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구 생명체의 기원과 생명체 역사를 설명한 새로운 연구가 과학저널 ‘네이처 생태와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 최근호에 발표됐다.
고생물학자들은 고대의 생명체와 이 생명체들이 공유한 진화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해 왔다.
그러나 초기 생명체의 화석 기록은 극도로 파편화돼 있고, 그 질은 시생대(Archaean) 쪽으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크게 나빠진다. 시생대는 25억여 년 전 지구에서 생명이 움트기 시작한 시기로, 지각이 냉각되며 대륙이 형성된 때다. 당시의 유일한 생명체 형태는 미생물이었다.
연구를 수행한 영국 브리스톨대 지구과학대 홀리 베츠(Holly Betts) 교수는 “시생대 화석은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청녹색 말류나 전세계 염분 습지를 핑크색으로 물들이는 소금 선호 고세균 같이 우리가 친숙한 혈통으로 분명하게 분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유전체가 제2의 화석”
초기 생명체 역사를 알 수 있는 화석 증거는 너무 파편화돼 있고 평가가 어렵다. 때문에 초기 생명체 역사의 시간표에 대해 상반되는 의견들이 증폭돼 왔다.
이에 과학자들은 유전체 정보라는 개념을 도입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논문 공저자인 브리스톨대 지구과학대 필립 도나휴(Philip Donoghue) 교수는 “화석만이 과거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는 아니다. 생명에 대한 두 번째 기록이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의 유전체에 보존돼 있다”고 밝혔다.
같은 논문 공저자인 브리스톨대 생명과학대 톰 윌리엄스(Tom Williams) 교수는 “화석과 유전체 정보를 결합시켜 ‘분자 시계(molecular clock)’라고 불리는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었다”며 “이 접근법은 예를 들어 인간과 박테리아같이 두 살아있는 종의 유전체 차이의 수는 두 종이 공통의 조상을 공유했기 때문에 시간에 비례한다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자 시계법으로 LUCA 확인
이 방법을 사용해 브리스톨대 팀과 배스(Bath)대의 마크 퍼틱(Mark Puttick) 교수팀은 지구 생명체 역사의 시간표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논문 공저자인 다비드 피사니(Davide Pisani) 교수는 “우리는 약 45억 년 전 지구 역사의 매우 초기에 존재한, 모든 세포 생명체를 형성하는 ‘최후의 보편적 공통 조상(the Last Universal Common Ancestor; LUCA)을 나타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시기는 행성 테이아(Theia; 초기 태양계에 존재했을 것으로 가상되는 고대 행성)가 지구에 충돌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다. 이 충돌로 인해 지구는 불모지가 됐고, 달이 떨어져 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
“인간 포함된 진핵생물은 1차 혈통 아니야”
피사니 교수는 “분자 시계 분석법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화석 증거보다 훨씬 더 이른 시기에 생명체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연구 결과에 따르면 LUCA 이후 약 10억년 뒤에 LUCA로부터 ‘1차적(primary)’인 두 생명 혈통인 진정세균(Eubacteria)과 고세균(Archaebacteria)이 출현했다”며 “화석 정보를 토대로 가장 오래된 진정세균과 고세균 화석 유물을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는 유전체 정보의 위력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인간과 식물, 곰팡이 등이 속한 진핵생물 혈통이 생명의 1차적 계보가 아니라는 현대적인 견해를 확인해 주는 것이다.
피사니 교수는 “인간이 수십 억 년 더 늦은 혈통에 속한다는 사실은 우리를 겸손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우주의 다른 곳에도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가 아는 바로는 생명은 지구에만 존재한다. 지금부터 우리의 우주 이야기는 지구라는 좁은 주제로 한정된다. 지구의 어떤 특징이 생명을 만들었을까?
지구의 초기 역사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세 번째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암석 행성이다. 다른 3개의 암석 행성과 비교해보면, 수성보다 지름이 3배 정도 큰데, 금성보다는 약간 크고 화성보다는 2배 크다.
