화면캡처]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전선 위의 참새’란 영화 보셨나요? 뭔가 대단한 메시지를 던지는(more…)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원문) 습관은 고치기 어렵다고들 하고 심지어 ‘인간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어떤 계기로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거나 어떤(more…)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인장력 비밀 풀렸다
(원문) 日연구팀, β병풍구조 형성 과정 규명 거미줄[자료사진][D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일본 과학자들이 강철보다 몇 배 더 강하다는 거미줄의 비상한(more…)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원문)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추운 계절이 된 뒤에야 소나무,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는 논어의 글에 영감을 받아 그리고 글을 썼다.(more…)
Fifty years since DNA repair was linked to cancer
(원문) In 1968, a defect in DNA repair was found to underlie a disorder that makes people extremely sensitive to sunlight.(more…)
Who gets credit? Survey digs into the thorny question of authorship
(원문) Most researchers agree that drafting papers and interpreting results deserve recognition — but opinions don’t always match authorship guidelines. (more…)
Huntington’s disease: 4 big questions
(원문) Although potential treatments are now entering the pipeline, the molecular cause and progression of Huntington’s disease continue to elude researchers.(more…)
손가락 관절 ‘두둑’ 소리의 미스터리
(원문) 거친 남자들 세계를 다룬 영화에는 주인공이 몸싸움을 앞두고 손가락 관절을 꺾어 ‘두둑’ 소리를 내며 기선을 제압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more…)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원문)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와 독일의 하이젠베르크 등이 양자론을 처음 제기한 것이 1920년대 말이다. 1960년대 양자 역학이 학문의 한 영역으로(more…)
암세포도 하는 ‘테더링’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무선 인터넷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인터넷에 연결해야 할 때, 흔히 휴대전화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이용한다. 휴대전화와 다른 기기를(more…)
뇌 들여다보기 – 기억을 만드는 해마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해마는 대뇌변연계(limbic system)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서 측두엽 안에 자리 잡고 있다. 해마는 새로운 사실을 학습하고 기억하는 기능을(more…)
Photosynthetic artificial organelles sustain and control ATP-dependent reactions in a protocellular system
서강대 신관우 교수님이 광합성 인공 세포에 관한 내용으로 Nature Biotechnology에 논문을 내셨군요^^ (원문) ABSTRCT Inside cells, complex metabolic(more…)
네이처의 돌직구…성체줄기세포 효과 과대포장 안돼
(원문) Stem-cell tests must show success Japan needs to demonstrate that a promising therapy for damaged hearts works as claimed. (more…)
반은 사람, 반은 닭…인공 배아 제작 논란
(원문) 반은 사람, 반은 닭…인공 배아 제작 논란 끔찍한 공상과학(SF) 영화에나 나오는 이야기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미국의 과학자들이 인간과 닭을(more…)
철·거미줄 뛰어넘은,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생체물질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 스웨덴 연구원들이 이끄는 연구진이 독일 전자가속기연구소(DESY)의 X선 광원인 PETRAIII를 이용해서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 중 가장 강력한 생체물질을(more…)
Heredity beyond the gene
(원문) Nick Lane relishes Carl Zimmer’s history of inherited traits in all their messiness, from genes and culture to epigenetics. (more…)
How gut microbes are joining the fight against cancer
(원문) The intestinal microbiome seems to influence how well some cancer drugs work. But is the science ripe for clinical trials?(more…)
How to fit in when you join a lab abroad
(원문) Cultural differences can be both stimulating and challenging for researchers working or studying in a foreign country. (more…)
Synthetic yeast genome reveals its versatility
(원문) A redesigned yeast genome is being constructed to allow it to be extensively rearranged on demand. A suite of(more…)
Battery의 원리, 기본을 파헤치자 – 전기화학 기초편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20대 몸으로 130세까지 생존…불로장생 가능하다
(원문) 사진=123rf.om 미국 하버드대학 스타트업 연구기업이 20대의 몸으로 130세까지 살 수 있는 ‘불로장생’의 방법을 찾는 연구를 이미 시작했다고 밝혔다.(more…)
당신이 꼭 알아야할 세포에 대하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인공지능의 의인화, 그 가능성과 경계에 대하여
(원문) 최근 알파고와 인공지능 스피커로 인해 실생활에 깊게 파고들고 있는 인공지능(AI).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속 차별화의 핵심인 ‘의인화’에 대해(more…)
현대인 두뇌의 절반 크기 ‘초기인류 뇌’ 미스터리 풀다 & ‘7번째 父子’ 수상, 스반테 파보는 누구?
