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학의 아버지’ 파라켈수스Paracelsus를 아시나요?

 

파라켈수스는 아연에 이름을 부여한 사람으로서 화학사에도 이름을 남겼습니다하지만 오늘날까지 그를 유명하게 만들어준 것은 용량이 독을 만든다라는 문장이었습니다. 과장을 보태자면 이 문장이 파라켈수스를 독성학의 아버지로 만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파라켈수스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용량이 독을 만든다’는 무슨 뜻인지 알아볼까요?

 

 

약 500년 전이탈리아의 페라라에서 테오프라스투스 봄바스투스 폰 호엔하임Theophrastus Bombastus von Hohenheim 이라는 젊은이가 박사논문을 쓰고 있었습니다그는 박사학위를 따기가 쉽지 않았습니다똑똑하지 않거나논문이 학문적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해서가 아니었습니다그가 당시 의학계에서 일반적이던 규칙들을 따르려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스위스에서 태어난 이 젊은이는 당시 주류 의학에 반기를 들고기존의 치료법과 이론적 원칙을 의문시했습니다.

결국 박사학위를 따고 명망 있는 자리에 올랐지만그는 일생 동안 사회적으로 매장당하다시피 하며 살았습니다고대의 갈렌Galen과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에게서 유래한 4체액설을 바탕으로 하는 치료 원칙들에 의문을 제기하다가 반감을 산 나머지, 1528년에는 자신이 활동하던 바젤에서 추방당하기까지 했습니다.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습니다. 박사논문을 쓰던 시기, ‘파라켈수스’로 개명한 이유도 알 수 없습니다. 독일식 이름인 ‘호엔하임’을 단순히 라틴어식으로 바꾼 것일까요? 그러나 파라켈수스는 ‘켈수스Celsus를 넘어서는’이라는 뜻으로 읽힐 수도 있습니다. 켈수스가 고대의 의학서 저술가였으므로, 파라켈수스라는 이름은 고대의 의학을 넘어서겠다고 천명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그는 이런 이중적인 의미를 의식했을 것이고, 그 이름으로 의학과 연금술, 철학과 점성술을 논했습니다. 전통에 반기를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현대적’ 의사로 불리지 않는 것은 그의 저술과 가르침이 실험보다는 사상과 확신에서 연유했기 때문입니다. 질병의 주된 원인을 별들의 영향으로 설명하거나, 신이나 ‘정령’의 활동에 대해 언급한 것은 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었습니다.


하지만 —광물이든, 식물이든—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올바른 방향을 취함으로써 그는 현대 약리학의 기초를 놓았습니다. 그의 믿음에 근거한 성공적인 치료는 당대 그를 살아 있는 전설로 만들어주었던 것이죠.

 

4체액설은 인간의 몸이 네 가지 체액(혈액, 점액, 황담즙, 흑담즙)으로 차 있으며, 이 체액 간에 불균형이 일어나면 질병이 생긴다는 생리학 가설이다. 

 

용량이 독을 만든다.

파라켈수스는 이미 500년 전에 그렇게 가르쳤습니다. 단순하면서도 머리에 쏙 들어오는 멋진 말입니다. 파라켈수스는 단순히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과 해로운 작용을 하는 것을 구분하려 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치유적인 작용과 해로운 작용을 구분하고자 했습니다. 이것은 그냥 진부한 인식이 아니라, 살아 있는 자연의 메커니즘, 생리학, 삶 자체를 근본적으로 꿰뚫어보는 인식입니다.

 

 

파라켈수스의 원래 표현에 더 가깝게 말하자면 용량만이 어떤 것이 독이 될지를 결정한다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그러나 어떤 물질 혹은 혼합물이 독으로 작용할 만큼 용량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이런 물질이 아무 작용 없이 남는 건 아닙니다전혀 다른 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그리하여 높은 용량에서와는 반대로치료나 예방 작용을 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용량이 독을 만들 뿐 아니라치료제도 만드는 것입니다사실 모든 물질이 높은 용량에서는 독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아주 많은 물질들이 적절한 용량 —그리고 낮은 용량—에서는 치료제나 예방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파라켈수스는 독성학의 아버지로 불립니다그의 유명한 문장에 이라는 말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사실 파라켈수스에게 중요한 것은 독성학즉 유독작용이 아니라 치료작용이었습니다요즘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학문의 발전에도환자의 치료에도 이것이 중요합니다하지만 실제로는 학제간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분야도 꽤 있습니다용량에 따라 유독하게 작용하기도 하고치료적으로 작용하기도 하는 물질의 경우가 그러한 예입니다.

독성학은 독성물질이 어떻게 작용하는지그것이 어느 정도 용량부터 유독한지이런 독성작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다룹니다독성학은 약리학의 한 부문입니다사실 파라켈수스는 독성학이 아니라 약리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져야 합니다물질과 생물의 상호작용한 물질이 유기체의 세포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다루는 것이 바로 약리학이기 때문입니다하지만 물질의 치료작용에 대한 연구는 약리학의 한 분야인 조제학(제약학)이 담당합니다.

상온에서 은빛의 액체로 존재하는 수은은 인체에 치명적인 중독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출처: https://youtu.be/KqNwAOTquwY)

 

 

용량이 독을 만듭니다그리고 용량이 치료제를 만들기도 합니다간단하게 들리지만 어려운 말입니다적절한 용량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높은 용량은 물론 바람직한 효과를 낳지 않습니다용량을 과하게 하면 위험해집니다파라켈수스도 이런 위험을 저질렀던 듯합니다그는 자신의 고질적인 귀 염증을 수은으로 치료하다가 수은중독으로 죽은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수은을 많이 사용했다고 파라켈수스가 돌팔이 의사였던 것은 아닙니다오히려 그의 죽음은 용량–영향 관계에서 유익한 작용과 유독한 작용이 종이 한 장 차이일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줍니다. 2015년 독일에서 한 여성이 수은중독으로 사망했습니다그녀가 복용한 수은은 스리랑카의 아유르베다 치료사가 처방해준 것이었습니다함부르크의 의사들이 진찰했을 때 그녀 체내의 수은 농도는 한계치의 수천 배에 달했습니다.

호르메시스는 단순한 원칙입니다. 쉽게 말하면 ‘적응적 스트레스 반응’을 뜻하며, 과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지 않는 용량의 스트레스 자극에는 생명이 적응을 하고 더 건강한 상태로 나아갈 잠재력을 지닌다는 것입니다. 운동이나, ‘건강에 좋은’ 식품처럼 과용량에 이르기가 쉽지 않은 분야에서는 건강에 이롭게 적용하는 것도 간단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편으로는 어렵고 복잡하고때로는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파라켈수스조차 이 부분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했다는 것은 우리에게 경고를 해주는 셈이죠.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One Reply to “책 소개 – 파라켈수스, 독성학의 아버지”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