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층이 아닌 3D로 모든 신체 부위를 촬영해요
사람의 몸 전체를 3D로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의료 장비가 개발돼 화제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진들이 개발한 ‘익스플로러(Explorer)’라는 이름의 스캐너가 그 주인공인데요.
익스플로러는 MRI나 CT와 달리 단층 촬영의 개념의 넘어 신체 모든 부분을 3D 영상으로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이라 할 수 있죠.
익스플로러는 이미 잘 알려진 ‘양전자방출단층촬영
(PET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과
‘X선 컴퓨터단층촬영(CT)’의 두 가지 이미징 기술을 융합해 만들어졌는데요.
최근 UC 데이비스 연구진은 이 장비로 촬영한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했습니다.
각종 질병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익스플로러는 일반 PET 스캔보다 촬영 속도가 훨씬 빠른데요. 전신을 촬영하는데 불과 30초면 충분하죠. 기존 MRI와 같은 장비의 촬영 속도가 30분 정도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연구진들은 이 장비가 암을 포함한 각종 질병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데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실제 연구진들은 환자의 다리 정맥에 포도당을 주입했을 때 몸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익스플로러로 촬영해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특히 핵심 연구원인 사이먼 체리 박사는 “익스플로러는 암이 폐나 다른 기관에 전이되었는지를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 분야 의료진들이 사용하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익스플로러는 1호기는 2019년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 설치돼 프로젝트 및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앞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상용화가 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기를 간절히 기대해 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아래는 2022년 11월 5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X선·CT·MRI 기술 원리는 뭘까
8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감염관리센터에서 의료진들이 음압CT촬영실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2022.2.8
건강검진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X선’ 검사다.
X선은 10㎚(나노미터)~0.01㎚ 파장 대역의 전자기파를 아울러 부르는 것으로, 원자 내 전자의 에너지 변화에 따라 발생한다.
독일의 물리학자 윌리엄 뢴트겐이 처음으로 X선의 활용처를 발견한 이래로, X선은 의료, 과학, 산업, 보안 업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의료에서 주로 쓰이는 X선은 외부에서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이동하던 전자가 원자핵의 영향으로 방향을 바꾸며 발생한다. 연속적이고 넓은 에너지 대역·파장대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X선은 가시광선보다 투과성이 좋아 인체를 투과할 수 있다. 다만, 인체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혈액, 뼈, 피부, 근육 등을 만나면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반사·흡수·산란되며, 최종적인 투과량이 다르게 된다. 각 부위를 통과하며 다르게 남은 X선을 검출해 영상으로 만들면 흔히 볼 수 있는 X선 영상이 된다.
즉, 우리 몸을 통과할 수 있는 광선을 쬐어주고 구성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 그림자를 보는 것이다.
CT도 마찬가지로 X선을 활용하지만, 분석방법이 다르다. 기본적인 개념은 1917년 체코의 수학자 라돈에서 출발한다. 라돈은 여러 단면의 넓이로부터 입체의 모양을 얻어내는 수학적 기법을 개발했다. 단면의 ‘모양’을 재조합해 입체의 ‘모양’을 추정하는 것은 쉽지만, 단면의 ‘넓이’를 기반으로 입체를 재구성하는 일은 쉽지 않다.
라돈의 개발 이후 수학 계산 기법의 발달, 진단 기술의 발달으로 1970년대에 CT가 개발된다.
현대 CT의 과학적 원리는 X선 검사와 다르지 않다. 다만 X선을 여러 방향에서 빠르게 투과·검출해, 이를 알고리즘으로 분석·재조합 후 단층 및 입체 영상을 만들어낸다.
MRI는 X선과 CT와는 전혀 다른 원리로 작동한다. X선과 CT가 본질적으로는 그림자를 보는 것이라면, MRI는 몸을 구성하는 원자에 전자기장을 가해줄 때 나오는 미세한 전자기파를 보는 것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MRI는 인체를 구성하는 수소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를 감지한다. 수소의 전자핵인 양성자는 서로 다른 ‘스핀’을 가지고 있다. 이 스핀은 강한 자기장 속에서는 한 방향으로 정렬하게 된다. 정렬된 이후 전자기파를 짧은 시간 쬐어주면, 스핀의 상태가 바뀌었다가 원래대로 돌아오며 미세한 전자기파를 내뿜는다. 이 미세한 전자기파를 조사하면, 수소의 배치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