(원문) ‘호모 날레디’ 뇌 3D로 복원-분석… 작지만 의사결정부분 비중은 비슷 현대인 152명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뒤 평균 값을 3차원(3D) 형상으로(more…)
모터·배터리 없이 움직이는 로봇
(원문) 모터와 배터리 없이 온도 변화만으로 물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됐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 공동연구팀은 최근(more…)
뇌 질환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요약]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 궈홍 추이 박사팀은 뇌 속 뉴런의 활동을 그룹별로 구분해 관찰할 수 있는 ‘SRFP’ 기술을(more…)
Fine-tuned for image formation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Scallops have multiple reflective eyes (blue) in their mantle. CREDIT: DAVID LIITTSCHWAGER/NATIONAL GEOGRAPHIC CREATIVE We typically think(more…)
You can’t believe this, I think.
아래를 클릭하세요~ externalFile-7.gif
Why your feet slip and slide on ice
(원문) Ice is slippery because molecules in the surface layer are only loosely bound to each other. Credit: Getty Why(more…)
문어가 외계에서 왔다고? & ‘천재’ 문어의 비밀… 뇌에서 인간 유전자 발견 & 기후변화에도 오히려 개체수 증가하는 오징어의 비밀
(원문) ‘범종설’ 논문, 학술지 게재되며 논란…“문어의 조상 유전자, 운석 타고 왔다” 문어는 신경세포가 몸 전체에 퍼져 있으며, 피부색을 바꾼다. 최근의 연구에서는(more…)
법원 “인공수정해 얻은 자녀, 낳아준 대리모가 친어머니”
(원문) “부모 결정 기준은 ‘출산’…임신·출산 정서적 유대도 모성으로 보호해야”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대리모를 통해 자녀를 얻은 경우 아이의 민법상 친어머니는(more…)
재료 발견·의료에 머신러닝 결합하면…
머신러닝은 인공지능과 이미지 인식 기술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에선 머신러닝을 활용해 금속 유리 합성 패턴을 이전보다 무려 200배나(more…)
GMO에 관하여 (유튜브) & 안전할까? 위험할까? ‘GMO’ 논란과 진실
지식채널e – GMO 노벨상 수상자 ‘GMO’ 지지 이유는? / YTN 사이언스 또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안전할까?(more…)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원문) 장미는 어떻게 꽃의 여왕이 되었나 – 사진 GIB 제공 여름의 마지막 장미(The Last Rose of Summer) 여기 홀로 피어있는 건 여름의(more…)
Nine pitfalls of research misconduct
(원문) Academic leaders must audit departments for flaws and strengths, then tailor practices to build good behaviour, say C. K. Gunsalus(more…)
컴퓨터 관련 – C#으로 만들어 본 시약관리 프로그램
C#으로 시약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봤습니다. 아래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ChemInventory.zip (more…)
Robotic assembly of artificial nanomaterials
(원문) An automated robotic system is capable of assembling 2D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s of unprecedented complexity in a timely fashion.(more…)
Blood, sweat and tears in biotech — the Theranos story & 혈액 한 방울로 희귀유전질환 50개 잡아낸다 &&
(원문) Eric Topol extols a gripping account of the rise and fall of the US medical-testing company. Elizabeth Holmes, chief executive(more…)
과학이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 미래의 과학 by POSTECH 교수님
과학이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 미래의 과학 (2014년 5월 16일) 1. ‘과학의 한계라고 하는 것들’에 대한 오해 많은 이들이(more…)