지구도 다른 행성처럼 물질의 강착을 통해 만들어졌다. 지구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후 약 1억 년이 지났을 때, 지구 크기의 절반이나 3분의 1쯤인 다른 원시행성protoplanet이 지구와 충돌한 것으로 보인다. 지질학자들은 그 원시행성 충돌의 충격으로 상당량의 지구 물질이 떨어져나갔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떨어져나간 물질의 대부분이 중력의 힘으로 뭉쳐 달이 되었다. 달은 초기에는 지구에서 가까운 궤도를 돌았지만 지금은 매년 지구에서 약 5센티미터씩 멀어지고 있다.
대충돌Big Thwack이라고 불리는 달을 만들어낸 충격으로, 지구 자전축이 수직에서 약간 벗어났다. 그 충돌 이후 지구의 자전축은 태양면을 기준으로 약 23도 기울어졌다. 지구에 계절이 있는 이유는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조금 뒤에 자세히 알아보자.)
지구의 크기가 커지면서 온도가 올라갔다. (별에서 일어나는 수소 융합이 만들어내는 온도까지는 아니다.) 지구의 온도가 올라간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우주에서 온 물질 덩어리들과의 충돌이 한 이유였다. 중력의 영향으로 크기가 커지면서 지구에 떨어지는 물체의 중력 위치에너지가 열로 바뀌었다. 또한 지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방사성 원소들이 붕괴하며 열을 발생시켰다. 지구에 있는 방사성 원소들은 이 장의 앞에서 본 것처럼 태양계가 형성되기 직전의 초신성 폭발 때 만들어졌다.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지구 내부가 녹았고 원소들이 밀도에 따라 지질학에서 화학적 층화chemical differentiation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 분리되었다. (눈치 빠른 독자라면 알아챘겠지만 우리는 천문학, 물리학, 화학의 영역에서 지질학의 영역으로 접어들고 있다.) 지구가 녹으면서 철이나 니켈 같은 무거운 원소는 중심부로 가라앉았다. 가벼운 물질은 중간에 자리 잡았고 그보다 더 가벼운 것은 맨 위로 떠올랐다.
지질학자들은 지구 역사의 첫 6억 년을 (46억 년 전부터 40억 년 전 사이) 명왕누대Hadean Eon라고 부른다. 그 이름은 하데스Hades라는 그리스어에서 왔는데, 죽은 영혼들이 사는 저승을 뜻하는 말이다. 지구의 첫 시기에 이런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기독교인들이 하데스를 뜨거운 지옥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초기 지구는 대단히 빠르게 자전했기 때문에 하루가 8시간이었다. 약 40억 년 전, 지구의 자전 시간이 달과 태양의 간섭으로 느려져 약 15시간으로 길어졌다. 태양은 현재보다 밝기가 약 25~30퍼센트 정도 어두운 상태였다. 그 당시에 인간이 존재했다면, 이산화탄소가 많았기 때문에 하늘을 붉은 색으로 보았을 것이다. 소행성이 계속해서 지구에 떨어졌지만 빈도는 차츰 줄어들었다. 지표면에 물이 있었다고 해도 그 충돌로 증발해 짙은 구름층을 만들었을 것이다. 화산은 그렇지 않아도 뜨거운 지표면에 용암을 뿜고 있었다. 우리가 상상하는 지옥의 이미지와 상응하는 모습이다.
시간이 지나 방사능이 약해지고 소행성 충돌이 줄어들면서 지구의 온도가 차츰 내려갔다. 온도가 내려가면서 수증기가 따뜻한 액체로 변해 수백만 년 동안 비가 내렸다. 그 많은 양의 물은 어디서 왔을까? 대부분은 처음 지구가 만들어질 때 함께 모인 물질들에서 왔다. 이후에는 거의 얼음으로 만들어진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지구로 왔다.