생물학과 사회학의 ‘위험한’ 동거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생물학과 사회학의 ‘위험한’ 동거 사회생물학 논쟁 – 유전이냐 환경이냐 사회학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사회가 가지고 있는 그 독특한 표현(more…)
사회생물학과 유전학적 결정론 & 생물학과 사회과학의 불편한 만남
(원문) 사회생물학과 유전학적 결정론 인간의 유전자 조작 문제를 둘러싼 논쟁뿐만이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지식 후광을 입은 사회생물학 역시 사회적으로(more…)
사회생물학은 사이비과학인가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 글은 사회생물학(Sociobiology) 또는 진화심리학(Evolutionary Psychology) 또는 신다윈주의(New Darwinism)라고 불리는 학문에 대해 다룬다. 세 가지 표현(또는 학문)을 구별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에서는(more…)
생명의 기원에 관한 소고
(원문) 생명의 역사 38억 년 동안 진화에 진화를 거쳐 등장한 호모 사피엔스만큼 지구를 압도적으로 지배한 생명체는 없을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의 위대함(more…)
‘환원주의’에 관한 나무위키의 내용 – 2018년 5월 14일 현재
(원문) xkcd 435화 ‘Purity’[1] 사실 저 모든 것 위에 철학이 들어가면 게임 끝 1. 설명 2. 유물론과의 관계 2.1. 수리철학 2.2. 심리철학(more…)
RNA에 있는 정보를 이용한 단백질 합성: 전사(transcription)과 번역(translation) (동영상)
전사(transcription)과 번역(translation): 아래를 클릭하세요~ From RNA to Protein Synthesis
DNA가 무엇일까? (동영상)
DNA에 관한 동영상 몇 가지 WHAT IS DNA? DNA 60년 (동아사이언스)
Cancer-killing viruses show promise — and draw billion-dollar investment
(원문) Encouraging trial results spur interest from researchers and drug giants. Researchers are trying to boost the effectiveness of(more…)
Write fiction to discover something new in your research
(원문) Creative writing can help you to approach your science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erspective — and boost its impact, says(more…)
방사선, 때로는 약이 되는 독 & 알로에가 왜 거기에? 논란의 WHO 발암물질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삶에서 평균 인구보다 더 많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사람들은 건강과 질병, 수명과 관련하여 늘 연구 대상이 됩니다. 타이페이에서처럼 방사능이 나오는 건물에 사는 사람들뿐 아니라, 원자력 산업이나 핵의학, 영상의학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 원전 사고 생존자들, 1945년 일본의 원폭 생존자들도 그 예입니다. 자연방사 수치가 높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5월 3일, SBS에서 보도한 “유명 침대서 ‘1급 발암물질’ 라돈 대량 검출”에서 다뤄지는 라돈 또한(more…)
정자·난자 없이 쥐 줄기세포로 인공배아 성공 & 정자·난자 없이 만든 ‘인간 합성 배아’… 受精 이후의 ‘神의 비밀’ 풀리나
(원문) 네덜란드 연구팀 “임신초기 유산 연구에 도움 기대” 정자와 난자를 이용하지 않고 실험실에서 쥐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처음으로 인공배아(artificial embryos)를 만들었다는 연구 결과가(more…)
‘빅뱅’이 성서의 ‘천지창조’일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 빅뱅의 물증인 우주배경복사. 미 항공우주국(NASA)의 WMAP이 측정한 우주배경복사 이미지. 138억 년 동안 우주공간을 떠돈 빅뱅의 잔광이다. (사진=NASA/WMAP(more…)
美 분석 장비업체 ‘일루미나’ 제이 플래틀리 회장: ‘미래의 금광’ 유전자 분석시장 70% 거머쥔 남자
(원문) 유전자 혁명의 시대가 열렸다. 이를 이끈 주역은 바로 유전자 분석 장비 분야의 세계 1위 기업 ‘일루미나(illumina)’. 제이 플래틀리(more…)
[크레이그 벤터 휴먼 롱제비티 회장 인터뷰] 20대 같은 60대 시대 온다
(원문) 세계 최초로 인간 게놈지도 발표… 크레이그 벤터 ‘휴먼 롱제비티’ 회장 그는 68세 때 새 회사를 창업(創業)했다. 키 190㎝가량에(more…)
대학생들 괴롭힌 천재 수학자, 덕분에 스마트폰 잘 쓰네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佛학자 푸리에 탄생 250주년 고아 출신이지만 뛰어난 재능 54세때 푸리에 급수·변환 완성 디지털·AI 등 현재까지 큰 영향 (more…)
과학적 사실의 신뢰성은? – 실험과학의 탄생
(원문) │조지트 라이프(Joseph Wright)가 그린 [공기펌프 내의 새 실험](1768). 새를 공기펌프에 집어넣고 공기를 뺀 뒤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주고(more…)
지우개는 어떻게 연필 자국을 지울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연필과 지우개. 이 두 개는 떨 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데요. 연필로 무언가를 쓸 때 반드시 지우개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에요. 요즘은(more…)
DNA 합성해 효모 만들어… 인간, 神을 넘보다
(원문) – 국제공동연구진 개발 효모 게놈 16개 중 5개 만들어… 2년내 100% 인공효모 나올 듯 “인공 인간장기 실마리 될 수도” (more…)
상온 핵융합은 정말 가능할까? & 미국 핵융합 실험 성공… 무한청정 ‘꿈의 에너지’ 성큼
(원문) 올 여름 폭염이 지속되면서 냉방기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고 한다. 에너지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될 때마다 가끔씩 고개를 드는 것이(more…)
상온 핵융합 이야기
(원문) 상온 핵융합의 진상 1989년 3월 23일 유타대학의 폰스(B. Stanley Pons)와 플라이슈만(Martin Fleischmann)은 기자회견을 열고 실온에서 핵융합이 가능했다고(more…)
‘과학전쟁’에 관한 나무위키 미러의 내용 – 2018년 5월 5일 현재 & 파울 파이어아벤트, 과학 철학의 “우드스탁”
(원문) 1. 개요 2. 전개 2.1. 홍성욱 교수의 기고문 중 3. 사회구성주의자들의 주장 4. 과학자들의 입장 5. 교훈 5.1. 과학계의 교훈 5.2.(more…)
생물 닮은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美, 거대 바이러스 4종 찾아내 연구진은 오스트리아의 폐수처리장에서 ‘클로스노이바이러스’를 포함한 4개의 새로운 거대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나머지는 카토바이러스,(more…)
영혼, 과연 실존인가 물리적 현상인가
(원문) 영혼 무게 재거나 임사체험 등 영혼에 대한 과학 탐구 지속 실험 재현이 불가능한데다 유체이탈은 환각작용 판명정신작용은 육체있어야 가능 행복감(more…)
노화시계를 되돌리는 ‘회춘 묘약’ 셋
(원문) 한 해의 반이 지나가는 시점이 되면 눈 깜짝할 새 벌써 6개월이나 나이 들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단 점을 고려하면 고작(more…)
‘당’ 좋아하는 암세포 따로 있다
(원문) 美 텍사스대·경북대 연구진 성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폐암은 암 중에서도 사망률 1위를 차지한다. 이런 폐암 가운데(more…)
인권의 시각으로 보는 과학기술
(원문) 과학기술 인권은 자연계열에만 해당되는 개념이 아니다. 이것은 일반대중, 과학기술계, 그리고 국가라는 세 기둥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비유할 수 있다. 첫째 기둥인(more…)
책 소개: 인간 아기와 침팬지 함께 키운 결과…
https://1boon.daum.net/scientist/251 유전자가 먼저냐 환경이 먼저냐 아이를 침팬지와 함께 키우면 어떨까요? 침팬지가 아이처럼 자랄까요, 아니면 아이가 침팬지처럼 자랄까요? 침팬지와 함께 자란(more…)
3개월 전기자극으로… 15년만에 깨어난 식물인간 & “전기자극으로 척수손상 치료”…재활 과정 세포 수준에서 밝혔다
(원문) [佛연구진, 환자 몸에 ‘전자약’ 넣었더니 고개까지 움직여] 구글·GE 등도 개발 경쟁 美 FDA 비만치료용 허가 15년 동안 식물인간 상태로(more…)
유리처럼 투명한 태양광 전지판
(원문) 일반 태양광 패널보다 효율 낮지만 창문·모바일기기 등 적용 범위 커 유리처럼 투명한 태양광 패널. 미시간주립대 제공 태양광 패널은 보통 불투명(more…)
수상 기회 두번 놓친 천재 발명가 이야기 & 19세기 최고 천재들의 ‘빛 튀기는’ 전류 전쟁
(원문) 1931년 10월 18일 미국 전역의 도시들을 밝히던 전등이 1분 동안 일제히 꺼졌다. 바로 그날 사망한 천재적인 발명가 에디슨을 추모하기 위해서였다.(more…)
바나나가 멸종위기에 처한 이유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전 세계에서는 연간 1억t이 넘는 바나나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9월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 선 보인(more…)
희귀자원, 바닷물에서 뽑는다: 리튬과 스트론튬 등 추출 기술 개발
(원문) 리튬(Li)은 현존하는 최고의 배터리 소재이지만, 매장량 자체가 워낙 적다보니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매장량이 적다는 의미는 육지에만 해당되는(more…)
미터법으로 이야기하는 세계, 혼잣말하는 미국?