약 38억 년 전, 바다가 만들어질 정도로 지구 온도가 내려갔다. 바다가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하늘색도 푸르게 보였다. 일부 대륙판도 이때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물질은 약 44억 년 된 규산결정물인데 2010년에 서호주에서 발견되었다. 약 38억 년 된 암석이 캐나다, 호주, 남아프리카, 그린란드 등에서 발견되었다. 30억 년 전쯤 현재 지구 표면의 약 65퍼센트가 만들어진다. 학자들은 20억 년 전쯤에 현재의 판구조가 완전히 자리 잡았다고 생각한다.
약 35억 년 전에 지구는 생명의 탄생을 가능하게 만든 놀라운 특징을 갖는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태양으로부터 지구의 거리였다. 지구 표면의 물은 지구가 태양에서 적당한 거리에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만약 지구 궤도가 태양에 더 가까웠다면 표면의 물은 모두 증발했을 것이다. 반대로 너무 멀다면 표면의 물은 얼어붙을 것이다.
지구의 층상 구조 역시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이다. 지구의 중심부에 있는 내핵은 철과 니켈로 구성되어 있는데, 열 때문에 액체 상태이기는 하지만 중력의 영향으로 마치 고체처럼 움직인다. 내핵을 둘러싼 외핵은 액체 상태의 철과 니켈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지구의 자기장을 만든다. 그다음 계층인 맨틀mantle은 단단하지만 긴 시간에 걸쳐 흐르면서 대륙을 이동시킨다. 대륙지각은 평균 35킬로미터 깊이인데, 그 아래를 흐르는 맨틀은 약 650킬로미터 깊이에 이른다. 바다의 깊이는 평균 5킬로미터이고 그 아래 약 5킬로미터 두께의 해양지각이 자리 잡고 있다. 바다의 경우에도 해양지각 아래로 맨틀이 흐르고 있다. 지구 주변에는 얇은 대기권이 자리 잡고 있다. 지구 중력에 붙잡혀 있는 대기권은 우리를 우주 공간과 분리한다.
지구의 층상 구조는 생명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앞서 말했듯 지구 외핵은 용해된 철에 존재하는 전류로 인해 자기장을 만들어낸다. 자기장은 외계의 각종 우주선cosmic ray(높은 에너지를 가진 양성자와 원자핵)으로부터 지구 표면의 생명체를 보호해준다.
맨틀은 위쪽보다 아래쪽이 더 뜨겁다. 맨틀 아래쪽의 열은 펄펄 끓는 것이 아니라 완두콩 수프가 데워질 때처럼 아래쪽 열이 위로 올라가 뒤집어지면서 전달된다. 지구의 판이 이런 맨틀 위에 떠 움직이면서 판구조가 형성된다. 일부 판의 끝에서는 하나의 판이 다른 판의 아래로 들어가 다시 맨틀의 일부가 되는데 이를 섭입subduction이라고 한다. 이런 방식으로 지구 표면의 대부분은 끊임없이 순환한다. 한 번의 순환 과정은 약 5억 년이 걸린다.