미국은 왜 미터법을 쓰지 않는걸까?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1999년 9월, 미국 항공 우주국 NASA의 ‘화성 기후 궤도선(MCO, Mars Climate(more…)
냉동인간 이야기: 냉동인간의 부활은 가능할까?
멀쩡한 사람을 냉동시켰다가 100년이나 200년, 아주 오래 시간이 흐른 뒤에 다시 깨어나게 한다… 그동안 공상 영화나 소설에 가끔 등장하는 얘기인데, 미국에서 실제로 멀쩡한 사람이 냉동인간(more…)
알파고 충격 2년, 인공지능의 현주소
2016년 3월 9일부터 15일까지, 알파고의 승리로 끝난 알파고 대 이세돌의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가 있었다. 그리고, 그 후 이런저런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 2018년(more…)
‘AI 로봇’ 사고는 누구 책임?… EU ‘로봇 인격’ 부여 놓고 논쟁 격화
지난 3월 19일, 우버의 자율주행차가 미국 애리조나 주 피닉스 교외에서 교통사고를 내 보행자가 숨졌다고 한다. 자율주행차와 함께, AI 역시 이런저런 법률적인 문제에(more…)
돼지의 뇌 몸통에서 분리돼도 36시간 기능, 윤리 딜레마 빠진 연구진
생물학 내지는 의학 쪽의 새로운 이슈이다. 영원히 살 수 있는 뇌 또는 뇌의 의식이 가능할까? 가능하다면 어떤 문제들이 생겨날까? (more…)
[AI 저작권 논란] AI 작곡가의 노래, 주인은 누구일까? & AI가 만든 만화, 저작권은?…美 당국, 인정 안 했다 &&
이론적으로, AI는 음악이나 미술 작품의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할 수 있고, 나아가 작품화할 수 있다. 앞으로는 저작권이라는 것의 의미가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more…)
컴퓨터 관련 – 파이썬으로 작성한 인공지능 게임 파일
코인 게임 — 마지막 코인을 빼는 자가 지는 게임 # This is a variant of the Game of Bones recipe given in(more…)
컴퓨터 관련 – 파이썬으로 작성한 tree (하위 디렉토리 구조를 보여줌) 파일
import glob, os.path ndir = nfile = 0 def traverse(dir, depth): (space)global ndir, nfile (space)for obj in glob.glob(dir + ‘/*’): (space)(space)if depth(more…)
아리스토텔레스의 바퀴와 트로코이드 곡선
Aristotle’s wheel paradox 아리스토텔레스의 바퀴 역설; 아리스토텔레스의 바퀴 수레바퀴의 역설 원의 둘레에 관한 역설 바퀴를 굴릴 때 안쪽의 작은 원의 원주가 바깥의 큰 원의(more…)
EBS 빛의 물리학 6부작 (동영상) (교육용)
EBS 빛의 물리학 6부작 중 1부 : 빛과 시간 – 특수상대성 이론 EBS 빛의 물리학 6부작 중 2부 : 빛과(more…)
NGC 우주의 구조 4부작 (동영상) (교육용)
NGC 우주의 구조 4부작 중 1부 : 멀티유니버스 – 다중우주 NGC 우주의 구조 4부작 중 2부 : 무한의 우주공간 – 우주공간의(more…)
EBS 과학혁명의 이정표 5부작 (동영상) (교육용)
EBS 과학혁명의 이정표 5부작 중 1부 : 빅뱅 – 별과 물질(원소)의 생성 EBS 과학혁명의 이정표 5부작 중 2부 : 태양과 태양계(more…)
NGC 코스모스 13부작 (동영상) (교육용)
NGC 코스모스 13부작 중 1부 : 프로로그 – 우주의 역사 개요 NGC 코스모스 13부작 중 2부 : 생명의 신비 – 진화와(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