지구의 크기 또한 생명을 가능하게 만든 특징 중 하나다. 지구가 더 작았다면 중력이 약해 생명에 필수적인 대기나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만약 지구가 더 컸다면 중력으로 지상 생명체의 대부분이 으스러졌을 것이다.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것도 생명에 필수적이다. 북반구를 예로 들면 태양을 돌 때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일부 궤도에서는 태양 쪽으로 기울고, 일부 궤도에서는 태양 반대 방향으로 기운다. 태양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각도 변화에 따라 열의 양도 변화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전축의 기울기는 고정되어 있고 공전 궤도에서 지구의 위치가 변화한다는 것이다. (물론 자전축의 기울기도 조금씩 변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태양 쪽으로 축이 기울어진 지구의 반구는 더 많은 태양빛을 받고 자연히 더 많은 열을 받는다. 우리는 이를 여름이라고 부른다. 그 반대가 겨울이다. 이것이 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이 반대인 이유다. 같은 이유로 적도 근처의 열대 지방에서는 이런 계절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태양의 열이 지구에 얼마나 많이 전달되는지 알아내기 쉽지 않다. 긴 시간에 걸쳐 보면 그 양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지구의 공전 궤도가 변하고 지구의 자전축은 흔들리면서 도는 팽이처럼 세차 운동을 하고 자전축의 기울기도 조금씩 변하기 때문이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인데, 7월과 비교하면 1월의 지구는 태양에 약 500만 킬로미터 더 가깝다. 하지만 늘 그런 것은 아니다. 때로는 공전 궤도가 거의 원 모양을 그리는데 약 10만 년을 주기로 원형과 타원형 궤도를 오간다. 자전 축의 기울기는 약 4만 1000년 주기로 1.5~24.5도 사이를 오간다. (만약 달의 중력이 지구를 안정시키지 않는다면 자전축은 더 기울어질 것이다.) 자전축의 세차 운동은 2만 1000년 주기로 일어난다. 공전 궤도의 변화, 자전축 기울기의 변화, 자전축 세차 운동은 태양과 달의 중력과 금성과 화성, 목성과 토성으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 변화 때문에 생긴다. 그 모든 우주 물체가 지구와 주기적으로 멀거나 가까워지기 때문에 그것의 중력이 지구의 궤도와 자전축의 기울기를 변하게 만든다. 우리는 모든 것이 모든 것을 끌어당기는 거대한 우주적 중력 체계 안에서 살고 있다. 이 모든 요인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양과 분포를 결정하고 그것이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아래는 2022년 4월 27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구 떨어진 운석서 생명체 구성 염기 모두 찾았다
운석을 통한 핵산 염기 전달 개념도
[NASA Goddard/CI Lab/Dan Gallagh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금까지는 푸린 염기인 아데닌(A)과 구아닌(G), 피리미딘 염기인 우라실(U)만 확인됐는데, 나머지 시토신(C)과 티민(T)도 찾아낸 것이다. DNA는 A, G, C, T 네 개 염기로 구성되지만, 전사가 일어나면서 생성되는 RNA에서는 T 대신 U가 자리를 차지한다.
이번 결과는 운석에 DNA가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핵산 구성물질이 지구 초기에 운석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생명체 출현에 기여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으로 제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와 외신 등에 따르면 일본 홋카이도대학 ‘저온과학연구소’의 오바 야스히로 부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지난 100년간 지구에 떨어진 운석에서 나머지 C, T 염기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시토신과 티민은 섬세한 구조를 가져 시료 추출 과정에서 쉽게 파괴되는 바람에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시료 추출 과정에서 저온 용해법을 활용했다. 기존에는 강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고온의 폼산에 운석을 넣고 용해돼 나오는 화합물을 분석했는데, 이 과정에서 약한 분자가 파괴될 수도 있어 저온 용액을 이용했다.
이와 함께 시료 분석 과정에서도 적은 양의 분자도 포착할 수 있는 정밀한 분석법을 동원했다.
연구팀이 활용한 기법은 유전자 및 제약 연구 분야에서 화합물을 손상하지 않고 추출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식으로 기존 방식보다 100배 더 섬세한 것으로 제시됐다.
논문 공동저자인 고더드 센터의 제이슨 드워킨 박사는 “뜨거운 차보다는 ‘콜드브루’에 더 가까운 기술을 이용했으며 이전보다 더 미세한 화합물을 추출할 수 있었다”면서 “매우 약한 시토신을 확인했다고 해 놀랐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구의 생명체가 우주의 도움을 받아 출발했는지, 아니면 지구 초기의 화학 반응 과정을 통해서 형성됐는지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운석에서 생명체를 구성하는 염기가 모두 확인됨에 따라 전자 쪽에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지적됐다.
오바 부교수는 “운석에 존재한 5개 염기는 지구에서 생명체가 시작되기 전에 유전 기능의 출현에 기여를 했을 수 있다”고 했다.
드워킨 박사는 “운석에서 당류에 이어 모든 염기까지 다 확인이 되며 증거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면서 “우주에서 생명의 기본적인 분자가 만들어진 데 대한 진전을 보는 것은 흥미롭다”고 했다.
이번 연구 방법은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내년에 지구에 떨굴 소행성 베누(Bennu)의 시료를 분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래는 2022년 5월 3일 뉴스입니다~
(원문: 여기를 클릭하세요~)
“지구 생명체 물질, 태양면 폭발하며 뿜어낸 입자가 촉발”
지구 생명체의 출발점이 된 물질이 태양면 폭발 덕에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젊은 태양이 잦은 폭발로 쏟아낸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 대기와 충돌하며 화학반응을 촉발해 세포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기본 물질인 아미노산을 만들어내 생명체 출현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의 항성 천체물리학자 블라디미르 아이라페티안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태양의 에너지 입자가 아미노산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3일 과학 저널 ‘라이프'(Life)에 발표했다.
지구 생명체의 기원을 찾는 노력은 단백질의 기본 물질인 아미노산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데 맞춰져 있다.
찰스 다윈이 1871년에 처음 제시한 ‘따뜻한 작은 연못'(warm little pond) 가설 이후 번개나 열, 기타 에너지원이 각종 화학물질 간 반응을 일으키며 유기 분자를 형성했을 것으로 추정돼 왔다.
이런 가설은 1953년 시카고대학의 스탠리 밀러 박사가 밀폐된 실험실에 초기 지구의 대기에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 메탄(CH₄)과 암모니아(NH₃), 물, 수소 분자 등을 넣고 번개와 똑같은 효과를 내는 전기 스파크를 반복적으로 일으킨 결과, 일주일 뒤 20종의 아미노산을 발견하는 실험을 통해 더욱 힘을 받았다.
하지만 초기 지구의 대기에 메탄과 암모니아가 이전에 추정하던 것만큼 많지 않고 대신 이산화탄소(CO₂)와 질소 분자로 채워져 있었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들 가스도 아미노산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화학적으로 분해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생명체 출현 과정을 설명하려면 번개 이상의 또 다른 에너지원을 찾아야 했다.
운석 충돌이나 태양의 자외선 복사설도 그 연장선에서 제기된 것이며, 연구팀은 태양의 에너지 입자에서 답을 찾았다.
이번 연구는 아이라페티안 박사가 지난 2016년 지구가 형성되고 1억년이 될 때까지 태양이 지금보다 30%가량 덜 밝았지만 현재 100년에 한 번 볼 수 있는 강력한 태양면 폭발인 ‘슈퍼플레어'(superflares)가 3∼10일에 한 번꼴로 발생하며 훨씬 더 잦았다는 연구 결과를 낸 것이 출발점이 됐다.
이런 슈퍼플레어가 빛에 가까운 속도로 고에너지 입자를 방출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며 화학반응을 촉발했다는 것인데, 생명체 발생 이전 화학을 30년간 연구해온 일본 요코하마국립대학 화학과 교수 고바야시 겐세이 박사가 이를 보고 연락해 공동 연구가 이뤄졌다.
연구팀은 밀러 박사 실험과 마찬가지로 CO₂과 질소, 물, 메탄 등을 섞어 지구 초기의 대기와 같은 조건을 만든 뒤 태양 입자를 모방한 양성자와 번개와 같은 스파크를 일으켜 아미노산 등의 생성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양성자를 쏠 때는 메탄 비중이 0.5%만 넘어도 아미노산과 카복실산 생성이 포착됐으나 전기 스파크 때는 메탄 농도가 15%는 돼야 아미노산이 만들어지고 그 양도 양성자 때의 100만분의 1밖에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전구체인 카복실산도 전기 스파크보다는 양성자가 더 많이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태양 입자가 번개보다 더 효율적인 아미노산 형성 에너지원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더구나 태양이 지금보다 30% 덜 밝은 초기 상황에서는 따뜻한 공기가 상승해 구름 속에서 만들어지는 번개의 빈도도 그만큼 더 낮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